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동부동(울산)

덤프버전 :

||


동구법정동
동부동
東部洞 | Dongbu-dong
광역자치단체울산광역시
기초자치단체동구
행정표준코드3117010700
관할 행정동남목1동, 남목3동
면적6.62㎢
1. 개요
2. 지명 유래
3. 특징
4. 관할 행정동
4.1. 남목3동
5. 주요 시설
5.1. 아파트
6. 교육
7. 기업
8. 교통
8.1. 버스
8.1.1. 일반
8.1.2. 마을
9. 관광


1. 개요[편집]


울산광역시 동구에 있는 법정동. 행정동은 남목1동, 남목3동으로 나눠지지만 실질적인 행정동은 남목3동이다.

2. 지명 유래[편집]


동부동은 앞불내(南木川)라는 이름으로 이미 조선 초부터 등장하며, 예종 1년(1469)에는 적진리(赤津里)라 하였다. 그후 정조 때는 남옥리(南玉里)라 하였고, 고종 31년(1894)에는 옥류천(玉流川) 동쪽을 동부동이라 하여 비로소 그 이름이 처음 시작된다.일제 강점기인 1911년에도 동부동이라 하다가 1914년의 행정 구역 개편 때는 동부리라 하였다.

3. 특징[편집]


동 남쪽으로 한국무브넥스와 HD현대중공업 등의 기업이 있어서 주민들 다수가 이곳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거대한 베드타운을 형성하고 있다. 동의 동쪽과 서쪽이 마골산과 봉대산으로 둘러싸인 형상이며 주전, 강동, 정자 방향으로 가는 길목에 위치해 있으며 마성터널이 개통된 이후 통행량이 많이 늘었다.

4. 관할 행정동[편집]



4.1. 남목3동[편집]


동구행정동
남목3동
南牧三洞 | Nammok 3(sam)-dong
광역자치단체울산광역시
기초자치단체동구
행정표준코드3710030
관할 법정동주전동, 동부동
하위 행정구역18통 125반
면적8.59㎢
인구11,492명[1]
인구밀도1,337.83명/㎢
정치
[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 동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권명호 (초선)
울산광역시의원 | 제3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강대길 (3선)
동구의원 | 다 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박경옥 (3선)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수영 (초선)

행정복지센터동해안로 100 (동부동 114-7)
남목3동 행정복지센터


5. 주요 시설[편집]


  • 남목3동 행정복지센터
  • 남목마성시장: 남목의 대표적인 전통시장. 원래 남목시장과 동부시장으로 분할하던 것을 통합해 운영하고 있다.
  • 울산동부경찰서 남목파출소
  • 울산동부시장 우편집중국
  • 동부회관: 2024년 울산 동구청이 운영하는 공공 체육시설로 전환 예정.


5.1. 아파트[편집]


  • 현대패밀리 동부아파트 - 1993년 12월 입주.
  • 영진청구 - 1990년 9월 입주.
  • 현대하이야트 1차 - 1990년 12월 입주.
  • 현대하이야트 2차 - 1991년 12월 입주.
  • 신안그린파크 - 1991년 11월 입주.
  • 현대파크맨션 - 1991년 12월 입주.
  • 한신 - 1991년 12월 입주.
  • 남목현대 - 1992년 1월 입주.
  • 아성오우션맨션 - 1992년 5월 입주.
  • 한라오로라타워 - 1993년 4월 입주.
  • 목화 - 1993년 5월 입주.
  • 남목그린타워 - 1993년 11월 입주.
  • 벽산유토피아 - 1993년 11월 입주.
  • 삼안파크맨션 - 1994년 1월 입주.
  • 일진 - 1978년 12월 입주.
  • 동서국민 - 1987년 5월 입주.
  • 두산 - 1990년 11월 입주.
  • 예뜨레 - 2015년 8월 입주.


6. 교육[편집]




7. 기업[편집]


  • 한국무브넥스[2]


8. 교통[편집]



8.1. 버스[편집]



8.1.1. 일반[편집]







8.1.2. 마을[편집]






9. 관광[편집]


  • 동축사
  • 남목마성
  • 울산테마식물수목원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05:12:47에 나무위키 동부동(울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23년 7월 주민등록인구[2] 舊 한국프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