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마이애미 인터내셔널 오토드롬

덤프버전 :

마이애미 인터내셔널 오토드롬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FIA 로고.svg
FIA 그레이드 1 서킷
[ 펼치기 · 접기 ]

서킷위치레이아웃길이
국립 몬차 자동차 경주장파일:이탈리아 국기.svg그랑프리5.793 km
뉘르부르크링파일:독일 국기.svg그랑프리5.148 km
느베르 마그니-쿠르 서킷파일:프랑스 국기.svg그랑프리4.411 km
두바이 오토드롬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그랑프리5.390 km
인터내셔널4.290 km
레드불링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그랑프리4.318 km
로사일 인터내셔널 서킷파일:카타르 국기.svg그랑프리5.380 km
리카르도 토르모 발렌시아 서킷파일:스페인 국기.svg그랑프리4.005 km
마리나 베이 시가지 서킷파일:싱가포르 국기.svg그랑프리5.077 km
마이애미 인터내셔널 오토드롬파일:미국 국기.svg그랑프리5.410 km
멜버른 그랑프리 서킷파일:호주 국기.svg그랑프리5.280 km
모나코 서킷파일:모나코 국기.svg그랑프리3.337 km
모스크바 레이스웨이파일:러시아 국기.svg그랑프리3.955 km
모터랜드 아라곤파일:스페인 국기.svg그랑프리5.345 km
에어로테스트4.933 km
FIM5.078 km
5.214 km
무젤로 국제 자동차 경주장파일:이탈리아 국기.svg그랑프리5.245 km
바레인 인터내셔널 서킷파일:바레인 국기.svg그랑프리5.412 km
엔듀어런스6.299 km
내부2.554 km
외부3.543 km
패독3.823 km
바르셀로나-카탈루냐 서킷파일:스페인 국기.svg그랑프리4.675 km
바쿠 시티 서킷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그랑프리6.003 km
부드 인터내셔널 서킷파일:인도 국기.svg그랑프리5.125 km
상하이 인터내셔널 서킷파일:중국 국기.svg그랑프리5.451 km
서킷 오브 디 아메리카스파일:미국 국기.svg그랑프리5.513 km
세팡 인터내셔널 서킷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그랑프리5.543 km
소치 오토드롬파일:러시아 국기.svg그랑프리5.848 km
스즈카 서킷파일:일본 국기.svg그랑프리5.807 km
스파-프랑코샹 서킷파일:벨기에 국기.svg그랑프리7.004 km
실버스톤 서킷파일:영국 국기.svg그랑프리5.901 km
알가르브 인터내셔널 서킷파일:포르투갈 국기.svg그랑프리4.653 km
야스 마리나 서킷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그랑프리5.554 km
에르마노스 로드리게스 자동차 경주장파일:멕시코 국기.svg그랑프리4.304 km
에스토릴 자동차 경주장파일:포르투갈 국기.svg그랑프리4.182 km
엔초 에 디노 페라리 자동차 경주장파일:이탈리아 국기.svg그랑프리4.909 km
이고라 드라이브파일:러시아 국기.svg그랑프리4.086 km
이스탄불 파크파일:튀르키예 국기.svg그랑프리5.338 km
인디애나폴리스 모터 스피드웨이파일:미국 국기.svg그랑프리4.192 km
제다 코니쉬 서킷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그랑프리6.175 km
질 빌르너브 서킷파일:캐나다 국기.svg그랑프리4.361 km
창 인터내셔널 서킷파일:태국 국기.svg그랑프리4.554 km
코리아 인터내셔널 서킷파일:대한민국 국기.svg그랑프리5.615 km
쿠웨이트 모터 타운파일:쿠웨이트 국기.svg그랑프리5.608 km
키미 링파일:핀란드 국기.svg그랑프리4.650 km
파크 잔드보르트 서킷파일:네덜란드 국기.svg그랑프리4.259 km
폴 리카르 서킷파일:프랑스 국기.svg그랑프리5.842 km
피오라노 서킷파일:이탈리아 국기.svg-2.997 km
헝가로링파일:헝가리 국기.svg그랑프리4.381 km
헤레스 서킷파일:스페인 국기.svg그랑프리4.428 km
호세 카를로스 파시 서킷파일:브라질 국기.svg그랑프리4.309 km
호켄하임링파일:독일 국기.svg그랑프리4.574 km
후지 스피드웨이파일:일본 국기.svg그랑프리4.563 km





파일: 마인.jpg
마이애미 인터내셔널 오토드롬
Miami International Autodrome
파일:마이애미 시가지 서킷 레이아웃.png
서킷 정보
위치미국 플로리다 주 마이애미 마이애미 가든스
수용 능력- 명
FIA 그레이드1
개장2022년 5월 6일
개최 경기포뮬러 1[1]
길이5.41km
코너19개
트랙 레코드[2]1:26.814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레이싱 RB19, 2023)
랩 레코드[3]1:29.708(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레이싱 RB19, 2023)

풀 코스 레이아웃 주행[4]

1. 개요
2. 서킷의 특징
3. 역대 기록
3.1. F1
4. 여담



1. 개요[편집]


2022년부터 포뮬러 1 캘린더에 합류할 미국 플로리다주 마이애미의 위성도시인 마이애미 가든스에 위치한 하드록 스타디움을 도는 시가지 서킷이며, 미국에서 F1이 열리는 11번째 도시가 되었다. 2000년대 들어서 포트 임페리얼 시가지 서킷 이후 공표된 2번째 서킷이다. 시가지 서킷의 특성상 실제 도로를 활용해야 하기 때문에 교통 혼잡도를 줄이고 주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설계해야했다. 이러한 점 때문에 이 서킷을 설계하기 위해서 36가지의 레이아웃을 테스트해보았다고 한다. 서킷의 전체적인 느낌이 호주의 멜버른 그랑프리 서킷과 비슷한 느낌을 낼 것이라고 한다. 마이애미에서도 F1경기를 진행하면 현재 서킷 오브 디 아메리카스에서 열리는 경기와 함께 미국에서 두 개의 그랑프리가 열리게 된다. 이렇게 되면 세브링 인터내셔널 레이스웨이 이후 오랜만에 플로리다에서 열리는 F1 경기가 된다.

이 서킷에서 멀지 않은 곳에 NASCAR 서킷인 홈스테드-마이애미 스피드웨이가 있을 만큼 나스카가 매우 인기 있는 모터스포츠이기 때문에 도메니칼리 회장을 비롯한 F1 관계자 측에서도 미국에서 COTA 말고도 더 많은 곳에서 열기를 바랐다. 그 결과물이 바로 마이애미 시가지 서킷이며, 앞으로 추가적인 미국 그랑프리가 열릴 수 있다고 한다. 그리고 그러한 인기를 보여주듯 첫 마이애미 그랑프리 티켓이 40분만에 매진되었다고 한다.

2021년 9월 2일, 이 서킷의 이름이 마이애미 인터내셔널 오토드롬으로 정해졌다. 약자는 MIA인데, 공교롭게도 마이애미시의 약칭과 동일하다.


2. 서킷의 특징[편집]


최고속도는 약 320km/h 정도로 예상되며, 평균속도는 222km/h 로 예상된다. DRS는 3개의 구간에서 쓸 수 있다. 주요 추월 포인트는 DRS가 각각 끝나는 1번, 11번, 17번 코너라고 한다.


3. 역대 기록[편집]



3.1. F1[편집]


  • 다승 기록(드라이버)
우승 횟수드라이버우승 연도
2회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막스 베르스타펜2022, 2023

  • 다승 기록(컨스트럭터)
우승 횟수컨스트럭터우승 연도
2회레드불2022, 2023

  • 연도별 우승 기록
연도드라이버소속팀


4. 여담[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7 00:11:07에 나무위키 마이애미 인터내셔널 오토드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22년부터 개최[2] 이 서킷에서 기록된 가장 빠른 랩타임.[3] 이 서킷에서 열린 레이스 도중 기록된 가장 빠른 랩타임. 대회에 따라 상이할 수 있음.[4] 샤를 르클레르의 2022년 마이애미 그랑프리 폴 포지션 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