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로저스 앤 해머스타인

덤프버전 :

로저스 앤 해머스타인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파일:Grammy.svg
'''[[그래미 어워드#s-3.3.1|{{{#b69858 그래미 어워드 공로상 수상자
Grammy Trustees Award}}}]]'''
[ 펼치기 · 접기 ]

1967년게오르그 솔티, 존 컬쇼
1968년듀크 엘링턴, 빌리 스트레이혼, 크시슈토프 펜데레츠키
1970년로버트 무그
1971년크리스 알버트슨, 존 하몬드, 레리 힐러, 폴 웨스턴
1972년비틀즈
1977년토머스 에디슨, 레오폴드 스토코프스키
1979년고다드 리버슨, 프랭크 시나트라
1981년카운트 베이시, 에런 코플런드
1983년레스 폴
1984년벨라 바르톡
1985년엘드릿지 R. 존슨
1986년조지 거슈윈, 아이라 거슈윈
1987년해럴드 알렌, 에밀 벌리너, 제롬 컨, 조니 머서
1989년월트 디즈니, 퀸시 존스, 콜 포터
1990년딕 클라크
1991년밀트 가블러, 베리 골디, 샘 필립스
1992년토마스 A. 도시, 크리스틴 파논, 오스카 해머스타인 2세, 로렌즈 하트
1993년아흐메트 에르테군, 네스시 에르테군, W. C. 핸디, 조지 T. 사이먼
1994년노먼 그란츠
1995년피에르 코세트
1996년조지 마틴, 제리 웩슬러
1997년허브 앨퍼트, 제리 모스, 버트 배커랙, 핼 데이비드, 알란 제이 러너, 프레드릭 뢰베, 제리 리버와 마이크 스톨러
1998년홀렌드-호지어-홀렌드, 프란시스 W. 프레스톤, 리처드 로저스
1999년갬블 & 허프
2000년클라이브 데이비스, 필 스펙터
2001년아리프 말딘, 필 라몬
2002년톰 다우드, 앨런 프리드
2003년알란 로막스, 뉴욕 필하모닉
2004년게리 고핀 & 캐롤 킹, 오린 키프뉴스, 마리안 멕파랜드
2005년호기 카마이클, 돈 코넬리우스, 알프레드 라이언, 빌리 테일러
2006년크리스 블랙웰, 오웬 브래들리, 알 슈미트
2007년에스텔 액스턴, 코시마 마타사, 스티븐 손드하임
2008년클라렌스 애반트, 잭 홀츠만, 윌리 미첼
2009년조지 아바키안, 엘리엇 카터, 알렌 투생
2010년해롤드 브래들리, 플로렌스 그린버그, 월터 C. 밀러
2011년알 벨, 윌마 코자트 파인, 브루스 룬드벌
2012년데이브 바솔로뮤, 스티브 잡스, 루디 반 겔더
2013년알란 버그만 & 마릴린 버그만, 레오나드 체스 & 필 체스, 알란 W. 리빙스턴
2014년엔니오 모리코네, 릭 홀, 짐 마샬
2015년베리 만 & 신시아 웨일, 리차드 페리, 조지 웨인
2016년존 케이지, 프레드 포스터, 크리스 스트레비치
2017년톰 벨, 모 오스틴, 랄프 피어
2018년빌 그레이엄, 세이무어 스테인, 존 윌리엄스
2019년루 애들러, 애쉬포드 & 심슨, 조니 멘델
2020년프랭크 버클리 워커, 켄 에를리히, 필립 글래스
2021년에드 처니, 베니 골슨, 베이비페이스
2023년헨리 딜츠, 엘리스 마살리스, 짐 스튜어트
같이 보기: 평생 공로상 수상자 · 레전드상 수상자





파일:external/rodgersandhammersteincom.s3.amazonaws.com/about_rnh.jpg
왼쪽이 리처드 로저스, 오른쪽이 오스카 해머스타인 2세

1. 개요
2. 작품 목록


1. 개요[편집]


Rodgers and Hammerstein

작곡가인 리처드 로저스와 극작가인 오스카 해머스타인 2세가 이룬 팀. 뮤지컬 역사상 최고의 콤비로 추앙받는다.

둘 모두 유대인이고 뉴욕 출신이라는 공통점이 있다.[1]

1920년대 처음 연극계에 입문한 그들은 서로를 만나기 전부터 성공적인 커리어를 쌓아왔다. 로저스는 'My Funny Valentine'의 작사가로 유명한 로렌츠 하트와, 해머스타인은 'Old Man River'의 작곡가로 유명한 제롬 컨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작품을 만들어냈다. 이 네 명 모두 유대인이고 뉴욕 출신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게다가 이 네 명 중에 세 명(로저스, 해머스타인, 하트)은 모두 컬럼비아 대학교 출신이기도 하다. 이 넷 모두 아직 엉성했던 초창기 뮤지컬을 괄목할만큼 발전시키고 스타일을 확립시킨 중요한 음악인들로 평가받는다.

그러다가 로렌츠 하트가 알콜 중독으로 건강이 악화되면서 로저스는 해머스타인과 만나 팀을 이루게 된다.

이들은 연극 'Green Grow the Lilacs'를 뮤지컬로 옮긴 '오클라호마!'를 시작으로 1940년대 브로드웨이의 황금기를 열었다. 이때까지의 뮤지컬은 단순히 노래, 춤, 그리고 코미디를 모아놓은 것에 불과했지만, 로저스와 해머스타인은 여기에 탄탄한 줄거리와 형식을 더하면서 오늘날의 뮤지컬 장르를 확립해냈다.

오늘날까지 그들이 집필한 작품들은 34개의 토니상, 15개의 아카데미상, 2개의 그래미상퓰리처상을 수상했다.

2. 작품 목록[편집]


  • 오클라호마! (1943)
  • 회전목마 (1945)[2]
  • 남태평양 (1949)[3]
  • 왕과 나 (1951)
  • 신데렐라 (1957)[4]
  • 플라워 드럼 송 (1958)
  • 사운드 오브 뮤직 (1959)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22:09:32에 나무위키 로저스 앤 해머스타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만 해머스타인은 유대계에다 폴란드계, 독일계, 영국계 혈통도 가지고 있었다.[2] 여기서 리버풀 FC를 상징하는 명곡인 You'll Never Walk Alone이 나왔다.[3] 여기 나온 곡인 Happy Talk는 이마트송의 원곡이다.[4] 본래 CBS TV 영화로 제작되었고, 수많은 리메이크 끝에 2013년 Rodgers + Hammerstein's Cinderella라는 제목으로 무대 뮤지컬화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