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녹사평대로

덤프버전 :

||
광화문 방면
소공로
파일:Cityroad_kor_31.svg 31번
서울특별시도
양재 방면
반포대로
노선 번호
31번 서울특별시도 (안내용)
간체자 · 가타카나 표기
[ 펼치기 · 접기 ]

간체자绿莎坪大路
가타카나ソゴンロ

기점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동 반포대교북단
종점
서울특별시 중구 회현동1가 남산3호터널 입구
연장
4km
개통
1976. 7. 15.반포대교북단 - 녹사평역
1978. 5. 1.녹사평역 - 남산3호터널
관리
서울특별시 서부도로사업소
왕복 차로 수
4차로남산3호터널 구간
6-8차로반포대교북단 - 남산3호터널 남단
주요 경유지
반포대교북단 ↔ 녹사평역남산3호터널
1. 개요
2. 구간
3. 버스노선
3.1. 전 구간 완주노선
3.2. 녹사평역~반포대교 북단



1. 개요[편집]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동의 반포대교 북단부터 중구 회현동1가의 남산3호터널 북쪽까지이다. 전 구간이, 31번 서울특별시도 구간이다. 남산3호터널 북쪽으로는 소공로와 직결되며, 반포대교 북단 남쪽으로는 반포대로와 직결된다.

원래 반포로의 일부였지만, 2010년 도로명주소 정비 당시 용산구에서 용산구와는 관련이 없는 한강 이남의 지명인 '반포'가 용산구까지 이어지는 건 이상하다는 이유로 분리시킨 것.[1] 반포대교의 영향으로 여전히 예전 도로명인 '반포로'나 '반포대로'로 부르는 사람도 있다.

원래 용산구 지역이 '녹사평'으로 불린 데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서울 지하철 6호선 녹사평역이 있다. 3기 지하철 계획서울 지하철 11호선은 신사역에서 녹사평대로를 거쳐 도심으로 들어가기로 계획되어 있었으나 3기 지하철 계획이 1997년 외환 위기로 인해 백지화되었다.


2. 구간[편집]


남쪽 기점 (반포대로와 직결)
소재지교차로명번호교차하는 도로국도/지방도
반포대교 (한강)


서빙고동반포대교북단
교차로
0번강변북로
서빙고로
31번
서울특별시도
동빙고동한강중교삼거리75번서빙고로51길
120번장문로
이태원동126번녹사평대로26길






2가
녹사평역교차로181번이태원로
재정관리단
교차로
229번신흥로
회나무로
(남산2호터널입구)280번녹사평대로58길
남산3호터널
북쪽 종점 (432번, 소공로와 직결)

3. 버스노선[편집]



3.1. 전 구간 완주노선[편집]




3.2. 녹사평역~반포대교 북단[편집]





[1] 실제로 서울 시내에서 한강을 건너는 도로들은 대부분 다리(대교)를 기준으로 이남과 이북의 도로명을 다르게 부여해 왔다. 여기의 예외가 구 반포로, 천호대로, 동작대로, 구천면로 등이 있다.[2] 단, 정차 정류소는 '국군재정관리단', '남산3호터널' 이렇게 2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