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새만금북로

덤프버전 :

||



||
[ 펼치기 · 접기 ]



파일:전주시 CI_White.svg
||
[ 펼치기 · 접기 ]

가련산로 · 가미내로 · 가인로 · 가재미로 · 거북바우로 · 건산로 · 건지로 · 건지산로 · 견훤로 · 견훤왕궁로 · 경동로 · 고내로 · 고내천변로 · 공북로 · 과학로 · 구억명덕로 · 구총목로 · 권삼득로 · 기지로
농생명로
덕진광장로 · 도당산로 · 동곡로 · 두간로 · 들사평로 · 들사평서로 · 떡전로
만경강남로 · 만성남로 · 만성동로 · 만성로 · 만성북로 · 만성서로 · 만성중앙로 · 매봉로 · 무삼지로 · 물왕멀로
반룡로 · 반월로 · 반촌로 · 백동로 · 백석남로 · 백석동로 · 백석로 · 번영로 · 벚꽃로 · 비석날로
사평로 · 삼례로 · 상리로 · 새만금북로 · 서귀로 · 석소로 · 세병남로 · 세병로 · 세병서로 · 소리로 · 소양천변로 · 솔내로 · 송천로 · 송천중앙로 · 숲정이로 · 시천로 · 신복로 · 신복천변로 · 신행로 · 신흥로 · 심방죽로
아중로 · 아중중앙로 · 안덕원로 · 안전로 · 양마로 · 어은로 · 여산로 · 오공로 · 오송로 · 온고을로 · 와룡로 · 완주로 · 용소로 · 우아로 · 운암로 · 원동로 · 원만성로 · 유상로 · 유연로 · 유제로 · 인교로 · 인봉남로 · 인봉로 · 인봉북로
장동유통로 · 전미로 · 전미중앙로 · 전주천서로 · 전진로 · 정언신로 · 정여립로 · 조경단로 · 중동로 · 중상보로 · 진북로 · 쪽구름로
천마산로 · 초포다리로 · 초포로 · 추천로 · 추탄로 · 출판로
콩쥐팥쥐로
태진로
팔과정로 · 팔달로 · 팔복로 · 편운로
하가로 · 한내로 · 한배미로 · 혁신로 · 호남로 · 호반로 · 호성로 · 화암로 · 흑석로
전라북도의 도로 틀 둘러보기





새만금북로
새萬金北路 | Saemangeumbuk-ro
남원 방면
동부대로
이천 방면
동장산로
보성 방면
금만로
서산 방면
금강로
부산 방면
새만금로
파주 방면
동장산로
노선 번호
21번 국도
29번 국도
77번 국도
기점
전라북도 군산시 비응도동 신시도입구삼거리[1]
종점
전라북도 완주군 용진읍 용진교차로
연장
60.5km
개통
2001년 7월 1일신시도입구삼거리 - 옥산교차로
2001년 12월 31일옥산교차로 - 대야교차로
2002년 5월 28일대야교차로 - 도도교차로
2015년 2월 13일도도교차로 - 반월교차로
2016년 11월 10일반월교차로 - 용진교차로
관리
파일:익산지방국토관리청1.png군산시
왕복 차로수
4차로대야교차로 - 용진교차로
6차로내초사거리 - 대야교차로
10차로신시도입구삼거리 - 내초사거리
주요 경유지
신시도입구삼거리 ↔ 동군산IC ↔ 용진교차로

1. 개요
2. 상세
2.1. 교차로
2.2. 대체도로
2.2.1. 대부분 구간을 대체 할수있는 도로
2.2.1.1. 군산 ~ 전주간 이동시
2.2.1.2. 군산, 서천, 보령 ~ 부울경 방면 이동시
2.2.2. 지역간 이동을 대체 할수있는 도로
2.2.3. 지역 내 구간을 대체 할수있는 도로
2.3. 대중교통
2.3.1. 버스 노선
2.4. 교통량
2.5. 주요 시설
2.6. 기타
2.6.1.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전라북도 군산시 비응도동에 있는 신시도입구삼거리부터 전라북도 완주군 용진읍에 있는 용진교차로까지 이어지는 길이 약 60.5km, 왕복 4~10차선의 도로[일반도로_구간]이자 자동차전용도로[자동차전용도로_구간]. 4번 국도, 21번 국도, 29번 국도, 77번 국도의 일부이다. 도로명의 유래는 전라북도고시 제2009-223호 (구글 드라이브)에 따르면 새만금을 연결하는 도로라고 하여 새만금북로라고 해서 지어졌다. 도로명주소 시행 전에는 '전주-군산간 산업도로(전군산업도로)'라 불리기도 하였다. 사실 도로명주소 시행 이후에도 자주 불리고 있다. 이와 같은 예로는 수인로가 수인산업도로로 불린 것과 경수대로가 경수산업도로로 불린 것 등이 있다.

전라북도에서 중요한 도로 중 하나이다. 바로 전라북도 3대 도시를 하나로 묶어 가장 빠르게 연결해주는 도로이기 때문. 고속도로급 선형과 포장수준으로 전주-익산-군산 세 도시를 단시간에 하나로 묶어주는 중요한 도로이다. 익산시 시내를 직접 경유하지는 않으나 공덕교차로에서 하공로로 통해 익산시로 진입할 수 있다. 같은 특성으로 인해 부울경에서 군산, 서천과 보령 (대천)으로 갈 때 이 도로를 많이 이용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2]


2. 상세[편집]



2.1. 교차로[편집]


소재지교차로명교차하는 도로국도/지방도특이사항
기점 (비응로와 직결)
전라북도 군산시오식도동신시도입구삼거리비응로
(국도 제77호선)
국도 제77호선
비응도동한국중부발전소삼거리군산산단로
한남금속삼거리자유무역로
조달청비축기지삼거리무역로
거산빌딩삼거리산단남북로
가도로
산단로
엑스포사거리동장산로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77호선)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77호선
내초동내초사거리내초로국도 제21호선
매립장삼거리
옥녀교차로옥녀로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미성동공항교차로공항로
(국도 제26호선)
미룡동군산대교차로대학로
미룡교 (미제천)
옥산면당북교차로월명로
당북육교
옥산1교 (장항선 옥구선)
옥산2교
옥산3교
옥산교차로옥산로
(지방도 제709호선)
쌍봉교
봉동교
개정면개정교차로금강로
(국도 제29호선)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29호선
신기교
개정면
대야면
옥석육교
대야면대야교차로금만로
(국도 제29호선)
복교1교국도 제21호선
복교2교 (고척천)
탑천교 (탑천)
익산시오산면신지교
공덕대교 (만경강)
김제시공덕면
공덕교차로하공로
(국도 제23호선)
마현교
마현2교
마현3교
공덕면
백구면
부용교 (용암천)
백구면목과철도육교 (호남본선)
월봉교
학동교차로번영로
(국도 제26호선)
마산1교
익산시춘포면
마산2교 (마산천)
전주시 덕진구도도동
마산3교
도도교
도도동
도덕동
도도교차로번영로
(국도 제26호선)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완주 방면 새만금북로 진입 불가
군산 방면 새만금북로 진출 불가
용정동용정분기점호남로
(국도 제1호선
국도 제27호선)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전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의 일부
용신교
용정동
반월동
조촌교 (조촌천)
반월동암실교
고랑동반월교차로삼례로
전주천교 (전주천)
전미동2가
신미교차로
신미지하차도
전미로
전미동1가전미교차로과학로
소양대교 (소양천)
완주군용진읍
상운길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전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의 일부
군산 방면 새만금북로 진입 불가
완주 방면 새만금북로 진출 불가
용진교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전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의 일부
용진교차로완주로
(국도 제17호선)
용진-우아간 도로 개통 시 직결 예정 (2024년 예정)


2.2. 대체도로[편집]


새만금북로의 도로 길이가 길고 여러 지역을 지나는만큼 대체도로도 많은 편이다. 이 문서에서는 대체하려는 목적에 따라 3가지로 구분하여서 여러 지역을 지나는 장거리 수요에 따른 대체도로, 지역 간 이동을 위한 중거리 수요에 따른 대체도로, 지역 내 이동을 위한 시내 수요에 따른 대체도로로 구분하여서 서술하며, 부산에서 충남 서해안 지역을 잇는 역할을 하기도 하므로 장거리 수요의 경우 군산 ~ 전주간 이동할 때와 서해안 지역에서 부산, 경남 방향으로 이동할 때를 구분해서 서술하였다.


2.2.1. 대부분 구간을 대체 할수있는 도로[편집]



2.2.1.1. 군산 ~ 전주간 이동시[편집]



2.2.1.2. 군산, 서천, 보령 ~ 부울경 방면 이동시[편집]


2.2.2. 지역간 이동을 대체 할수있는 도로[편집]



2.2.2.1. 군산시 - 익산시 간 이동[편집]



2.2.2.2. 익산시 - 전주시(완주군) 간 이동[편집]



2.2.3. 지역 내 구간을 대체 할수있는 도로[편집]



2.2.3.1. 군산시[편집]



2.2.3.2. 전주시[편집]



2.3. 대중교통[편집]



2.3.1. 버스 노선[편집]


새만금북로의 대부분이 자동차전용도로 구간이다보니 이 도로를 통과하는 시외버스[노선_목록]나 일부 시내버스[공차회송_차량]를 제외하면 이 도로를 이용하지 않는다. 그나마 노선 개편으로 군산대교차로 - 당북교차로 구간을 운행하는 시내버스가 생겨서 지곡동으로 보다 빨리 갈 수 있게 되었다.



2.4. 교통량[편집]


전라북도의 3대 도시인 군산~익산~전주를 이어주는 고속화도로이다 보니 평시에는 교통량이 괜찮은 편이지만, 주말이나 출퇴근시간(RH)만 되면 혼잡한 구간이기도 하며, 특히나 공항교차로~대야교차로 구간에서 교통량이 많은 편이다. 왜냐하면 군산시에서는 이 도로가 익산, 전주 등을 이어주는 도로로서의 기능 뿐만 아니라 새만금 방조제, 군산대학교, 수송지구, 군산시청, 동군산IC 등을 이어주는 주요 도로이기 때문이다. 또한 최근에는 전주에서 익산 사이를 이동하는 수요가 늘고, 도도교차로의 병목 현상까지 겹치면서 도도교차로~학동교차로 사이가 출퇴근시 정체가 빚어진다. 특이하게 출근시에는 군산방향이, 퇴근시에는 전주방향이 정체가 된다.

또한 이곳은 공사나 작업이 많은 도로이기도 하다. 작업이 진행될 경우, 평시임에도 불구하고 그 여파에 따른 정체가 심각한데, 마치 광주원주고속도로초월IC~동곤지암IC 구간을 방불케 할 수준이다. 또한 이 도로는 군산항 부두 및 공장 지역과 직간접적으로 연계된다는 특성 때문에 저속 화물차 비율이 높은 편에 속하여 종종 게릴라 정체가 빚어지기도 한다.
새만금북로를 이용하려면, 도로 진입 전에 보이는 국도교통정보 전광판을 보고, “작업중” 또는 “정체(서행)” 등의 멘트가 보인다면, 위에 기술된 우회도로로 깔끔하게 우회해서 가는 것이 정신건강에 매우 이롭다. 아니, 그 전광판 마저도 정보 업데이트가 늦는 경우가 있으므로, 카카오맵 등에서 CCTV정보도 참고하자.

2.5. 주요 시설[편집]


자동차전용도로이고 외곽 구간으로 지나가다보니 주요 시설이 많이 없다. 그나마 자동차전용도로가 아닌 구간에 위치해있는 비응도동오식도동에 많이 몰려있는데, 근처에 비응항새만금 방조제가 있어서 그런지 주로 낚시마트 등이 많이 보인다.


2.6. 기타[편집]


이 짤방의 구간이 바로 이곳. 원래는 '도로변 상(商)행위 교통사고 유발'이었는데근데 이것도 말은 되지 않나? 네티즌들은 이걸 가만두지 않았다. 기사화될 정도로 인터넷에서 유명해지자 결국 '도로변 판매행위 교통사고 유발'로 표지판의 문구를 교체하였다.

2.6.1.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1번 국도
21번 국도
문서의 r68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21:15:50에 나무위키 새만금북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전라북도고시 제2009-223호 (구글 드라이브)에 따르면 정확한 기점은 전라북도 군산시 비응도동 40이다.[일반도로_구간] 신시도입구삼거리 - 옥녀교차로 구간[자동차전용도로_구간] 옥녀교차로 - 용진교차로 구간[2] 대천해수욕장 출발 기준으로 부산, 양산 방향으로는 새만금북로를 이용한 뒤 남해고속도로를 타는 것이 편하며, 울산 방향으로는 36번 국도를 이용한 뒤 서산영덕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를 타는 것이 빠르다.[군산동부_기준] A B C 구암동, 경암동, 월명동, 조촌동 부근 군산 시내 및 나포면, 서수면, 성산면, 임피면 등 군산시 동부 면 지역을 기준으로 함.[충남서부_기준] A B 서해안고속도로 연선 충청남도 서부 지역인 서천군, 보령시, 홍성군을 기준으로 함.[전주이북완주_기준] 봉동읍, 삼례읍, 용진읍구 고산현 지역을 기준으로 함.[노선_목록] 군산공항/군산대~익산·전주, 군산~전주 (경유 노선 포함) 노선 정도가 이 도로를 타는 편이다. 전북고속이나 전주고속, 드물게 안전여객 차량도 회차나 주박하러 가기도 한다.[공차회송_차량] 사실 군산시 시내버스도 오후 10~11시쯤 되면 옥구읍에 있는 차고지로 가기 위해 거의 다 이 도로로 공차회송을 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