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진규(배우)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김진규 문서
김진규번 문단을
김진규#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김진규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white 역대}}} 파일:bluedragonfilmawards_logo.png
파일:bluedragonawards3.png
남우주연상
제1회
(1963년)
제2회
(1964년)
제3회
(1965년)
김승호
(혈맥)
김진규
(잉여인간)
최무룡
(남과 북)

역대 파일:daejongfilmawards_logo.png
파일:daejongawards.png
우수국산영화상 남우주연상
1958년1959년1960년
김승호김진규
(나 혼자 만이)
황해남
(10대의 반항)
남우주연상
제4회
(1965년)
제5회
(1966년)
제6회
(1967년)
신영균
(달기)
김진규
(태양은 다시 뜬다)
박노식
(고발)
제15회
(1976년)
제16회
(1977년)
제17회
(1978년)
신일룡
(아라비아의 열풍)
김진규
(난중일기)
하명중
(족보)

파일:백상예술대상로고(1).png
파일:baeksangartsawards4.png
연극 및 영화부문 대상
-제1회
(1965년)
제2회
(1966년)
[신설]김진규
(벙어리 삼룡)
천사여 고향을 보아라
(연극)
영화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제1회
(1965년)
제2회
(1966년)
[신설]김진규
(벙어리 삼룡)
신영균
(갯마을)
제2회
(1966년)
제3회
(1967년)
제4회
(1968년)
신영균
(갯마을)
김진규
(태양은 다시 뜬다)
최남현
(싸리꼴의 신화)
제10회
(1974년)
제11회
(1975년)
제12회
(1976년)
하명중
(나와나)
김진규
(광화사)

백일섭
(망나니)
김희라
(마지막 포옹)
[신설] A B

김진규
金振圭|Kim Jin Kyu
파일:attachment/actorkjk.jpg
출생1923년 4월 12일[1]
충청남도 서천군 마산면 관포리[2]
사망1998년 6월 18일 (향년 75세)
서울특별시
본관김녕 김씨
배우자박기자(이혼)
이민자(이혼)
김보애(재결합)[3]
가족장남 김진철, 차남 김진수[4] 차녀 김진아, 3남 김진근 (슬하 3남 3녀)
아랫동서 이덕화, 사돈 이예춘
처이질녀 이지현, 처이질서 최병서
학력서천보통학교 (수료)
신흥보통학교 (졸업)
대전고등보통학교 (졸업)
오이타 우사 농업전문학교 (중퇴)
우에노 음악학교 (중퇴)
종교천주교 (세례명: 마르티노)
데뷔1952년 《피아골

1. 개요
2. 배우 활동
3. 사생활 문제
4. 주요 출연작
5. 여담



1. 개요[편집]


대한민국배우.


2. 배우 활동[편집]


1960년대 최고 인기 스타로 당대의 슈퍼스타 신성일, 최무룡, 신영균보다 선배이며 우위에 있던 배우.[5] 1950년대 중반 주연으로 올라선 그는 다른 배우들과 달리 지적이고 부드러운 이미지를 통해 여성 관객들의 인기를 얻었다. 지금 배우와 비교하자면 한석규박해일과 비슷한 스타일. 특히 대한민국 영화 사상 손가락 안에 드는 걸작 중 하나로 꼽히는 이범선의 원작 소설을 바탕으로 한 1961년작 영화 오발탄의 주연을 맡기도 했다. 오발탄에서의 마지막 장면에서 이를 뽑고 피를 흘리며 택시를 타고 뇌까리는 '가자'는 1960년대 영화 최고의 장면 중 하나로 꼽히기도 한다. 그리고 같은 해에 찍은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에서 사랑방 손님 역할로도 유명하다. 모르겠으면 옥희 옆에서 느끼한 목소리를 내는 아재로 기억하면 된다.

1964년에는 벙어리 삼룡의 주연을 맡으며 최고 전성기를 보냈다. 1960년대에 받은 남우주연상만 9개다.(부일 5개, 청룡 2개, 대종상 1개, 백상 1개) 자신이 제작에 참여한 영화 '성웅 이순신'의 실패[6] 이후 이혼 등의 가정사로 곤욕을 겪었고 이만희 감독의[7] 마지막 작품인 1975년 삼포 가는 길이 사실상 마지막 히트작이 되었다.

파일:kimjingyu.png
말년인 1993년에 잡지 "호텔앤레스토랑"에 실린 인터뷰 사진

1987년 '하녀의 방'을 마지막으로 영화배우직을 은퇴한 후 1993년에는 제주도에 "비버리 힐스 호텔"을 열고 회장으로 취임했다 1998년에 75세로 사망했다.


3. 사생활 문제[편집]


신사적인 이미지와 달리 사생활에 문제가 있었는데, 그는 여자 관계가 무척 복잡했고, 술만 먹으면 개로 변해 폭력을 휘두른다고[8][9] 그의 2번째 부인인 배우 김보애가 쓴 자서전에 나온다.[10] 물론 이 때문에 경찰 조사를 받은 일도 여럿 있었으며 또 유튜브에 업로드 되어 있는 김진규 영화를 보면 사실 여부는 확인할 수 없으나, 김진규의 지저분한 사생활을 욕하는 코멘트가 종종 있다(...). 김진규의 동시대 사람들 사이에서도 평판이 나빴다는 걸 보여 주는 사례.


4. 주요 출연작[편집]


연도작품명배역비고
1955년피아골철수데뷔작
1959년독립협회와 청년 리승만이승만
청춘극장
비극은 없다서강욱
1960년하녀동식
로맨스 빠빠전우택
표류도이상현
1961년성춘향이몽룡
오발탄철호
장희빈숙종대왕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손님
1962년진시황제와 만리장성제나라 진승 장군
1964년벙어리 삼룡삼룡
잉여인간서만기
마의 계단현광호
1965년순교자신목사
1966년유정최석
1967년귀로최동우
1968년카인의 후예박훈
1969년떠나도 마음만은강신호
자유부인장교수
1971년성웅 이순신이순신
1972년의사 안중근안중근
1975년삼포 가는 길정씨
1978년난중일기이순신
1981년사랑하는 사람아강회장


5. 여담[편집]


  • 배우 이덕화의 손윗동서다. 김보애는 이덕화의 처형이다.

  • 장녀 김진아도 배우였으며[11] 삼남[12] 김진근[13] 배우로 활동 중이다. 그리고 김진규 본인과 자녀들간 이름에 '진'자가 들어가서 뭔가 이상함을 느낀 사람들이 많을 텐데, 사실 김진규는 김녕 김씨 26세 '규(圭)' 자 돌림이고, 자녀들은 27세 '진(鎭)' 자 돌림이다. 고로 자녀들간 이름에 '진'자가 들어갔다고 그리 이상할 것은 없다. 참고로 딸 김진아는 2014년 8월 20일, 암으로 하와이에서 세상을 떠났다. 그리고 김보애도 딸 사후 3년 뒤인 2017년 10월 14일, 하와이에서 뇌종양으로 세상을 떠났다.

  • 임진왜란과 인연이 깊은 배우인데 이순신 역은 물론이고 서산대사와 사명대사를 둘 다 맡아 본 유일한 배우이다. 특히 이순신에 대한 그의 열정은 대단했다고 전해진다.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특수효과를 사용하여 이순신 영화의 주연과 제작을 겸했으나[14] 크게 실패하여 경제적으로 파산했을 뿐 아니라 배우로서의 커리어도 타격을 받게 된다. 이후 김한민의 이순신 영화 시리즈가 나오기 이전까지 이순신 영화는 영화계에서 금기시 될 정도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다만 호적상으로는 1923년 4월 12일생으로 되어있으며《내 운명의 별 김진규》(2009년, 21세기북스)라는 도서에는 1922년 4월 16일 생으로 기록되어 있다.[2] 참조[3] 1939년 3월 15일 일본령 조선 경기도 김포군 출생, 2017년 사망(78세). 이덕화의 처형.[4] 1950년 생으로, 1974년 '김진'이라는 이름으로 영화 '신설'로 데뷔하여 90년대까지 배우로 활동하였다.[5] 다만 1967년 감독을 맡은 영화 '종자돈'의 실패 이후, 1970년대에 접어든 이후에는 신성일이나 최무룡이 최고의 자리를 유지한 반면 김진규는 하락세를 탔고 1970년대 중후반 이후에는 거의 스크린에서 보기 힘들어졌다.[6] 이순신을 상당히 좋아했는지 1971년에 '성웅 이순신'을 찍고 말아먹은 뒤 1978년 '난중일기'를 또 찍기도 했다.[7] 배우 이혜영(1962년생)의 아버지.[8] 부인과 아들, 그에게 연기를 배우러 찾아온 제자들은 물론이고, 심지어 아들의 과외 선생 까지 상습적으로 구타했다고 한다.[9] 전무송회고에 의하면 김진규가 그를 좋게 보고 자신의 집에서 2년이나 숙식을 해결해주고 연극공부를 하게 해줬다고 한다. 그외의 다른일이 있었는지는 알수 없지만, 은인으로 여기고 있다는 것을 알수있다.[10] 김진규의 첫 부인은 배우 이민자인데, 생활고와 김진규의 가정폭력으로 인해 이혼했다고 한다. 김보애의 자서전에서도 이민자가 재혼을 뜯어말렸다는 얘기가 나온다.[11] 김진규가 유독 편애하고 아꼈다고 한다.[12] 김진규는 전처 이민자와의 사이에서도 아들 둘을 낳았다.[13] 배우 정애연과 결혼.[14] 단 2편인 난중일기(영화)는 한갑진이 제작을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