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도쿠가와 이에츠나

덤프버전 :




도쿠가와 이에츠나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8D0038,#FFF
선명한 배경
및 🎎 표시: 생전 서위
}}}
||
(서기·양력 서위일 불명)
720년 11월 27일
724년
737년 8월 25일
(화력 서위일 불명)
요로 4년 10월 23일
진키 원년
덴표 9년 7월 25일
(고세노 도코타)후지와라노 후히토🎎후지와라노 미야코🎎후지와라노 무치마로
737년 11월 3일
749년 5월 4일
760년 9월 20일
762년 2월 28일
덴표 9년 10월 7일
덴표칸포 원년 4월 14일
덴표호지 4년 8월 7일
덴표호지 6년 2월 1일
후지와라노 후사사키🎎타치바나노 모로에아가타노 이누카이노 미치요🎎후지와라노 나카마로
770년 10월 23일
785년 6월 14일
785년 10월 31일
788년 6월 21일
호키 원년 10월 1일
엔랴쿠 4년 5월 3일
엔랴쿠 4년 9월 24일
엔랴쿠 7년 5월 13일
🎎후지와라노 나가테기노 모로히토후지와라노 다네츠구후지와라노 다비코
791년 1월
791년 1월
806년 6월
806년 6월
엔랴쿠 9년 12월
엔랴쿠 9년 12월
다이도 원년 6월
다이도 원년 6월
야마토노 오토츠구하지노 마이모후지와라노 요시츠구아베노 고미나
819년 1월 18일
823년 6월 17일
823년 6월 17일
826년 9월 1일
고닌 9년 12월 19일
고닌 14년 5월 6일
고닌 14년 5월 6일
덴초 3년 7월 26일
후지와라노 소노히토후지와라노 모모카와후지와라노 모로아네후지와라노 후유츠구
833년
833년
847년 11월 16일
848년 1월 28일
덴초 10년
덴초 10년
조와 14년 10월 5일
조와 14년 12월 19일
다치바나노 기요토모다구치노 미치히메다치바나노 나라마로다치바나노 우지키미
850년 9월
854년 10월 28일
858년
867년 11월 9일
가쇼(嘉祥) 3년 8월
닌주 4년 10월 4일
덴난 2년
조간 9년 10월 10일
후지와라노 미츠코미나모토노 도키와미나모토노 기요히메후지와라노 요시미
869년 4월
872년 10월 9일
877년 1월
877년 1월
조간 11년 3월
조간 14년 9월 4일
조간 19년 1월
조간 19년 1월
미나모토노 마코토후지와라노 요시후사후지와라노 나가라후지와라노 오토하루
884년 3월 23일
884년 3월 23일
891년 2월 24일
895년 9월 20일
간교 8년 2월 23일
간교 8년 2월 23일
간표 3년 1월 13일
간표 7년 8월 28일
후지와라노 후사츠구후지와라노 가즈코후지와라노 모토츠네미나모토노 토오루
897년 7월 19일
898년 1월 3일
900년 4월 15일
906년 6월 24일
간표 9년 6월 16일
간표 9년 12월 7일
쇼타이 3년 3월 14일
엔기 6년 5월 30일
미나모토노 요시아리소시 여왕후지와라노 다카후지후지와라노 슈쿠시
907년
909년 4월 27일
913년 4월 27일
937년 11월
엔기 7년
엔기 9년 4월 5일
엔기 13년 3월 18일
조헤이 7년 10월
미야지노 렛시후지와라노 도키히라미나모토노 히카루후지와라노 미츠코
949년 9월 13일
949년 9월 13일
962년 11월 17일
967년
덴랴쿠 3년 8월 18일
덴랴쿠 3년 8월 18일
오와 2년 10월 18일
고호 4년
후지와라노 다다히라미나모토노 쇼시후지와라노 기시후지와라노 세이시
969년 12월 2일
970년 6월 26일
972년 12월 13일
978년 1월 1일
안나 2년 10월 20일
덴로쿠 원년 5월 20일
덴로쿠 3년 11월 5일
조겐(貞元) 2년 11월 20일
후지와라노 모로타다후지와라노 사네요리후지와라노 고레타다후지와라노 가네미치
987년 3월
989년 8월 23일
992년 7월 18일
993년 6월 12일
간나 3년 2월
에이엔 3년 7월 20일
쇼랴쿠 3년 6월 16일
쇼랴쿠 4년 5월 20일
후지와라노 도키히메후지와라노 요리타다후지와라노 다메미츠스가와라노 미치자네
993년 8월 19일
995년 6월 25일
995년 6월 25일
1025년 9월 23일
쇼랴쿠 4년 7월 29일
조토쿠 원년 5월 25일
조토쿠 원년 5월 25일
만주 2년 8월 29일
미나모토노 마사자네후지와라노 미치카네미나모토노 시게노부후지와라노 기시
1029년 11월 25일
1073년 6월
1073년 6월
1075년 11월 16일
조겐(長元) 2년 10월 17일
엔큐 5년 5월
엔큐 5년 5월
조호 2년 10월 6일
후지와라노 긴스에후지와라노 요시노부후지와라노 시시후지와라노 노리미치
(서기·양력 서위일 불명)
1094년
1107년
1146년 11월 9일
(화력 서위일 불명)
가호 원년
가쇼(嘉承) 2년
규안 2년 10월 4일
후지와라노 요시나가후지와라노 아키후사후지와라노 사네스에후지와라노 나가자네
1146년 11월 9일
1166년 9월 8일
1168년 7월
1168년 7월
규안 2년 10월 4일
에이만 2년 8월 12일
닌난 3년 6월
닌난 3년 6월
🎎미나모토노 마사코고노에 모토자네다이라노 도키노부후지와라노 유시
1177년 8월 28일
1190년 5월
1220년
1242년
지쇼 원년 8월 3일
겐큐 원년 4월
조큐 2년
닌지 3년
후지와라노 요리나가후지와라노 규시다이라노 지카노리미나모토노 미치무네
1617년 4월 14일
1628년 7월
1632년 3월 30일
1651년 7월 4일
겐나 3년 3월 9일
간에이 5년 7월
간에이 9년 2월 10일
게이안 4년 5월 17일
도쿠가와 이에야스사이고노츠보네도쿠가와 히데타다도쿠가와 이에미츠
1680년 6월 17일
1709년 3월 4일
1709년 10월 9일
1712년 12월 1일
엔호 8년 5월 21일
호에이 6년 1월 23일
호에이 6년 9월 7일
쇼토쿠 2년 11월 3일
도쿠가와 이에츠나도쿠가와 츠나요시도쿠가와 츠나시게도쿠가와 이에노부
1716년 7월 1일
1752년 7월 20일
1761년 8월 24일
1786년 10월 13일
쇼토쿠 6년 5월 12일
호레키 2년 6월 10일
호레키 11년 7월 24일
덴메이 6년 9월 22일
도쿠가와 이에츠구도쿠가와 요시무네도쿠가와 이에시게도쿠가와 이에하루
1841년 4월 8일
1848년 8월 7일
1853년 9월 23일
1858년 8월 29일
덴포 12년 2월 17일
가에이 원년 7월 9일
가에이 6년 8월 21일
안세이 5년 7월 21일
도쿠가와 이에나리도쿠가와 이에모토도쿠가와 이에요시도쿠가와 이에사다
1866년 8월 29일
1880년 7월 20일
1882년 8월 7일
1885년 7월 20일
게이오 2년 7월 20일
메이지 13년 동월 동일
메이지 15년 동월 동일
메이지 18년 동월 동일
도쿠가와 이에모치구스노키 마사시게닛타 요시사다이와쿠라 도모미
1891년 2월 18일
1898년 3월 18일
1899년 9월 26일
1900년 11월 16일
메이지 24년 동월 동일
메이지 31년 동월 동일
메이지 32년 동월 동일
메이지 33년 동월 동일
🎎산조 사네토미와케노 기요마로산조 사네츠무도쿠가와 미츠쿠니
1901년 5월 16일
1901년 5월 16일
1903년 6월 27일
1904년 3월 17일
메이지 34년 동월 동일
메이지 34년 동월 동일
메이지 36년 동월 동일
메이지 37년 동월 동일
시마즈 나리아키라모리 다카치카도쿠가와 나리아키고노에 다다히로
1908년 4월 2일
1908년 9월 9일
1915년 8월 18일
1917년 11월 17일
메이지 41년 동월 동일
메이지 41년 동월 동일
다이쇼 4년 동월 동일
다이쇼 6년 동월 동일
모리 모토나리기타바타케 지카후사도요토미 히데요시오다 노부나가





[ 좌대신 ]

남조 좌대신
무가관위 좌대신
좌대신·우대신

[ 우대신 ]

(소가노 무라지코)
남조 우대신
무가관위 우대신
#!wiki style="margin: -5px -10px"
[[도쿠가와 이에모치]]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001F, #BD0029 20%, #BD0029 80%, #AF001F); color: #DCA600" {{{-2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0px; padding: 0"
[[틀:역대 일본 태정대신|{{{#DCA600 태정대신}}}]]
좌대신·우대신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0px; padding: 0"내대신}}}}}}}}}





[ 역대 내대신 ]

#!wiki style="margin: -5px -10px"
[[다카츠카사 모토테루]]
#!wiki style="margin: -5px -10px"
[[고노에 우치사키]]
#!wiki style="margin: -5px -10px"
[[니조 무네모토]]
#!wiki style="margin: -5px -10px"
[[가라스마루 미츠히데]]
#!wiki style="margin: -5px -10px"
(환임)[[니조 무네모토]]
#!wiki style="margin: -5px -10px"
[[오이노미카도 츠네히데]]
#!wiki style="margin: -5px -10px"
[[산조 사네아키]]
#!wiki style="margin: -5px -10px"
[[고가 미치에]]
#!wiki style="margin: -5px -10px"
[[구조 나오자네]]
#!wiki style="margin: -5px -10px"
[[다이고 츠네타네|다이고 가네키요]]
#!wiki style="margin: -5px -10px"
[[다카츠카사 스케히라]]
#!wiki style="margin: -5px -10px"
[[구조 미치사키]]
#!wiki style="margin: -5px -10px"
[[산조 스에하루]]
#!wiki style="margin: -5px -10px"
[[이치조 데루요시]]
#!wiki style="margin: -5px -10px"
[[히로하타 사키토요]]
#!wiki style="margin: -5px -10px"
[[사이온지 요시스에]]
#!wiki style="margin: -5px -10px"
(환임)[[이치조 데루요시]]
#!wiki style="margin: -5px -10px"
[[고노에 츠네히로]]
#!wiki style="margin: -5px -10px"
[[오이노미카도 이에타카]]
#!wiki style="margin: -5px -10px"
[[다카츠카사 마사히로]]
#!wiki style="margin: -5px -10px"
[[고가 노부미치]]
#!wiki style="margin: -5px -10px"
(환임)[[오이노미카도 이에타카]]
#!wiki style="margin: -5px -10px"
(환임)[[사이온지 요시스에]]
#!wiki style="margin: -5px -10px"
[[이치조 다다요시]]
#!wiki style="margin: -5px -10px"
[[산조 사네오키]]
#!wiki style="margin: -5px -10px"
[[니조 나리미치]]
#!wiki style="margin: -5px -10px"
[[도쿠다이지 사네사키]]
#!wiki style="margin: -5px -10px"
[[이마데가와 사네타네]]
#!wiki style="margin: -5px -10px"
[[고노에 모토사키]]
#!wiki style="margin: -5px -10px"
[[가산노인 요시노리]]
#!wiki style="margin: -5px -10px"
[[니조 나리노부]]
#!wiki style="margin: -5px -10px"
[[산조 긴오사]]
#!wiki style="margin: -5px -10px"
[[구조 히사타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오이노미카도 츠네히사]]
#!wiki style="margin: -5px -10px"
[[고가 미치아키]]
#!wiki style="margin: -5px -10px"
[[히로하타 츠네토요]]
#!wiki style="margin: -5px -10px"
[[고노에 다다히로]]
#!wiki style="margin: -5px -10px"
[[가산노인 이에아츠]]
#!wiki style="margin: -5px -10px"
[[다이고 데루히로]]
#!wiki style="margin: -5px -10px"
[[도쿠다이지 사네미]]
#!wiki style="margin: -5px -10px"
[[다카츠카사 스케히로]]
#!wiki style="margin: -5px -10px"
[[히로하타 모토토요]]
#!wiki style="margin: -5px -10px"
[[산조 사네츠무]]
#!wiki style="margin: -5px -10px"
[[이치조 다다카]]
#!wiki style="margin: -5px -10px"
[[니조 나리유키]]
#!wiki style="margin: -5px -10px"
[[고가 다케미치]]
#!wiki style="margin: -5px -10px"
[[도쿠다이지 긴이토]]
#!wiki style="margin: -5px -10px"
[[고노에 다다후사]]
#!wiki style="margin: -5px -10px"
[[오이노미카도 이에코토(에도 시대)|오이노미카도 이에코토]]
#!wiki style="margin: -5px -10px"
[[히로하타 다다아야]]
내대신부 내대신 →

{{{-2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0px; padding: 0"
[[틀:역대 일본 태정대신|{{{#DCA600 태정대신}}}]]
좌대신·우대신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0px; padding: 0"내대신}}}}}}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001F, #BD0029 20%, #BD0029 80%, #AF001F)"





에도 막부 제4대 정이대장군
도쿠가와 이에츠나
徳川家綱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31px-Tokugawa_Ietsuna.jpg
생몰년도1641년 9월 7일 ~ 1680년 6월 4일
신장158cm[1]
원호겐유인(厳有院)
재임기간1651년 ~ 1680년

1. 개요
2. 생애
3. 여담
4. 대중매체



1. 개요[편집]


에도 막부의 제4대 쇼군. 제3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츠장남으로 이에미츠는 겨우 얻은 아들 이에츠나를 태어날 때부터 이미 후계자로 작정했다고 한다.

이 시기는 무단 통치와 문치주의의 혼합기라 할 수 있다.


2. 생애[편집]


1651년 도쿠가와 이에미츠가 만 48세로 사망하자 불과 11세의 나이에 쇼군의 자리에 오르게 되었다. 어린 이에츠나가 쇼군직을 제수받음으로 인해 쇼군도쿠가와 가문이 대대로 계승한다는 원칙이 천명되었다고 한다.

다만 이에츠나가 불과 11세에 불과했기 때문에 이에츠나의 치세 초기에는 1651년(케이안[慶安] 4年) 막부 타도를 외친 유이 쇼세츠(由比正雪, 1605 ~ 1651) 등이 일으킨 '케이안의 변' 등으로 정정 불안이 있었다. 그러나 숙부인 호시나 마사유키[保科正之][2], 이에미츠의 신하였던 사카이 타다노부, 마츠다이라 노부츠나 등 소위 "칸에이의 유로(寛永之遺老)"라 불리는 명신들의 보좌를 받으면서 정정 불안을 해소하고 이후 29년여동안 치세는 안정을 찾게 되었다.

이에츠나는 도쿠가와 이에야스 이래로 내려오던 힘으로 누르는 정치에서 벗어나서 이에야스가 다이묘들을 억누르던 정책을 일부 완화했다. 다이묘가 갑작스럽게 사고 등으로 사망할 때 후계자가 없을 경우, 급하게 양자를 세울 수 있었던 <말기양자(末期養子) 제도>를 이에야스는 금지했으나 이에츠나는 이를 풀어주었다. 이로 인해 각 다이묘들은 후계자 계승에 안정을 기할 수 있었고, 갑작스런 주군의 죽음에 따른 영지의 몰수와 가신들이 낭인으로 떨어지는 것을 줄여주었다. 또한 주군이 죽었을 때 가신들이 자결하는 순사를 금하는 <순사금지령>을 강화하는 등 문치정치를 추구했다.[3]

치세 후기로 접어들면서부턴 이에츠나를 보좌하던 명신들이 하나둘씩 사망하거나 고령으로 은퇴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에츠나는 쇼군이 단독으로 의사를 결정하지 않고 대로들과 함께 상의하여 결정하는 방식의 정치를 정착시켰다. 또한 선대 이에미츠 시절에도 연결되는 칸에이 대기근의 교훈을 상기하여 기근 대책으로 농업을 중심에 두고 유통경제의 활성화에도 주력했다.

다만 말년까지 후계자가 없어 고심해야 했다. 정실인 후시미노미야 아키코 여왕(顕子女王, 1640 ~ 1676)에게선 아이가 태어나지 않았고, 측실[4]이 임신을 해도 사산되거나 유산되는 불행이 있었다. 결국엔 이에츠나가 1680년 병으로 위독한 상황에 처하자, 배다른 막내 동생인 타테바야시 번주 마츠다이라 츠나요시를 양자로 맞아서 후계자로 삼았으니, 그가 바로 이른바 쇼군(...)으로 불리기도 하는 도쿠가와 츠나요시였다. 그리고 이후 이에츠나는 40세(만 38세)의 젊다면 젊은 나이로 사망하고 만다.


3. 여담[편집]


한국 한자음 한정으로 증조부인 도쿠가와 이에야스동명이인이다.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徳川家康(덕천가강), 이에츠나는 徳川家綱(덕천가강)이다.

그의 치세는 조선효종, 현종 치세기와 거의 일치한다. 또 에도 막부의 기틀을 확립한 쇼군으로서 조선으로 치면 성종과 비슷한 타입의 통치자라고 볼 수도 있을듯 하다.

이전의 쇼군들과는 달리(?) 상당히 너그럽고 인자한 성품의 소유자로 알려져있다. 인지도가 낮아서 그렇지 인품만 따지면 역대급 쇼군 중 하나라카더라 그의 인품과 관련된 일화가 몇 개 전해져오는데, 우선 쇼군에 오른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 누군가가 망원경을 바치면서 천수각에서 망원경으로 내려다보면 어떻겠냐고 하자 이에츠나는 "나는 쇼군이지만 동시에 소년이다. 내가 천수각에서 망원경으로 내려다보면 사람들이 기분 나빠하지 않겠는가."라면서 망원경을 손에 들지 않았다고 한다.[5]

또 아버지 이에미츠가 신하들과 유배된 죄인들에 대해서 논의하고 있을 때 이에츠나가 유배된 죄인들에게 먹을 것을 주느냐고 물었다. 신하들이 대답을 하지 못하자 이에츠나는 "생명을 소중히 하려고 유배형을 내린 것인데 왜 먹을 것을 주지 않는가."라고 말했고, 이에미츠는 이에츠나의 말에 기뻐하며 "이런 말을 한 것은 이에츠나가 처음이다."라며 유배된 죄인들에게 먹을 것을 제공할 것을 명했다고 한다.

쇼군이 된 이후에는 이에츠나가 식사를 하는데 우연히 이에츠나의 머리카락이 들어있는 것을 보게 되었다. 시종이 당황하자 이에츠나는 "그릇을 비우고 한 그릇 더 가져오너라."라고 명했다. 국에 문제가 있어서 바꾸는게 아니라 한 그릇 더 먹는 것처럼 말해서 요리를 한 사람이 곤욕을 치루지 않게 하려는 배려였다고.

신하들의 의견을 많이 수용했는데, 그러다보니 정무를 신하들에게 맡기고 자신은 "그리하거라." 하고 결재하는 일이 잦아져 그리하거라 님(左様せい様)이라는 별명이 붙었다는 일화도 있다.

반면 상기한 성품과 거리가 먼 사건도 있었는데, 1653년에 키우치 소우고로(木内惣五郎)라는 사람이 과도한 세금에 대한 상소를 올렸다가 사형에 처해진 사건이 있었다. 이는 당시에 쇼군에게 직접 상소를 올리는 행동이 법으로 금지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재위기 시절 이던 1666년 9월 4일 당시 조선에서 탈출한 헨드릭 하멜 일행이 탈출하여 나가사키 근처 고토섬에 도착하였고 그들을 심문하여 조선의 정세, 국제 관계, 나라 상황 등 국가현안뿐 아니라 문물, 풍습과 같은 부수적 분야를 포함한 총 54여개 항목에 대한 조사를 단 하루만에 진행하였고 이를 무기로 조선을 외교적으로 압박했었다.[6]

그의 치세 기간 중에 세키가하라 전투로 유배된 우키타 히데이에가 향년 83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오래도 살았다

1655년에는 조선통신사를 맞이 했었다고 한다.


4. 대중매체[편집]


만화《오오쿠》에서는 이에미츠(치에) 뒤를 이은 딸로 나온다. 실제 역사에서처럼 "그리하거라." 라고만 하는 일화도 나오고, 이에미츠와 다르게 정치와 후사에 관심없었지만[7] 어머니의 애첩 겸 새 아빠인 아리고토의 만류로 그나마 관심을 보인다. 사실 새아빠인 아리고토를 사랑했고 대화재 때 아리고토에게 고자여도 상관없다며 고백하지만 차인다. 아리고토가 떠나고 실연의 충격으로 정치와 후사에 다시 관심끊고 막부의 허수아비로 살다 후사없이 요절했다. 이에미츠나 이에츠나가 유배를 보낸 적도 없는데 어째서인지 유배된 사람들이 있다고 언급되며 유배 문제는 아기만 낳다 죽은 이에미츠가 아닌 아리고토와 해결하는 걸로 나온다.

1986년 성인 영화 오오쿠 18경 (大奥十八景) 에서 4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츠나 역을 배우 아오이 테루히코가 맡았다.

마계전생에서는 당대의 쇼군으로 나온다. 그러나 아마쿠사 시로 토키사다의 사주를 받은 가라샤에게 홀려서 타락하고, 뒤늦게 그녀의 속셈을 눈치채지만 이미 때는 늦어 실랑이 끝에 성에 불이 나버리고, 무사들은 야규 무네노리에게 참살, 본인은 가라샤와 싸우다가 불속으로 추락해 사망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4 23:35:29에 나무위키 도쿠가와 이에츠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위패로 추정한 키.[慶安] 고코묘 덴노(後光明 天皇) 시절 연호이다.[保科正之] 3대 쇼군 이에미츠의 이복 동생으로 공처가였던 할아버지 도쿠가와 히데타다가 숨겨둔 자식이었는데, 이복 형인 이에미츠가 신임하여 중용했다. 생몰은 1611 ~ 1673[2] 참고로 호시나 가문은 다케다 신겐과 관련된 가문이었다[3] 여담으로 낭인의 경우 에도 막부의 큰 사회문제가 되었고 순사의 경우에는 순사자가 너무 많아서 문제가 되고 있었다. 이미 막부의 공식 금지령이 떨어지기 전에 자체적으로 금지한 번도 있었을 정도.[4] 아이가 없는게 워낙 고민이었는지 후시미노미야측에서 직접 측실을 추천할 지경이었다고 한다.[5] 망원경이 뭐 어떻냐고 할 수도 있지만 옛날 시대 사람들 입장에서 보면 이상할 수도 있을 것이다[6] 남은 일행들을 일본으로 보내달라고 조선측에 외교문서를 보냈다고 한다.[7] 부하들은 오히려 정치에 관심없는거 보단 후사가 없는 걸 더 걱정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