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뜻한 보수

덤프버전 :

파일:파란색 깃발.svg
보수주의 사상의 분파
[ 펼치기 · 접기 ]

현대적 보수주의
자유보수주의보수자유주의재정보수주의녹색 보수주의동정적 보수주의
일국 보수주의실용적 보수주의진보적 보수주의온건 보수주의신보수주의
고전적 보수주의
가부장적 보수주의전통적 보수주의사회보수주의국민보수주의고보수주의
문화적 보수주의가족주의
강경 보수주의
권위주의적 보수주의교권주의토착민주의반동주의초보수주의
인종 보수주의
종교적 보수주의
기독교 민주주의기독교 우파이슬람 민주주의이슬람주의불교 민주주의
유대 보수주의종교 시오니즘가톨릭 보수주의힌두트바보수주의 신학
자유지상주의적 보수주의
자유지상주의적 보수주의융합주의고자유지상주의
지역별 보수주의
보나파르트주의 파일:프랑스 국기.svg오를레앙주의 파일:프랑스 국기.svg법통주의 파일:프랑스 국기.svg드골주의 파일:프랑스 국기.svg보수혁명 파일:독일 국기.svg
일국 보수주의 파일:영국 국기.svg대처주의 파일:영국 국기.svg트럼프주의 파일:미국 국기.svg푸틴주의 파일:러시아 국기.svg유라시아주의 파일:러시아 국기.svg
보수민주주의 파일:튀르키예 국기.svg원칙주의 파일:이란 국기.svg알폰소주의 파일:스페인 국기.svg카를로스주의 파일:스페인 국기.svg프랑코주의 파일:스페인 국기.svg
메넴주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정통 페론주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장제스주의 파일:대만 국기.svg일민주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따뜻한 보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국민우파 파일:호주 국기.svg후지모리주의 파일:페루 국기.svg피노체트주의 파일:칠레 국기.svg보우소나루주의 파일:브라질 국기.svg베를루스코니주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나라별 현황
대한민국의 보수주의러시아의 보수주의미국의 보수주의인도의 보수주의영국의 보수주의
중국의 보수주의호주의 보수주의홍콩의 보수주의
문화, 지역별 현황
한반도의 보수주의
기타
우익 정치보수주의 페미니즘성소수자 보수주의흑인 보수주의보수적 사회주의
중도실용주의우익대중주의군주주의 (왕당파)아시아적 가치삼민주의
반공주의대안 우파안티페미니즘(일부)반자본주의(일부)반자유주의(일부)
부르주아 정당친생명귀족 이익영국 연합주의사회적 위계
블루 타이드가속주의(일부)탈파시즘보수좌파
관련 단체
국제민주연합중도민주 인터내셔널무슬림 형제단아데나워 재단에라스뮈스 재단
주요 3대 이념의 분파 (사회주의 · 자유주의 · 보수주의)



1. 개요
2. 명칭
3. 역사
4. 성향
5. 인물
6. 같이 보기



1. 개요[편집]


한국 정치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약자에 대한 온정적 태도를 보이거나 자유보수주의를 지지하는 중도우파적 보수 세력을 지향하는 것을 의미한다.

영국일국 보수주의, 미국록펠러 공화당, 일본굉지회, 캐나다레드 토리를 비롯한 가부장적 보수주의[1]가 한국의 따뜻한 보수 담론과 일상맥통한다. 온정적 보수주의와도 유사한 맥락의 용례이다


2. 명칭[편집]


따뜻한 보수주의라고도 칭하지만, 정치권에서나 온라인에서나 따뜻한 보수가 압도적으로 많이 쓰이므로 이 문서의 명제는 후자로 지정되었다.


3. 역사[편집]


한국의 따뜻한 보수주의 운동의 시초는 제18대 대통령 선거 당시 김종인경제민주화 담론이 시초인 것으로 보인다.


4. 성향[편집]


온건한 형태의 소득재분배 정책, 사회 복지등을 지지하며, 일부는 소수자 인권 등에 대해 관심을 보이기도 한다. 따뜻한 보수주의자들은 주로 중부담 중복지를 지지한다.

다만 한국의 따뜻한 보수 담론 주류는 일본과 달리 소득주도 성장론에 비판적인 이들[2]이 주류[3]이며, 분배정책과 사회복지의 필요성은 옹호하지만 이는 경제성장 문제와는 별도로 접근하는 경향이 있다.

본래 영미권에서는 이러한 정책노선을 대놓고 "가부장적 보수주의"라고 부르지만 영어한국어차이 때문에 '가부장적'이라는 명칭이 부정적 어감을 보이므로 따뜻한 보수, 따뜻한 보수주의라는 용어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다.


5. 인물[편집]


가부장적 보수주의보다 경제적 자유주의/온건 자유지상주의에 더 가까운 인물은 여기에 적지 않는다.[4]

  • 김세연 - 기후변화, 기본소득, 성소수자 인권 의제가 진보 담론이 아닌 보수 과제라고 언급하는 등 중도적이고 가부장적[5]인 견해를 내비쳤다. 그에 따르면 "변화하는 사회적 가치를 과격하지 않게 반영해 공동체를 이끌어가는 게 바로 보수의 사명"이라고 밝혔다.#
  • 김종인
  • 남경필
  • 유승민
  • 정병국
  • 천하람


6. 같이 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21:20:01에 나무위키 따뜻한 보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 맥락에선 권위주의적 가부장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강자의 의무, 약자에 대한 온정, 사회질서 안정을 위해 경제적 분배를 강조하는 사상을 의미한다.[2] 당장 유승민, 유경준, 정병국이 소득주도 성장론의 비판론자였다.[3] 일본의 중도우파 진영 중 일부가 주장하는 새로운 자본주의의 경우 소득주도 성장에 기반한 개념이다.[4] 이준석의 경우 전자보다 후자에 더 가깝다.[5] 가부장적 보수주의 문서에서도 알 수 있지만, 여기서의 가부장적이라는 용어는 고전적 남성우월주의적이라는 뜻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