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신일본 레슬킹덤

덤프버전 :

레슬킹덤 테마곡

1. 개요
2. 여담
3. 역대 이벤트 항목



1. 개요[편집]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플래그십 이벤트로 매년 1월 4일 도쿄돔에서 개최되며 1992년부터 1995년까지 각기 다른 이름이었다가 2005년까지는 1998년을 제외하면 레슬링 월드란 명칭으로 개최되었다가 2007년부터 레슬킹덤이란 명칭으로 흥행이 개최되며 RPW, ROH, CMLL를 비롯한 신일본 프로레슬링과 제휴하는 단체에서 활동하는 프로레슬러들도 참전한다.[1]


2. 여담[편집]


  • 2023년 기준, 본 PPV의 메인 이벤트에 가장 많이 출전한 선수는 타나하시 히로시오카다 카즈치카로 양 선수 총 11회의 레슬킹덤 메인 이벤트에 출전했으며 차이점이 있다면 타나하시 히로시는 레슬킹덤으로 이벤트명이 바뀌기 전까지 포함해서 총 11회의 도쿄돔 메인이벤트를 장식했다는 점이다.

  • 레슬킹덤 8의 경우, 오카다 카즈치카 vs. 나이토 테츠야의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매치[2]와 타나하시 히로시 vs. 나카무라 신스케의 IWGP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 매치[3]의 더블 메인이벤트로 기획되었으나 신일본 프로레슬링 사상 처음으로 팬투표를 통해 실질적 메인이벤트를 가리게 되었고, 타나하시 히로시 vs. 나카무라 신스케의 경기가 메인이벤트로 결정되었다. 당시 선역이던 나이토 테츠야에 대한 관중들의 역반응이 심했기에 결정된 사항이었고 나이토는 악역 전환 이후 이걸 두고두고 깠다.[4] 이후 나이토 테츠야G1 클라이맥스 27을 우승한 이후 레슬킹덤 12에서 다시 한번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메인이벤트로 가지게 되었는데, 이번에는 케니 오메가크리스 제리코IWGP US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이 더블 메인이벤트로 부킹되자 이 역시 강한 어조로 비판을 했다. 이에 챔피언십 당사자인 오카다 카즈치카는 자신이 다른 선수들하고 상대할 때는 그러지 않는데, 나이토 테츠야 하고만 맞붙으면 더블 메인이벤트로 부킹이 되는 건 신일본의 부킹 문제가 아니라 나이토 테츠야에게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냐고 일갈 하기도 하였다.

  • 본 이벤트의 개최일은 북미의 PPV와는 다르게 주중이든 주말이든 무조건 1월 4일로 고정되어 있다.[5]

  • 레슬킹덤 14의 경우 레슬킹덤 사상 최초의 2일 PPV로 진행된다. 기존에는 1월 4일에는 레슬킹덤 1월 5일에는 뉴 이어 대쉬 PPV를 코라쿠엔 홀에서 진행하는 방식이지만, 레슬킹덤 13 당일 현장에서 2019년 주요 일정과 2020년 레슬킹덤까지의 일정을 발표하면서 2020년은 1월 4일과 1월 5일 양일 경기로 진행하기로 공식 발표한다. 이에 따라 원래 1월 5일 코라쿠엔 홀에서 진행하는 뉴 이어 대쉬는 1월 6일 오오타구 종합 체육관에서 진행한다.

  • 레슬킹덤 16은 신일본 프로레슬링 창립 50주년을 맞아 사상 최초 3연전으로 펼쳐진다. 1월 4일과 5일은 기존과 동일하게 도쿄 돔에서 펼쳐지며, 1월 8일 요코하마 아레나에서 3번째 흥행이 펼쳐진다.


3. 역대 이벤트 항목[편집]


#이벤트 명일시관중수메인이벤트
1슈퍼 워리어즈 in 도쿄돔1992년 1월 4일50,000초슈 리키[6] vs. 후지나미 타츠미[7]
그레이티스트 18 클럽 챔피언십 &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2판타스틱 스토리 in 도쿄돔1993년 1월 4일63,500텐류 겐이치로 vs. 초슈 리키
3배틀필드1994년 1월 4일48,000텐류 겐이치로 vs. 안토니오 이노키
4배틀 71995년 1월 4일52,500하시모토 신야(c) vs. 사사키 켄스케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5레슬링 월드 19961996년 1월 4일54,000무토 케이지(c) vs. 타카다 노부히코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6레슬링 월드 19971997년 1월 4일62,500하시모토 신야(c) vs. 초슈 리키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7파이널 파워 홀 in 도쿄돔1998년 1월 4일55,000사사키 켄스케(c) vs. 무토 케이지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8레슬링 월드 19991999년 1월 4일52,500스캇 노튼(c) vs. 사사키 켄스케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9레슬링 월드 20002000년 1월 4일53,500텐류 겐이치로(c) vs. 사사키 켄스케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10레슬링 월드 20012001년 1월 4일52,000사사키 켄스케 vs. 카와다 토시아키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토너먼트 결승전[8]
11레슬링 월드 20022002년 1월 4일52,000아키야마 준(c) vs. 나가타 유지
GHC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12레슬링 월드 20032003년 1월 4일30,000나가타 유지(c) vs. 조쉬 베넷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13레슬링 월드 20042004년 1월 4일40,000나카무라 신스케[9] vs. 타카야마 요시히로[10]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 NWF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14토우콘 페스티벌: 레슬링 월드 20052005년 1월 4일46,000타나하시 히로시(c) vs. 나카무라 신스케
IWGP U-30 오픈웨이트 챔피언십
15토우콘 시도우 챕터 12006년 1월 4일31,000브록 레스너(c) vs. 나카무라 신스케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16레슬킹덤 I2007년 1월 4일18,000무토 케이지 & 쵸노 마사히로 vs. 텐잔 히로요시 & 코지마 사토시
17레슬킹덤 II2008년 1월 4일20,000타나하시 히로시(c) vs. 나카무라 신스케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18레슬킹덤 III2009년 1월 4일27,500무토 케이지(c) vs. 타나하시 히로시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19레슬킹덤 IV2010년 1월 4일41,500나카무라 신스케(c) vs. 타카야마 요시히로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20레슬킹덤 V2011년 1월 4일42,000코지마 사토시(c) vs. 타나하시 히로시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21레슬킹덤 VI2012년 1월 4일43,000타나하시 히로시(c) vs. 스즈키 미노루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22레슬킹덤 VII2013년 1월 4일29,000타나하시 히로시(c) vs. 오카다 카즈치카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23레슬킹덤 Ⅷ2014년 1월 4일35,000나카무라 신스케(c) vs. 타나하시 히로시
IWGP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
24레슬킹덤 Ⅸ2015년 1월 4일36,000타나하시 히로시(c) vs. 오카다 카즈치카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25레슬킹덤 X2016년 1월 4일25,204오카다 카즈치카(c) vs. 타나하시 히로시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26레슬킹덤 XI2017년 1월 4일26,192오카다 카즈치카(c) vs. 케니 오메가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27레슬킹덤 122018년 1월 4일34,995오카다 카즈치카(c) vs. 나이토 테츠야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28레슬킹덤 132019년 1월 4일38,162케니 오메가(c) vs. 타나하시 히로시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29레슬킹덤 142020년 1월 4일40,008오카다 카즈치카(c) vs. 이부시 코타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2020년 1월 5일30,063오카다 카즈치카[11] vs. 나이토 테츠야[12]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 IWGP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
30레슬킹덤 152021년 1월 4일12,689나이토 테츠야(c) vs. 이부시 코타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 IWGP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
2021년 1월 5일7,801이부시 코타(c) vs. 제이 화이트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 IWGP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
31레슬킹덤 162022년 1월 4일12,047타카기 신고(c) vs. 오카다 카즈치카
IWGP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2022년 1월 5일6,379오카다 카즈치카(c) vs. 윌 오스프레이
IWGP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2022년 1월 8일[A]7,077오카다 카즈치카 & 타나하시 히로시 vs. 무토 케이지 & 키요미야 카이토
32레슬킹덤 172023년 1월 4일26,085제이 화이트(c) vs. 오카다 카즈치카
IWGP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2023년 1월 21일[A]5,533나이토 테츠야 vs. 권왕
33레슬킹덤 182024년 1월 4일SANADA(c) vs. 나이토 테츠야
IWGP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1] 과거 TNA와 제휴 상태일 때는 TNA 소속 선수들이 참전하는 경우도 있었다.[2] 나이토 테츠야가 G1 클라이맥스 23에서 우승함으로써 권리증 획득[3] 챔피언인 나카무라 신스케의 지명[4] 회사에서 대놓고 IWGP 인터콘티넨탈 타이틀 경기를 밀어주면 보나마나 G1 클라이맥스 우승자인 본인이 1선 타이틀 매치도 세미 메인이벤트로 편성된다는 것에 불만을 가질테니 팬들에게 책임을 떠넘겼다는 식으로 나이토 테츠야가 말하곤 한다. G1 클라이맥스 25 예선전에서 G1 클라이맥스 25 우승자가 된 타나하시 히로시를 이겼기 때문에 G1 클라이맥스 우승 권리증을 가지고 있는 타나하시에게 나이토가 도전할 명분이 있있지만, 당시 악역이던 나이토 테츠야는 이에 관심조차 가지지 않은 채 '권리증을 따도 메인이벤트를 못해본 경험자니까 타나하시한테 이겨서 권리증을 뺏어와도 레슬킹덤 메인에 선다는 보장이 없다.', '만약 자신이 이기면 또 팬투표하자'는 식의 발언을 하여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모회사인 부시로드를 상대로 어그로를 끌었다.[5] 도쿄돔은 연말과 연초에 콘서트 등 예약된 스케쥴이 빼곡하기 때문에 날짜를 정해 대관하지 않는 이상 이벤트를 열기 힘들다. 그렇기 때문에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암흑기 때, 빈 좌석이 많은 상황에도 도쿄돔에서 꿋꿋하게 이벤트를 개최해준 유크스(부시로드 이전에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모회사)에 대한 고마움을 표하는 팬들이 있다. 또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경우에 일부 PPV는 날짜나 시기 등을 고정해놓고 별다른 변동없이 개최한다. 예를 들어 레슬링 돈타쿠의 경우에는 2009년 이후 모든 대회 개최 시기가 일본의 헌법기념일인 5월 3일(2018년부터는 5월 4일까지 양일로 열린다.)이고, 킹 오브 프로레슬링의 경우는 대회를 여는 시기가 매년 10월 둘째 주 월요일인 체육의 날이다.[6] 그레이티스트 18 클럽 챔피언[7]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8] 공석 상태가 된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의 주인을 가리기 위한 토너먼트 경기 다수가 이 날 대회에서 열렸다.[9]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10] NWF 헤비웨이트 챔피언[11]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12] IWGP 인터컨티넨탈 챔피언[A] A B 요코하마 아레나에서 개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04:38:28에 나무위키 신일본 레슬킹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