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단 니

덤프버전 :

분류


아시아의 현악기
[ 펼치기 · 접기 ]

찰현악기
(호금류)
동아시아의 찰현악기
대한민국해금 · 아쟁(a)
북한소해금 · 중해금 · 대해금 · 저해금
중화권쓰후 · 얼후 · 징후 · 징얼후 · 반후 · 마구후 · 자오후 · 투후 · 후루후 · 예후 · 콩히안 · 가오후 · 디후 · 다후 · 종후 · 싼후 · 거후 · 디인거후 · 이인
시친 · 티친 · 정니(a) · 야정(a) · 주이후(a) · 레이친(a) · 라루안(a)
일본코큐(a)
(a) 발현악기의 형태 + 찰현악기의 연주 방식
중앙아시아의 찰현악기
몽골호치르 · 마두금 · 대마두금 · 이킬
튀르크코비즈 · 비잔치 · 기작
동남아시아의 찰현악기
베트남단 니 · 당 가오
태국소 우
캄보디아트로
발현악기금·슬·쟁(지터)
다현금고금 · · 거문고 · · 대쟁 · 가야금 · 고토 · 야특 · 단 짜인 · 미 갸웅 · 철현금 · 한아고
일현금이치겐킨 · 단 보우
월금(류트)
비파비파#악기 · 향비파 · 당비파 · 비와 · 텁쇼르 · 돔브라
삼현싼시엔 · 산신 · 샤미센 · 샨즈 · 담탐
공후(하프)
공후수공후 · 알타이 야특 · 사산도
타현악기양금
양금양금






1. 개요
2. 상세
2.1. 단 호



1. 개요[편집]


베트남의 전통악기. 원어로는 Đàn nhị()라고 쓰고 [ɗâːn ɲîˀ]로 발음한다. Đàn(彈)은 단 보우단 짜인에서와 같이 현악기를 의미하며, 거기에 2개의 현을 나타내는 Nhị(二)를 붙인 것이다.


2. 상세[편집]


호금 계열의 다른 악기들과 마찬가지로 울림통에는 뱀 가죽을 덧대어 만들며, 현대까지 꾸준히 개량을 거듭해 온 얼후와 상당히 유사하다. 반면에 단 니의 일종으로 단 코(Đàn cò)라고 불리는 악기는 이인이나 트로, 소 두앙에 더 가깝다.

단 니는 당 가오와 함께 연주되곤 하는데, 이는 예후이인 또는 예후가오후, 소 두앙소 우가 짝을 이루어 연주되는 것과 비슷하다.

베트남 외에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민족들에게서는 다양하게 변형된 단 니의 파생 악기들이 연주되는데, 그 예로는 므엉족의 코 케(Cò kè), 쯧족(Chứt)의 트러본(T'rơbon), 쿠아족(Khua)의 카롱(Karong), 캄보디아 크메르인트로가 있다.


2.1. 단 호[편집]


베트남에는 단 니와 마찬가지로 호금 계열에 속하는 단 호(Đàn hồ, )라는 악기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얼후보다는 예후와 비슷한 생김새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20:37:54에 나무위키 단 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