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동의대학교/학부/한의과대학

덤프버전 :

||


1. 개요
2. 상세
3. 교육과정
3.1.1. 예과 1학년[1]
3.1.2. 예과 2학년[2]
3.2.1. 본과 1학년
3.2.2. 본과 2학년
3.2.3. 본과 3학년
3.2.4. 본과 4학년
4. 동아리
5. 여담


1. 개요[편집]


동의대학교한의과대학.


2. 상세[편집]





동의대학교 한의예과, 한의학과 공식 홈페이지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은 1987년 부울경 지역 최초의 한의과대학으로 출발하여 이 지역의 한의사 대부분이 동의대 출신일 정도로 설립 이래 오랜 기간 동안 많은 한의학 인재를 배출하고 있다.

상당수의 교수들이 병원에서 치료와 연구를 진행하는 한의사라는 점과 학생들 또한 임상 실습에 참여해야 하는 한의대의 특성상, 다른 학과와는 달리 양•한방 복합병원인 동의의료원이 있는 양정캠퍼스에 위치하고 있다.

3. 교육과정[편집]



3.1. 한의예과[편집]


인체공부인 해부학, 근육학, 신경학, 생리학, 생화학 등을 통한 기초공부를 목표로 한다. 한의대는 선택할 수 있는 교양이 없고, 대신에 기초과학 과목 등의 몇몇 예과 필수교양은 가야캠퍼스에서 수업을 듣는다.[3]

3.1.1. 예과 1학년[4][편집]


(한의인간경영 , 심리학의 원리 둘 중 한 과목을 선택해서 듣는다)


3.1.2. 예과 2학년[5][편집]



3.2. 한의학과[편집]


본과에서 침, 뜸, 추나 등 임상적인 치료술을 하기 위해서 본격적인 실습을 하게 되는데, 학년이 올라갈수록 실습 비중이 굉장히 높아지게 된다.

3.2.1. 본과 1학년[편집]



3.2.2. 본과 2학년[편집]



3.2.3. 본과 3학년[편집]



3.2.4. 본과 4학년[편집]



4. 동아리[편집]



한의과대학 내에 동아리들이 따로 존재하며, 가야캠퍼스 내 중앙동아리에 참가하는 한의대생은 거의 없다.[6] 그래서 중앙동아리에서 활동하기보다는 양정캠퍼스에서 한의대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한 별도의 동아리들을 조직해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5. 여담[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04:55:50에 나무위키 동의대학교/학부/한의과대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교육과정 개편이 진행된 23학번 기준이다.[2] 교육과정 개편 이전 학번들 기준이다.[3] 22학번까지는 가야캠에서 듣는 영어회화 수업이 존재했으나 23학번 부터 영어회화는 듣지 않는다. 이유는 난이도가 너무 쉬워서 굳이 들어야하냐는 의견이 폭발했다고…[4] 교육과정 개편이 진행된 23학번 기준이다.[5] 교육과정 개편 이전 학번들 기준이다.[6] 가야캠퍼스와 멀리 떨어져 있고, 수업과 공부량이 많아 중앙동아리 병행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7] 멀지 않은 거리에 위치했다 해도 서면교차로를 거쳐가야 하는 특성상 출퇴근 시간대에는 30분 이상 소요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