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혜리(배우)

덤프버전 :

파일:에스에이치미디어코프로고.jpg
[ 펼치기 · 접기 ]

김혜리임영주천동빈



김혜리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미스코리아
최연희
(1987년)
김혜리
(1988년)
고현정
(1989년)

미스코리아 서울
강주현, 김미림, 김향숙, 김희연, 임소원, 장혜영, 최연희
(1987년)
강주현, 김성령, 김정애, 김혜리, 박수현, 양현정
(1988년)
고현정, 남궁옥, 박은경, 오현경, 이재경, 장경숙, 채경진
(1989년)

미스 월드 코리아
최연희
(1988년)
김혜리
(1989년)
고현정
(1990년)

파일:Miss Korea logo (liner).png
1988 미스코리아 당선자
태평양엘칸토국제페리쌍방울한국일보
파일:1988 미스코리아 진 김성령.jpg파일:1988 미스코리아 선 김혜리.jpg파일:1988 미스코리아 미 김희정.jpg파일:1988 미스코리아 태평양 채화정.jpg파일:1988 미스코리아 엘칸토 양현정.jpg파일:1988 미스코리아 국제페리 추영미.jpg파일:1988 미스코리아 쌍방울 김유나.jpg파일:1988 미스코리아 한국일보 오현주.jpg
김성령김혜리김희정채화정양현정추영미김유나오현주



김혜리
金惠里 | Kim Haery
파일:A78EDB9D-7EDF-4FFB-8EE2-4F55124E229F.jpg
본명김해리
출생1969년 12월 23일 (54세)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체167cm, 49kg, A형
학력서울여의도초등학교 (졸업)
여의도중학교 (전학)
윤중중학교 (졸업)
여의도여자고등학교 (졸업)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문화예술경영자과정 / 수료)
가족어머니 조수비, 여동생 김해린[1]
자녀딸 강예은(2009년 5월생)
종교개신교
데뷔1988년 미스코리아
소속사에스에이치미디어코프

1. 개요
2. 활동
3. 출연 작품
3.1. 드라마
3.2. 영화
3.3. 방송
4. 사건사고
4.1. 세 번의 음주운전
5. 여담



1. 개요[편집]


대한민국배우.

1988년 미스코리아 선(참가번호 32번)으로 당선되면서[2] 연예계에 데뷔했다. 본명은 김해리이나 데뷔 초 기자들이 김혜리라고 잘못 쓴 것이 그대로 굳어졌다.


2. 활동[편집]


목록을 보다시피 사극에서는 여왕, 왕비, 후궁 등 왕실 여인 역을 많이 맡았고, 현대극에서는 악역을 주로 맡았다.[3]

용의 눈물(효빈 김씨), 왕과 비(혜빈 양씨), 태조 왕건(강비) 등 KBS 1TV 대하사극에 연달아 투입되는 진기록을 세운 연기자다.[4]

저 당시 사극 출연작들을 보면 용의 눈물에서의 효빈 김씨 역할은 오랜 시간 고난과 역경을 딛고 살아 남아 빈의 지위를 얻게 되는 자수성가형 인물이며 선역이었다. 그리고 뒤이어 출연한 왕과 비혜빈 양씨 역할은 단종의 유모이자 세종의 비로서, 주인공인 세조와 대척점에서 대립하는 여인으로 강렬한 잔상을 남겼다. 사실 앞선 두 작품보다 그녀의 열연이 빛난 작품은 누가 뭐라해도 태조 왕건강비였다. 이 작품으로 조연급 연기자에서 주연으로 발돋움 하였다. 극 중 왕건과 사랑하는 사이였으나 궁예의 정비가 된 후 비참하게 최후를 맞이하는 역할로 깊은 인상을 남겼으며 이때의 연기로 2001 KBS 연기대상에서 우수 여자 연기상을 수상한다. 3연속으로 KBS 사극에 출연한 공로를 인정받은 셈이였으며, 태조 왕건 극 중 최후의 순간을 연기할 때의 열연은 아직도 명장면으로 손꼽힌다.

하지만 이후 드라마 출연작에선 별 반향을 일으키지 못한데다가 후술할 3연속 음주운전까지 더해지며 하락세를 탔다. 2005년 출연한 드라마 신돈에선 기황후 역할로 오랜만에 브라운관에서 화제를 모았으나 이후 상승세를 이어가지 못했고, 드라마 출연이 뜸해지며 사실상 은퇴가 아니냐는 소문에 휩싸였다.

시간이 흘러 2013년 출연한 스캔들: 매우 충격적이고 부도덕한 사건에 '고주란' 역으로 출연해 오랜만에 브라운관 나들이를 하였고, 2015년에 SBS 아침드라마 어머님은 내 며느리에 출연해 얄밉지만 미워할 수 없는 시어머니 '추경숙' 역으로 사랑을 받았다. 이후 이 작품을 기점으로 2016년 이후부터는 다시 드라마에 자주 출연하며 모습을 보이고 있다.


3. 출연 작품[편집]



3.1. 드라마[편집]


방영 연도방송사제목배역비고
1991년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그리고 흔들리는 배배민숙
1992년파일:MBC 로고(1986-2005).svg도시인키메라/김애라
질투배채리
MBC 베스트극장 - 속도위반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이별없는 아침순이주연
1993년일월[5]
합이 셋이오카페 여사장
내일은 사랑이지민[6]
1994년밥을 태우는 여자서윤주주연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이선풍 저승 유람기생 월향
파일:MBC 로고(1986-2005).svgMBC 베스트극장 - 아버지의 자리정미
파일:SBS 로고(1994-2000).svg그대의 창정은서주연
1995년사랑의 찬가홍지숙
1996년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조광조단경왕후 신씨
파일:MBC 로고(1986-2005).svg자반 고등어송은주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스타트국어 교사 김애리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용의 눈물덕실/효빈 김씨
파일:MBC 로고(1986-2005).svgMBC 베스트극장 - 나, 28세 미혼
1997년파일:SBS 로고(1994-2000).svg여자양화정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세 여자신초희주연
1998년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왕과 비혜빈 양씨
파일:SBS 로고(1994-2000).svg7인의 신부
1999년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당신유옥예
파일:SBS 로고(1994-2000).svg그녀의 선택여희수주연
2000년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태조 왕건강비
2002년파일:SBS 로고.svg나쁜 여자들이연희
2003년왕의 여자동정월
2005년파일:MBC 로고(2005-2011).svg신돈기황후주연
2006년거침없이 하이킥!준하의 첫사랑 혜리특별출연[7]
2007년옥션 하우스민서린주연
2008년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바람의 나라미유부인
2011년파일:SBS 로고.svg장미의 전쟁이해주주연
2013년파일:MBC 로고.svg스캔들: 매우 충격적이고 부도덕한 사건고주란/고석봉
2014년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트로트의 연인양주희조연
2015년파일:SBS 로고.svg어머님은 내 며느리추경숙주연
2016년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천상의 약속박유경조연
파일:tvN 로고.svg신데렐라와 네 명의 기사지화자
파일:SBS 로고.svg사랑은 방울방울나영숙
2017년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최강 배달꾼정혜란
2018년파일:KBS 1TV 로고.svg비켜라 운명아최수희/최금순


3.2. 영화[편집]


개봉 연도제목배역비고
1991년사의 찬미윤성덕조연
1992년언제나 막차를 타고 오는 사람재희주연
1994년계약커플혜정
1995년도둑과 시인
2002년투게더조연
2003년천년호진성여왕
2004년클레멘타인임민서주연


3.3. 방송[편집]


  • 1988년 KBS 《쇼특급》 MC
  • 1992년 MBC 《유쾌한 스튜디오》 MC
  • 1995년 GTV 《수다펀치 팡팡》 MC
  • 1996년 GTV 《이런 집에 살고싶다》 MC
  • 2002년 KBS2 《연예가중계》 MC
  • 2003년 KBS2 《해피투게더 - 학교 가는 길》 106회 게스트
  • 2006년 MBC 《기분 좋은 날》 MC
  • 2020년 MBC 《복면가왕》참가자[8]

4. 사건사고[편집]



4.1. 세 번의 음주운전[편집]


1997년, 2004년 그리고 2014년에 걸쳐 총 3번이나 음주운전에 적발됐다. 면허 취소 수준에 이르는 만취 운전을 거듭했는데, 만취 상태에서 음주측정을 거부하며 '나는 사고를 낸 적 없걸랑요?'라는 어록도 남겼다. 기사


5. 여담[편집]


  • 영화 애마부인의 원작 소설을 쓴 작가 조수비가 어머니다.

  • 2008년 2월 사업가 강찬구[9]와 결혼하여 2009년 5월에 딸을 낳았다. 남편과는 2014년 6월 이혼하였으며, 딸의 양육권은 김혜리가 가지고 있다.

  • 미혼부가 혼자 아이를 키울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출생신고를 단독으로 할 수 없다는 문제가 공론화 되고 있는 와중에, 2021년 1월 30일 김혜리가 한 미혼부를 도운 일이 보도되어서 네티즌들에게 찬사를 받았다. 어떤 미혼부가 딸의 출생신고 문제로 1인 시위를 하는 것을 보고, 일면식도 없는 사이인데도 미혼부가 일을 나갈 수 있도록 2014년에 6개월간 미혼부 딸의 양육을 도와줬다고 한다. #1 #2 소속사 측은 "김혜리가 알려지는 걸 싫어했다. 티를 내려고 했던 것이 아니라 그저 TV를 보고 마음이 아파서 한 행동이었다. 6개월간 아이를 돌보며 미혼부의 일자리를 구하는데도 도움을 줬다”고 설명했다. 현재까지 미혼부 및 아이와 연락을 하고 있느냐는 물음에 "당시 아이가 돌도 안됐을 때기 때문에 아이와는 연락을 하지 않지만 미혼부와는 종종 연락을 하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1 #2

[1] 동생 또한 미스코리아였으며, 전북 진 출신이다.[2] 참고로 그 때 미스코리아 진은 김성령(참가번호 52번)이다.[3] 박유경, 최수희가 대표적이다. 박유경은 완전체 악녀이고, 최수희는 조금 애매하다.[4] 공교롭게도 태조 왕건에서 극 중 국대부인 역으로 나온 임채원(당시 임경옥)은 그 후속작인 제국의 아침(초선), 무인시대(부용)를 통해 KBS 1TV 대하사극에 연달아 출연했다. 헌데 그러한 것을 진기록이라고 한다면, 무안대군- 단종 - 최응 역을 맡은 정태우, 설장수 - 황보인 - 박지윤 역을 맡은 이신재, 박은 - 유자광- 신덕 역을 맡은 임병기, 이래 - 구치관- 도선 역을 맡은 이대로, 회안대군 - 민신- 김위홍 역을 맡은 김주영, 이무 - 조득림 - 최필 역을 맡은 한정국, 이종무- 성현 - 유긍달 역을 맡은 민욱, 조박 - 정창손 - 범교 역을 맡은 안대용 등도 세 작품 연속으로 출연한 것이니 진기록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대하드라마에 이런 식으로 연속 출연한 배우들이 한둘이 아니다.[5] 중도합류.[6] 57화 ~ 62화 출연.[7] 155회 출연.[8] 125차 경연에서 쉿, 가왕석으로 가는 트릭 알려줄게요! 마술사라는 이름으로 참여했으며 비음악인으로는 드물게 가수를 상대로 압승하기도 했다.[9] 대양금속 前 대표. 고려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아버지 강석태로부터 기업을 물려 받아 직접 경영하였으나, 2007년 KIKO 사태로 인하여 7백억원이 넘는 현금 손순실이 발생해 정상적인 회사 경영이 불가능해졌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해외 현지 공장을 무리하게 확장하고, 당시로서는 위험 부담이 컸던 태양광 패널 사업에 진출했다가 실패하여 경영사정은 나락으로 떨어졌다. 이로 인해 수 년간 적자가 누적되었고, 2012년 들어서는 채권단으로부터 워크아웃 절차에 들어는 등 압박을 받았다. 이에 강찬구 대표는 사재까지 동원하며 회사 회생과 경영권 방어에 힘썼으나, 결국 2014년 7월 채권단으로부터 회사에서 축출되었다. 이 과정에서 여기저기서 돈을 끌어다 쓰면서 가정의 생활 수준이 크게 떨어졌고, 김혜리와의 불화도 걷잡을 수 없이 커져 결국 이혼 과정에 들어섰다는 후문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7 05:54:49에 나무위키 김혜리(배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