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마천루

덤프버전 :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마천루의 저주
,
,
,
,
,


마천루의 관련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역대 대한민국 최고층 마천루
[ 펼치기 · 접기 ]

1969년~1970년한진빌딩82.8 m / 23층
1969년 완공
서울특별시 중구
1970년~1978년삼일빌딩114 m / 31층
1970년 완공
서울특별시 종로구
1978년~1985년롯데호텔 서울 본관138 m / 38층
1978년 완공
서울특별시 중구
1985년~2003년63빌딩249.6 m / 60층
1985년 완공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2003년~2004년목동 하이페리온 A동256 m / 69층
2003년 완공
서울특별시 양천구
2004년~2011년타워팰리스 3차 G동263.7 m / 69층
2004년 완공
서울특별시 강남구
2011년~2014년해운대 두산위브 더제니스 101동300 m / 80층
2011년 완공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2014년~2017년포스코타워-송도305 m / 65층
2014년 완공
인천광역시 연수구
2017년~롯데월드타워554.5 m / 123층
2017년 완공
서울특별시 송파구




파일:일본 국기.svg
역대 일본 최고층 마천루
[ 펼치기 · 접기 ]

1936년~1964년일본 국회의사당65 m / 9층
1936년 완공
도쿄도 치요다구
1964년~1968년호텔 뉴 오타니 도쿄72 m / 17층
1964년 완공
도쿄도 치요다구
1968년~1970년가스미가세키 빌딩156 m / 36층
1968년 완공
도쿄도 치요다구
1970년~1971년도쿄 세계무역센터163 m / 40층
1970년 완공
도쿄도 미나토구
1971년~1974년게이오 플라자 호텔180 m / 47층
1971년 완공
도쿄도 신주쿠구
1974년신주쿠 스미토모 빌딩210 m / 52층
1974년 완공
도쿄도 신주쿠구
1974년~1978년신주쿠 미쓰이 빌딩225 m / 55층
1974년 완공
도쿄도 신주쿠구
1978년~1991년선샤인 60240 m / 60층
1978년 완공
도쿄도 도시마구
1991년~1993년도쿄도청243 m / 48층
1991년 완공
도쿄도 신주쿠구
1993년~2014년요코하마 랜드마크 타워296 m / 70층
1993년 완공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2014년~2023년아베노하루카스300 m / 60층
2014년 완공
오사카부 아베노구
2023년~아자부다이 힐스325 m / 64층
2023년 완공
도쿄도 미나토구
2027년~(예정)토치타워390 m / 63층
2027년 예정
도쿄도 치요다구




파일:중국 국기.svg
역대 중국 최고층 마천루
[ 펼치기 · 접기 ]

1963년~1979년1979년~1984년1984년~1990년1990년~1992년
만다린 오리엔탈 호텔 홍콩인민해방군 주홍콩부대 빌딩
(舊 프린스 웨일스 빌딩)
더 랜드마크중국은행 타워
90 m / 25층
1963년 완공
120 m / 28층
1979년 완공
212 m / 48층
1984년 완공
367 m / 70층
1990년 완공
영국령 홍콩영국령 홍콩영국령 홍콩영국령 홍콩
1992년~1996년1996년~1997년1997년~1998년1998년~2008년
센트럴 플라자션힝 스퀘어시틱 플라자진마오 타워
374m / 78층
1992년 완공
384 m / 69층
1996년 완공
391 m / 80층
1997년 완공
421 m / 88층
1998년 완공
영국령 홍콩광둥성 선전시광둥성 광저우시상하이시
2008년~2014년2014년~ (현재)
상하이 세계금융센터상하이 타워
492 m / 101층
2008년 완공
632 m / 128층
2014년 완공
상하이시상하이시




파일:대만 국기.svg
역대 대만 최고층 마천루
[ 펼치기 · 접기 ]

1919년~1972년1972년~1973년1973년~1981년1981년~1983년
대만총독부·개수관·총통부힐튼 호텔(카이사르호텔)그랜드 호텔 타이베이제일상업은행 빌딩
60 m / 9층
1919년 완공
71 m / 20층
1972년 완공
87 m / 12층
1973년 완공
88 m / 22층
1983년 완공
타이베이타이베이타이베이타이베이
1983년~1988년1988년~1990년1990년~1992년1992년
타이완전력 본사 빌딩타이베이 세계무역센터툰텍스 타워(툰난타워)아태금융플라자
127 m / 27층
1983년 완공
143 m / 34층
1988년 완공
144 m / 35층
1990년 완공
195 m / 42층
1992년 완공
타이베이타이베이타이베이가오슝
1992년~1993년1993년~1997년1997년~2003년2003년~현재
장곡 세계무역센터신광 라이프 타워가오슝 85 타워타이베이 101
222 m / 50층
1992년 완공
244 m / 51층
1993년 완공
378 m / 85층
1997년 완공
508 m / 101층
2003년 완공
가오슝타이베이가오슝타이베이




파일:아시아 위치.svg
역대 아시아 최고층 마천루
[ 펼치기 · 접기 ]

1963년 ~ 1970년1970년 ~ 1974년1974년 ~ 1977년1977년 ~ 1985년
하비브 은행 플라자IDBI 타워신주쿠 미쓰이 빌딩선샤인 60
101m / 22층
1963년 완공
156m / 35층
1970년 완공
225m / 55층
1974년 완공
238m / 60층
1978년 완공
파일:파키스탄 국기.svg파일:인도 국기.svg파일:일본 국기.svg파일:일본 국기.svg
1985년 ~ 1987년1987년 ~ 1989년1989년 ~ 1991년1992년 ~ 1995년
63빌딩원 래플즈 플레이스중국은행 타워센트럴 플라자
249m / 60층
1985년 완공
280m / 63층
1987년 완공
367m / 70층
1990년 완공
374m / 78층
1992년 완공
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싱가포르 국기.svg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1996년1997년1998년 ~ 2003년2003년 ~ 2010년
션힝 스퀘어시틱 플라자페트로나스 트윈 타워타이베이 101
384m / 69층
1996년 완공
391m / 80층
1997년 완공
452m / 88층
1998년 완공
509m / 101층
2003년 완공
파일:중국 국기.svg파일:중국 국기.svg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파일:대만 국기.svg
2010년~예정현재현재
부르즈 할리파제다 타워(현재)(현재)
828m / 163층
2010년 완공
1,007m / 171층
미정
(현재)(현재)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현재)(현재)







파일:부르즈 할리파.png
세계 최고층 마천루인 부르즈 할리파[1]

1. 개요
2. 기준
3. 역사
4. 공법
5. 구조
6. 내진설계
7. 단점
8. 여담
9. 일람
9.1. 세계 순위
9.2. 국가 및 지역별
9.3. 미완성
9.4. 과거
9.5. 페이퍼플랜
10. 대중매체



1. 개요[편집]


마천루(, Skyscraper)는 '하늘을 찌를 듯이 아주 높게 솟은 고층 건물(= 초고층 빌딩)'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한자의 뜻은 '하늘()을 문지르는() 다락()'이라는 뜻으로, 건물이 매우 높아서 하늘에 닿을 듯하다는 의미이다. 영어 'skyscraper' 역시 건물이 매우 높아서 마치 하늘(sky)을 긁어내는(scrape) 듯하다는 의미이다. 실제로 '마천루'와 'skyscraper'는 어원도 똑같이 실크로드상에 있는 바벨탑 신화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기준[편집]


Top 100 Tallest Buildings in the World (2020)

주된 용도는 아파트, 오피스텔, 호텔, 사무실 등이며, 기록적인 마천루는 랜드마크의 반열에 오른다. 대부분의 전망대는 고층빌딩에 설치되기에 관련이 많다. 공식적으로는 과밀한 도시에서 토지의 고도 이용이라는 측면에서 만들어진 주로 사무실용의 고층건물을 가리킨다. 건물(Building)이 기준인지라 사람이 상주할 수 없는 탑이나 기둥은 아무리 높아도 마천루로 분류하지 않는다. 그래서 에펠탑이나 오스탄키노 탑, CN 타워, 도쿄 스카이트리 같은 계열 건축물들은 높이를 나타내기 위해서 형식적으로 마천루라는 이름을 붙일 뿐, 공식적인 통계에서는 빠진다.

이 점때문에 건물이라 할지라도 꼭대기에 첨탑 같은 구조가 있는 경우 어디까지를 건물로 인정해서 높이를 정하느냐에 논란이 종종 생기기도 한다. 보통 필요에 따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는 안테나피뢰침은 포함시키지 않는 편이며, '첨탑(Spire)'은 높이에 포함시킨다.[2] 첨탑은 철거될 수 없으며, 건물 설계시에 반영되어 건물이 존재하는 한 영구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윌리스 타워[3]와 페트로나스 타워가 안테나를 재냐 안재냐에 승부를 겨루고 있다. 현재는 윌리스 타워의 안테나는 안 재고 페트로나스 타워의 첨탑을 재어 페트로나스가 더 높다고 인정받고 있다. 왜냐하면 윌리스 타워의 안테나는 비정상적으로 많을뿐더러 길기 때문이다.

어느 정도 높이의 건물을 마천루로 볼 것인가에 대한 세계적인 기준은 없다. 어차피 절대적인 기준은 없기 때문에 고층 건물이 적은 도시에서는 기준이 낮기도 하다. 로스엔젤레스를 배경으로 한 영화 볼케이노에서는 방송사 기자가 "20층 높이의 마천루를(skyscraper)..."이라고 하는 말이 나온다. 보통 높이가 150m(40층)를 넘어가면 마천루로 부른다. CTBUH(세계초고층도시건축학회, Council Tall Buildings and Urban Habitat)에서는 '지상 50층' 혹은 '200m' 이상의 건물을 '마천루'로 정의하고 있다. 이 기준은 대한민국의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재난관리에 관한 특별법에도 수용되어 있다.


3. 역사[편집]


미국의 건축가 윌리엄 R. 제니가 1885년(고종 22년) 시카고에 홈 인슈어런스 빌딩을 건축하며 시작되었다. 해당 건물은 10층으로 1931년까지 존재했다.

20세기 들어 도시의 인구 및 업무밀도가 높아지면서 스프롤 현상이 벌어지자, 이에 대항하기 위해서 고층건물에 대한 요구는 자연스럽게 흘러나왔고,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발전과 엘리베이터의 발명으로 건물은 훨씬 높아질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1902년 마천루의 시초로 여겨지는 플랫아이언 빌딩[4] 지어진다. 이후 마천루의 발전은 가속화된다. 안토니오 산텔리아가 1912년에 제시한 미래 마천루의 이미지는 이후 마천루의 모습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이후 광란의 20년대(Roaring 20s)를 맞이한 1920년대~1930년대 초에 상당수의 뉴욕 마천루들이 지어졌다. 가장 유명한 것이 크라이슬러 빌딩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이다. 하지만 1929년 터진 세계 대공황의 여파로 마천루 건축 열풍은 사그라들었다.

이후 1960년대부터 마천루 열풍이 재개되었고, 1970년~1973년에는 뉴욕의 랜드마크와 같았던 쌍둥이 빌딩이 세워졌다.

1990년대에는 냉전의 종료로 소련에게 국력을 과시할 필요가 없어진 미국에서 마천루 열풍이 끝났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2001년 9.11 테러가 발생하면서 뉴욕의 마천루 시대는 막을 내렸다고 볼 수 있다. 물론 그 이후에도 뉴욕에서는 더 높은 마천루들이 지어졌으나 주도권은 아시아 지역에게 내주어야 했다.

90년대부터 20세기 중반 경제적으로 성장한 아시아권과 중남미권에서 국력 과시나 비싼 땅값을 커버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널리 퍼져가고 있다. 1997년 개장한 말레이시아의 페트로나스 트윈 타워, 2004년 개장한 대만의 타이페이 101, 2009년~2010년 아랍 에미리트의 부르즈 할리파, 2017년 대한민국의 롯데월드타워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리고 2021년 현재, 아랍 에미리트 두바이에 있는 부르즈 할리파가 공식 높이 828m로 넘사벽 수준의 높이를 기록하고 있다. 이 타이틀은 사우디아라비아의 제다 타워(1,000m 이상, 167층)가 완공되면 깨질 예정이다.[5]


4. 공법[편집]


1. 엑스-브레이싱 공법
기존의 마천루들은 각 층의 칸마다 촘촘히 기둥을 세우고 대들보를 얹는 방식 이었다. 하지만 엑스-브레이싱 공법으로 각층의 칸에 촘촘히 기둥을 세우는 대신 사선의 철골 지지대를 넣어 건물을 지탱할 수 있다. 대표적인 마천루로는 존 핸콕 센터가 있다.

2. 코어월 공법
마천루들의 척추 역할을 해주는 코어(core) 구조를 단단한 콘크리트로 구성하는 방식. 건물 자체의 하중이나 풍하중, 지진하중같은 외력을 잘 지탱한다는 장점이 있다. 현재는 자동화 기술이 발달하면서 코어의 거푸집이 자동적으로 상승하는 ACS(Auto Climbing System)이 널리 쓰이고 있다. 대표적인 코어월 공법의 예로는 롯데월드타워, 그리고 9.11테러 이후 재건된 제1 세계무역센터가 있다.

3. 조립식 공법(모듈러 건축)
중국의 브로드 서스테이너블 빌딩 회사가 미는 방식으로 실제 57층 건물을 2주만에 완성시키는 무서움을 보여주었으며 888m 건물을 1년안에 짓는 스카이 시티 프로젝트도 진행했으나 검증이 아직 안되었기 때문에 중국 정부 마저도 반려를 시켜서 취소되는 등 아직 발전단계가 많이 남은 공법이다.


5. 구조[편집]


파일:skyscraper.gif

舊 세계무역센터를 비롯한 대개의 고층 빌딩들은 철골을 이용한 강구조였다. 건물을 빨리 세울 수 있고 시공시간이 줄어든 만큼 돈을 아낄 수 있었다. 하지만 철근 콘크리트 구조에 비해 내화성이 부족하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9.11테러는 철골을 이용한 마천루가 화재에 얼마나 취약한지를 보여주었고 그 이후의 초고층 건물들은 대부분 철골 구조와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하이브리드 구조로 바뀌었다. 즉, 철근 콘크리트로 된 코어를 중심으로 철골구조가 들어서는 형태. 세계무역센터는 비행기에서 유출 된 연료가 타면서 철골이 얼음 녹듯이 녹아버렸다. 때문에 열에 강한 콘크리트를 덧대는 것.


6. 내진설계[편집]


마천루는 당연히 내진설계의 끝판왕급이라 보면 된다. 지진이 날 경우 가장 안전한 곳은 마천루의 1층이라고 생각해도 될 정도로 안전성 면에선 최고의 수준을 자랑한다. 내진설계가 되지 않은 마천루라 함은, 건설사와 건물주의 부도는 당연하고,[6] 국가부도 위기까지도 몰고 올 수 있을 정도로 파급력이 대단히 크다. 그렇기에 마천루의 내진설계는 상상을 초월하며, 이 건물이 얼마나 튼튼한지를 자랑하는 척도이기도 해서 마천루에 목숨을 거는 것도 있다. 물론 이건 당연히 긍정적 측면으로 밑의 표에서도 볼수 있듯이 300m 초과하는 마천루 139개 중 2000년대 이전에 완공이 된 건 21개에 불과하고 2010년 이후에 완공된 게 90개가 넘는다. 타이베이 101같은 경우 독특한 내진 장치를 자랑거리로 여기고 관광 코스로 활용한다.


7. 단점[편집]


  • 높은 시공 단가 및 공실률
주차문제와 엘리베이터 문제 때문에 호텔과 주거에 불편함이 있고, 주변 교통 문제가 악화되기 때문에 사무실 공실률도 높은 편이어서 이익을 보기 힘들다는 것. 이 때문에 대기업이나 국가 단위에서 자사나 자국의 브랜드를 알리는 랜드마크적 상징적인 의미의 광고 효과를 보고 투자하는 것이 아니면 차라리 짓지 않는 것이 대세.

  • 화재 등의 재난에 취약
한국의 경우 해도 15층 이상 빌딩의 화재는 고가사다리차를 이용할 수 없다. 그나마 고가사다리차의 전개 높이를 연장한 초고가사다리차가 존재하지만,[7] 도입 비용도 훨씬 많이 들뿐더러 아무리 초고가사다리라고 해도 높이에는 한계가 있다. 대부분의 마천루에는 화재뿐만이 아니라, 정전 등의 긴급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일부 층에 안전요원이 상시 대기하고 있다.

  • 환경 파괴
일부 마천루의 경우 스카이라인을 고려하지 않았거나 입지로 인해 자연 풍광을 해쳐 비난받기도 한다. 대표적인 것이 해운대 힐스테이트 위브. 그래서 유럽 같은 오래된 도시가 많은 국가들은 고도제한을 건다.


8. 여담[편집]


유럽에는 거의 보이지 않는 건물 형태인데, 이는 유럽의 도시 인구가 평균적으로 아시아, 아메리카에 비하면 적은 편인데다 대부분의 인프라가 한 번 만들어지면 100년 이상 쓰는 특성상 구시가지 전체가 문화 유산으로 지정되어있기 때문에 고도제한이 심하게 걸려있어서다. 그래서 런던이나 파리모스크바로마, 밀라노처럼 오래된 역사지구가 보존되어 있는 도시들은 대개 부도심이나 위성도시에 마천루들이 몰려있다. 대표적으로 파리의 라데팡스와 로마의 EUR 지구가 있으며, 런던더 샤드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마천루가 시티 오브 런던과 카나리워프 지구에 몰려있고[8] 모스크바의 마천루는 소련시절 건설한 옛 마천루를 제외하면 모스크바 시티 같은 모스크바 외곽지역의 마천루 거리를 따로 만들어 몰아넣었다. 당장 유럽 최고층 빌딩인 라흐타 센터상트페테르부르크 중심부에 건설하려다가 퇴짜맞고 도시 외곽에 덩그러니 자리잡고 있다. 한편 비교적 마천루가 많은 도시들인 프랑크푸르트베를린, 바르샤바, 로테르담 등은 제2차 세계 대전 공습으로 도시 전역이 파괴되었다 복구되는 과정에서 구시가지가 폐허로 변했기 때문에 마천루가 올려진 사례에 속한다.

미국 텍사스 주의 위치타 폴스(Wichita Falls)에는 세계에서 가장 낮은 마천루(?)도 있다. 높이는 고작 12m. 이는 정확히는 계약 장난 때문에 벌어진 일. 1919년 한 건설 사업가가 '높이 480의 건물을 짓겠다'라며 광고해서 투자 자금을 모았다. 투자자들은 당연히 저 480이 미국 단위계인 480피트(약 150m)라고 생각하고 선뜻 자금을 투자했다. 그런데, 정작 설계 후 완공된 건물은 고작 480인치, 즉 약 12m 정도밖에 되지 않는 4층짜리 건물에 지나지 않았다. 당연히 투자자들은 사기라며 이 사업가를 고소했지만 사업가는 '계약서 자체에는 분명히 480인치라고 나와 있으며, 광고할 때는 높이 480이라고만 했지 480피트라고 명시하지 않았다'라고 주장했다. 즉 거짓말은 하지 않은 것. 결국 투자자들이 계약서를 제대로 파악하지 않은 점을 법원이 받아들여서 사업가가 승소하였다.


9. 일람[편집]


150m 이상 마천루 도시 순위(한국어 위키백과)
마천루(한국어 위키백과)
가장 높은 마천루 순위(영어 위키백과)

전세계 마천루의 절반은 중국에 있으며, 상위 80개의 건물 중 대다수 또한 중국에 있다.대륙의 기상 150m이상 마천루가 많은 상위 5개 도시는 홍콩, 뉴욕, 선전, 우한, 도쿄 순이다. 한국의 서울은 16위고 부산은 19위다. 마천루가 많은 도시 30위권에서 6개의 도시를 제외하고는 전부 중국, 일본, 한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UAE, 태국아시아에 위치한 도시들이며, 상위 80개 마천루 중 6개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아시아에 있다.


9.1. 세계 순위[편집]


  • 현재까지 건설된 마천루 중 300m 이상의 건물의 목록.
  • 분홍색으로 표기된 마천루는 건설 당시 세계 최고층 기록을 세운 건물.
  • 하늘색으로 표기된 마천루는 대한민국에 세워진 건물.
  • 볼드체는 해당 국가의 최고층 건물.
  • CTBUH의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 (2022년 8월 기준).
  • 위 순위에도 누락 혹은 변경 부분이 많으므로 반드시 검증 후 참고할 것.
  • 건설중인 마천루는 미완성 문단으로.

순위명칭국가도시층수높이완공 년도
1위부르즈 할리파아랍 에미리트두바이163층828m(2717ft)2010년
2위상하이 타워중국상하이128층632m(2073ft)2014년
3위알베이트 타워사우디아라비아메카120층601m(1972ft)2012년
4위핑안 파이낸스 센터중국선전115층600m(1968ft)2017년
5위롯데월드타워대한민국서울123층554.5m(1819ft)2016년
6위제1세계무역센터미국뉴욕104층541.3m(1776ft)2013년
7위광저우 CTF 파이낸스 센터중국광저우111층530m(1739ft)2016년
톈진 CTF 파이낸스 센터톈진98층2019년
9위중국존중국베이징108층527.7m(1731ft)2018년
10위타이베이 101대만타이베이101층508m(1667ft)2004년
11위상하이 세계금융센터중국상하이101층492m(1614ft)2008년
12위국제상업센터중국홍콩108층484m(1588ft)2010년
13위센트럴 파크 타워미국뉴욕98층472.4m(1550ft)2020년
14위라흐타 센터러시아상트페테르부르크87층462m(1516ft)2018년
15위랜드마크 81베트남호찌민 시81층461.2m(1513ft)2018년
16위창사 IFS 타워중국창사94층452.1m(1483ft)2018년
17위페트로나스 트윈 타워 1말레이시아쿠알라룸푸르88층451.9m(1483ft)1998년
페트로나스 트윈 타워 2
19위쑤저우 IFS 타워중국쑤저우95층450m(1476ft)2019년
20위쯔펑 타워중국난징66층450m(1476ft)2009년
21위더 익스체인지 106말레이시아쿠알라룸푸르106층445.5m(1462ft)2019년
22위윌리스 타워미국시카고108층442.1m(1451ft)1974년
23위KK 100중국선전100층441.8m(1449ft)2011년
24위광저우 국제금융센터중국광저우103층438.6m(1439ft)2010년
25위우한 센터 타워중국우한88층438m(1437ft)2019년
26위원 밴더빌트미국뉴욕58층427m(1401ft)2020년
27위432 파크 애비뉴미국뉴욕85층425.7m(1397ft)2015년
28위마리나 101아랍 에미리트두바이101층425 m(1394ft)2017년
29위트럼프 인터내셔널 호텔 앤 타워미국시카고98층423.2m(1389ft)2009년
30위진마오 타워중국상하이88층420.5m(1380ft)1999년
31위프린세스 타워아랍 에미리트두바이101층413.4m(1356ft)2012년
32위알 함라 타워쿠웨이트쿠웨이트 시티80층412.6m(1354ft)2011년
33위홍콩 국제금융센터중국홍콩88층412m(1352ft)2003년
34위엘시티 더샵 랜드마크 타워대한민국부산101층411.6m(1350ft)2019년
35위구이양 국제금융센터중국구이양79층401m(1316ft)2020년
36위중국 자원 본사중국선전67층392.5 m(1288ft)2018년
37위23 마리나아랍 에미리트두바이88층392.4m(1287ft)2012년
38위CITIC 플라자중국광저우80층390.2m(1280ft)1996년
39위30 허드슨 야드미국뉴욕73층387.1m(1270ft)2019년
40위션힝 스퀘어중국선전69층384m(1260ft)1996년
41위에톤 플레이스중국다롄80층383.2m(1257ft)2016년
42위난닝 로건 센터 1중국난닝82층381.3m(1251ft)2018년
43위부르즈 모하메드 빈 라시드아랍 에미리트아부다비88층381.2m(1251ft)2014년
44위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미국뉴욕102층381m(1250ft)1931년
45위엘리트 레지던스아랍 에미리트두바이87층380.5m(1248ft)2012년
46위센트럴 플라자중국홍콩78층373.9m(1227ft)1992년
47위페더레이션 타워러시아모스크바93층373.7m(1226ft)2016년
48위다롄 국제무역센터중국다롄86층370.2m(1214ft)2016년
49위어드레스 블러버드 타워아랍 에미리트두바이73층370m(1214ft)2017년
50위골든 이글 톈디 타워 A중국난징77층368.1m(1208ft)2019년
51위중국은행 타워중국홍콩72층367.4 m(1205 ft)1990년
52위뱅크 오브 아메리카 타워미국뉴욕55층365.8m(1200ft)2009년
53위알마스 타워아랍 에미리트두바이68층360m(1181ft)2008년
54위헹킹 센터중국선전65층358.9m(1177ft)1990년
55위게보라 호텔아랍 에미리트두바이75층356.3m(1169ft)2017년
56위JW 메리어트 마퀴스 두바이 1아랍 에미리트두바이82층355.4m(1166ft)2012년
JW 메리어트 마퀴스 두바이 22013년
58위주메이라 에미리트 오피스 타워아랍 에미리트두바이54층354.6m(1163ft)2000년
59위오코 - 레지던셜 타워러시아모스크바90층353.6m(1160ft)2015년
60위레플스 시티 충칭 T3N중국충칭65층354.5m(1163ft)2019년
레플스 시티 충칭 T4N
62위더 마리나 토치아랍 에미리트두바이86층352m(1155ft)2011년
63위포럼 66 타워 1중국선양68층350.6m(1150ft)2015년
64위더 피나클중국광저우60층350.3m(1149ft)2012년
65위스프링 시티 66중국쿤밍61층349m(1145ft)2019년
66위가오슝 85 타워대만가오슝85층347.5m(1140ft)1997년
67위시마오 후난 센터중국창사347m(1138ft)2019년
68위AON 센터미국시카고83층346.3m(1136ft)1973년
69위더 센터중국홍콩73층346m(1135ft)1998년
70위네바 타워 2러시아모스크바79층345m(1132ft)2020년
71위875 노스 미시간 애비뉴미국시카고100층343.7m(1128ft)1969년
72위포 시즌 플레이스말레이시아쿠알라룸푸르65층342.5m(1124ft)2018년
73위ADNOC 본사아랍 에미리트아부다비65층342m(1122ft)2015년
74위원 선전 베이 타워 7중국선전71층341.4m(1120ft)2018년
75위엘시티 더샵 레지던스 A대한민국부산85층339.1m(1113ft)2019년
76위컴캐스트 테크놀로지 타워미국필라델피아59층339.1m(1112ft)2018년
77위우시 국제 금융 광장중국우시68층339m(1112ft)2014년
하트랜드 66 오피스 타워우한60층2020년
79위충칭 세계금융센터중국충칭72층338.9m(1112ft)2015년
80위머큐리 시티 타워러시아모스크바75층338.8m(1112ft)2013년
81위수닝 플라자 타워 1중국전장75층338m(1109ft)2016년
82위톈진 모던시티 오피스중국톈진65층338m(1109ft)2016년
83위톈진 세계금융센터중국톈진75층336.9m(1105ft)2011년
84위헝친 국제금융센터중국주하이69층336.7m(1105ft)2011년
85위SLS 두바이아랍 에미리트두바이78층336m(1102ft)2020년
86위윌셔 그랜드 센터미국로스앤젤레스62층335.3m(1100ft)2017년
87위DAMAC 하이츠아랍 에미리트두바이88층335.1m(1099ft)2018년
88위트윈타워 구이양 동쪽 타워중국구이양74층335m(1099ft)2020년
트윈타워 구이양 서쪽 타워
90위쉬마오 인터내셔널 플라자중국상하이60층333.3m(1094ft)2006년
91위엘시티 더샵 레지던스 B대한민국부산85층333.1m(1093ft)2019년
92위로즈 레이한 바이 로타나아랍 에미리트두바이71층333m(1093ft)2007년
93위파크원 타워1대한민국서울69층332.7m(1093ft)2020년
94위어드레스 레지던스 파운틴 뷰 3아랍 에미리트두바이77층331.8m(1089ft)2019년
95위민생은행 빌딩중국우한68층331m(1086ft)2008년
96위중국 월드타워중국베이징74층330m(1083ft)2010년
97위쉬마오 칭하이 프로젝트 타워 1중국선전70층330m(1083ft)2020년
98위웨슈 포춘 센터 타워 1중국우한68층330m(1083ft)2017년
99위심천한국상업중심[9]중국선전80층329.4m(1081ft)2017년
100위제3 세계무역센터미국뉴욕69층328.9m(1079ft)2018년
101위주하이 타워중국주하이66층328.8m(1079ft)2017년
102위경남 랜드마크72베트남하노이72층328.6m(1078ft)2012년
103위룽시 인터내셔널 호텔중국우시72층328m(1076ft)2011년
알 야쿠브 타워아랍 에미리트두바이69층2013년
우시 쑤닝 플라자 1중국우시67층2014년
골든 이글 톈디 타워 B중국난징60층2019년
107위바오넹 센터중국선전65층327.3m(1074ft)2018년
108위쎄일스포스 타워미국샌프란시스코61층326.1m(1070ft)2018년
109위더 인덱스아랍 에미리트두바이80층326m(1070ft)2010년
110위더 랜드마크아랍 에미리트아부다비72층324m(1063ft)2013년
데지 플라자중국난징62층
112위옌타이 쉬마오 타워중국옌타이59층323m(1060ft)2017년
113위Q1 타워호주골드코스트78층322.5m(1058ft)2005년
114위원저우 세계무역센터중국원저우68층321.9m(1056ft)2011년
115위광시 파이낸스 플라자중국난닝68층321m(1053ft)2017년
부르즈 알 아랍아랍 에미리트두바이56층1999년
117위니나 타워중국홍콩80층320.4m(1051ft)2006년
118위53 웨스트 53미국뉴욕77층320.1m(1050ft)2019년
119위시나 마스 센터 1중국상하이65층320m(1050ft)2017년
120위크라이슬러 빌딩미국뉴욕77층318.9m(1046ft)1930년
121위글로벌 시티 스퀘어중국광저우67층318.9m(1046ft)2016년
122위뉴욕 타임즈 타워미국뉴욕52층318.8m(1046ft)2007년
123위지우저우 인터내셔널 타워중국난닝71층318m(1043ft)2017년
124위판야 국제 금융 빌딩 북쪽중국쿤밍67층317.8m(1043ft)2016년
판야 국제 금융 빌딩 남쪽66층
126위블루 타워아랍 에미리트두바이72층317.6m(1042ft)2010년
127위충칭 IFS 타워 1중국충칭65층316.3 m(1038 ft)2016년
128위창사 IFS 타워 2중국창사65층315 m(1033 ft)2018년
129위유스 올림픽 센터 타워중국난징68층314.5 m(1032 ft)2015년
130위킹 파워 마하나콘태국방콕75층314.2 m(1031 ft)2016년
131위뱅크 오브 아메리카 플라자미국애틀랜타55층311.8 m(1023 ft)1992년
132위파저우 폴리 C2중국광저우61층311 m(1020 ft)2017년
133위모이 시티 타워중국선양75층311 m(1020 ft)2014년
134위U.S. 뱅크 타워미국로스앤젤리스73층310.3 m(1018 ft)1990년
135위오션 하이츠아랍 에미리트두바이83층310 m(1017 ft)2010년
136위므나라 텔레콤말레이시아쿠알라룸푸르55층310 m(1017 ft)2001년
137위바르소폴란드바르샤바53층310 m(1017 ft)2022년
138위펄 리버 타워중국광저우71층309.4 m(1015 ft)2013년
139위포츈 센터중국광저우68층309.4 m(1015 ft)2015년
140위주메이라 에미리트 타워즈 호텔아랍 에미리트두바이56층309 m(1014 ft)2000년
141위유라시아 타워러시아모스크바72층308.9 m(1013 ft)2015년
142위부르즈 라팔사우디아라비아리야드68층307.9 m(1010 ft)2014년
143위프랭클린 센터 북탑미국시카고60층306.9 m(1007 ft)1989년
144위더 어드레스 다운타운 두바이아랍 에미리트두바이75층306.2m (1005ft)2008년
145위카얀 타워아랍 에미리트두바이73층306.4 m(1005 ft)2013년
146위원 57미국뉴욕75층306.1 m(1004 ft)2014년
147위이스트 퍼시픽 센터 타워 A중국선전85층306 m(1004 ft)2013년
148위더 샤드영국런던73층306 m(1004 ft)2013년
149위JP모건 체이즈 타워미국휴스턴75층305.4 m(1002 ft)1982년
150위에티하드 타워 2아랍 에미리트아부다비80층305.3 m(1002 ft)2011년
151위포스코타워-송도대한민국인천68층305 m(1001 ft)2014년
152위선전 CFC 창푸 센터중국선전68층304.3 m(998 ft)2015년
153위바이요크 타워 2태국방콕85층304 m(997 ft)1997년
154위모이 시티 메리어트 호텔중국우시68층303.8 m(997 ft)2014년
155위2 푸르덴셜 플라자미국시카고64층303.3 m(995 ft)1990년
156위띠왕 인터네셔널 포츈 센터중국류저우75층303 m(994 ft)2015년
157위그린랜드 풀리 센터중국지난60층303 m(994 ft)2014년
158위장시 난창 그린랜드 센트럴 플라자 타워 A중국난창59층303 m(994 ft)2015년
장시 난창 그린랜드 센트럴 플라자 타워 B중국난창59층303 m(994 ft)2015년
160위레탑 플라자중국광저우64층302.7 m(993 ft)2012년
161위웰스 파고 플라자미국휴스턴71층302.4 m(992 ft)1983년
162위킹덤 센터사우디아라비아리야드41층302.3 m(992 ft)2002년
163위디 어드레스아랍 에미리트두바이63층302.2 m(991 ft)2008년
164위동방의 문중국쑤저우66층301.8 m(990 ft)2015년
모스크바 타워러시아모스크바76층301.8 m(990 ft)2010년
166위선전 정저우 홀딩스 파이낸셜 센터중국선전61층300.8 m(987 ft)2015년
166위해운대 두산위브 더 제니스대한민국부산80층300 m(984 ft)2011년
167위그란 토레 산티아고칠레산티아고62층300 m(984 ft)2013년
아베노하루카스일본오사카60층300 m(984 ft)2014년
송화거리 80층 아파트북한평양80층300 m(984 ft)2022년
화창 국제 플라자 타워 1중국창사66층300 m(984 ft)2017년

9.2. 국가 및 지역별[편집]




국가별 최고층 마천루 목록
순위명칭위치(국가)층수높이
높이 600m 이상의 마천루
1위부르즈 할리파아랍에미리트163층828m
2위KL118말레이시아118층678.9m
3위상하이 타워중국128층632m
4위알베이트 타워사우디아라비아120층601m
높이 400m 이상의 마천루
5위롯데월드타워대한민국123층554.5m
6위제1세계무역센터미국94층541.3m
7위타이베이 101대만101층508m
8위국제상업센터홍콩112층484m
9위라흐타 센터러시아87층462m
10위랜드마크 81베트남81층461.2m
11위알 함라 타워쿠웨이트84층414m
높이 300m 이상의 마천루
12위아이코닉 타워이집트77층385.2m
13위오토그래프 타워인도네시아75층382.9m
14위아자부다이 힐스일본64층325.5m
15위Q1 타워호주78층322.5m
16위팔라이즈 로얄인도88층320m
17위그랜드 하얏트 마닐라필리핀66층318m
18위매그놀리아즈 워터프론트 레지던스태국70층315m
19위아부다비 플라자카자흐스탄75층311m
20위바르소 타워폴란드53층310m
21위더 샤드영국72층309.6m
22위T.Op 토레 1동멕시코64층305.3m
23위메트로폴 이스탄불 타워 1동튀르키예70층301m
24위송화거리 80층 아파트북한80층300m
그란 토레 산티아고칠레62층300m
높이 200m 이상의 마천루
25위퍼스트 캐나디안 플레이스캐나다72층298.1m
26위원 타워브라질84층290m
27위구오코 타워싱가포르65층284m
28위바쿠 타워아제르바이잔52층277m
29위바리아 아이콘 타워파키스탄62층273m
30위그레이트 모스크 오브 알제리아알제리35층264.3m
31위그랜드 리스보아마카오47층261m
32위큐브 타워조지아55층260m
33위코메르츠방크 타워독일56층259m
34위무함마드 VI 타워모로코55층250m
35위토레 데 크리스탈스페인52층249m
36위모세 아비브 타워이스라엘68층244m
37위모르건 엔마이슨 2동캄보디아53층243.8m
38위앨비어 타워아르헨티나54층239m
39위더 레오나르도남아프리카공화국55층234m
40위투어 퍼스트프랑스52층231m
토레 유니크레딧이탈리아35층231m
41위파르케 센트럴 컴플렉스 웨스트 타워베네수엘라62층225m
42위DC 타워 1동오스트리아60층220m
43위BD 바카타 사우스 타워콜롬비아67층216m
44위잠하펜네덜란드62층215m
45위마운트 티라나알바니아56층205m
로체 타워 2동스위스50층205m
46위브리탐 타워케냐31층200.1m
47위토레 맥스에콰도르49층200m
높이 150m 이상의 마천루
48위사마 베이루트레바논50층195m
49위터닝 토르소스웨덴54층190m
50위OAK 타워코소보41층179m
51위시티 센터 다카방글라데시37층171m
52위One키프로스38층170m
53위클로브스키 디센트 7동우크라이나48층168m
유로비아 타워슬로바키아45층168m
베오그라드 타워세르비아42층168m
54위그린 타워볼리비아40층163.4m
55위테헤란 인터내셔널 타워이란56층162m
탄자니아 항만청 타워탄자니아40층162m
56위NECOM 하우스나이지리아32층160m
57위우루과이 통신 타워우루과이35층158m
높이 100m 이상의 마천루
58위바스코 다 가마 타워포르투갈22층145m
59위제바히르 타워북마케도니아40층142m
아바즈 트위스트 타워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38층142m
60위페루 국립은행 타워페루30층140m
61위플로레아스카 시티 센터 스카이 타워루마니아37층137m
62위샹리라 호텔 타워 C동몽골35층135m
달마시아 타워크로아티아29층135m
63위마자카핀란드34층134m
64위유로파 타워리투아니아33층129m
65위캐피탈 포트불가리아28층126m
66위준다 타워즈라트비아30층123m
67위다이아몬드 이냐 팰리스미얀마34층122m
68위뉴 리저브 은행 타워짐바브웨28층120m
헤를레브 병원덴마크25층120m
69위래디슨 브루 플라자 호텔노르웨이37층117m
스위스호텔 탈린에스토니아30층117m
70위AZ 타워체코 공화국30층111m
71위아테네 타워 1동그리스28층103m
높이 100m 미만의 마천루
72위포르토마소 비즈니스 타워몰타23층97.5m
73위크리스탈 팰리스슬로베니아22층89m
74위오벨 타워아일랜드28층85m
75위스마라토르그 타워아이슬란드20층78m



9.3. 미완성[편집]


  • 계획 중이거나, 건설 중인 마천루 목록이다.
  • 계획 단계의 건물은 매우 많으며[10] 아래 목록은 각국의 랜드마크격 마천루와 최종승인받은/건설중인 마천루 위주로 작성되어있다.
  • 취소선 쳐진 마천루는 현재 공사가 원활히 진행이 불가능한, 공사 중단 상태인 마천루이다.

계획 / 공사 진행 중인 마천루 일람
현황명칭국가도시층수높이완공년도
계획아제르바이잔 타워아제르바이잔바쿠189층1,054m (3458ft)미정
지상공사제다 타워[11][12]사우디아라비아제다168층[13]1,007m (3304ft)미정
계획부르즈 무바라크 알카비르쿠웨이트쿠웨이트시234층1,001m (3284ft)2036년
공사중단금융관광허브 랜드마크 타워대한민국서울 중구240층1000m (3280ft)미정
공사중단트레이드윈즈 스퀘어말레이시아쿠알라룸푸르150층775m (2543ft)미정
계획라흐타 센터 2러시아상트페테르부르크150층703m (2306ft)미정
옥상공사KL118말레이시아쿠알라룸푸르118층678m (2113ft)2023년
계획시그니처 타워인도네시아자카르타113층638m (2093ft)미정
공사중단라마 IX 슈퍼 타워태국방콕125층615m (2018ft)2022년
공사중단골딘 파이낸스 117중국톈진117층597m (1959ft)미정
기초공사글로벌비즈니스센터대한민국서울105층569m (1867ft)[14]2028년
지상공사펄 오브 더 노스중국심양111층568m (1864ft)미정
지상공사그린랜드 센터중국다롄108층518m2018년
공사중단펜토미니엄아랍 에미리트두바이122층516m미정[15]
계획전주 153 익스트림 타워대한민국전주153층470m미정
지상공사R&F 타워중국톈진91층468m2019년
기초공사TRX 시그니처 타워말레이시아쿠알라룸푸르106층452m2021년
지상공사106 타워UAE두바이107층445m2019년
지상공사월드 원인도뭄바이117층442m2018년
기초공사차이나 리소스 센터중국난닝90층442m2019년
기초공사111 웨스트 57 스트리트미국뉴욕95층438m2018년
기초공사아흐매트 타워러시아그로즈니102층435m2021년
기초공사둥관 세계무역센터중국둥관88층427m2019년
지상공사쑤저우 중난센터중국쑤저우138층424m (2392ft)미정
계획크리쉬 스퀘어스리랑카콜롬보95층420m2022년
계획랜드마크 I대한민국송도국제도시103층420m미정
기초공사125 그린위치 스트리트미국뉴욕77층413m2018년
공사연기베이시티 타워 제주대한민국제주97층403m2030년
지상공사30 허드슨 야드미국뉴욕92층392m2019년
계획토치 타워일본도쿄63층390m2027년
지상공사심업 어퍼힐 타워중국선전80층388m2019년
지상공사로건 센트리 타워중국난닝82층386m2017년
지상공사아부다비 플라자카자흐스탄아스타나88층382m2017년
공사중단인민광장말레이시아쿠알라룸푸르79층382m2021년
공사중단주장 뉴 시티 타워중국광저우87층371m2015년
계획글로벌 컨텐츠 비즈니스 타운 타워대한민국고양 일산88층370m(1,213ft)미정
공사중단월드 뷰인도뭄바이90층360m2016년
기초공사부산롯데타워대한민국부산67층342m2026년
지상공사류경호텔북한평양101층330m (1,083ft)미정
옥상공사아자부다이 힐스일본도쿄도64층325m2023년
계획게이트 오브 타이베이대만타이베이76층323m2016년[16]
지상공사오스트레일리아 108호주멜버른100층317m2019년
지상공사바르소폴란드바르샤바53층310m2020년
계획타이완 타워대만가오슝80층310m2017년


9.4. 과거[편집]


명칭국가도시층수높이완공 년도없어진 년도원인
제1세계무역센터미국뉴욕시110층417 m(1368 ft)1970년2001년붕괴
제2세계무역센터미국뉴욕시110층415.1 m(1362 ft)1971년2001년


9.5. 페이퍼플랜[편집]


영어로는 'megatall skyscraper'. 극초고층 빌딩이라고도 불린다. 나라마다 기준이 달라서 700m만 돼도 이쪽으로 분류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1,000m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물론 지나치게 높고 건설비 부담이 크기 때문에 자주 등장하진 않는다.

세간에 가장 잘 알려진 극초고층 빌딩은 제다 타워인데, 초창기에는 1,600m로 기획되었지만 지반이 약해 1,007m로 하향되었다.

경제력이 세계적으로 매우 뛰어난 미국과 중국, 그리고 경제력이 막 붙기 시작한 서남아시아나 동남아시아 등지에서는 이것보다 더 높은 것들이 계획되거나 건설 중이다. 두바이에서 부르즈 할리파를 훨씬 넘는 나킬 타워 등이 계획되었으나, 죄다 경제위기로 퇴짜를 맞고 취소되었다. 오일머니로 막대한 돈을 벌어들인 쿠웨이트는 이라크한테 한번 당한 적이 있는, 나라 자체가 안보적으로 위험한 최전방인데도 1,001m 부르즈 무바라크 알카비르를 계획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4,000m 'X-SEED 4000'짜리 피라미드형 마천루를 짓겠다고 했지만 현재 기술로는 불가능한 일이다.

물론 한국도 예외는 아니어서, 한때 1,000m를 넘는 금융관광허브빌딩이 추진되었으나 역시 퇴짜를 맞았었다. 다만 이 경우는 기술적인 한계 보다는 법률 및 실용성 문제가 더 컸다.

아래는 나무위키에 등록되어있는 초고층 마천루들이다. 그 외에도 등록하지 못한 초고층 마천루가 몇 개 더 있다. 들어가 보면 알 수 있지만, 실제로 건설되는 건물은 제다 타워뿐이다. 나머지는 사실상 페이퍼 플랜.



10. 대중매체[편집]


창작물에서는 크고 아름다운 형태로도 그려지고 또 정 반대로 상당히 삭막하고 살벌하게 그려지는 경우도 있다. 먼 미래를 배경으로 하는 영화에는 약방의 감초처럼 잘 등장하는데 디자인도 현대의 마천루와는 엄연히 구별되는 특이하고 개성있는 모양에 높이도 무려 수천미터의 수직도시 형태로 올라간다. 하지만 현실에서 그 정도로 높은 마천루는 주로 비용문제로 인해 실제로 지어지는 경우는 많지 않다.
공통: 궤도 엘리베이터. 높이가 36,000km에 달하는데, 기저부가 지상에 고정된 형태일 때는 마천루로 볼 수도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7 03:31:38에 나무위키 마천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UAE 두바이에 있다.[2] 따라서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의 경우 안테나를 제외하고 381m로 본다. 만약 안테나 까지 합할 경우 443m가 되며 위 동영상 기준 19위가 될 것이다.[3] 구) 시어스 타워[4] 그 유명한 다리미 빌딩으로 스파이더맨 영화판에서 작중 등장하는 신문사 데일리 뷰글의 사옥으로 나왔다.[5] 다만 2023년 기준 코로나19로 인해 유지보수 이외의 공사가 전면 중단된 상태로 지금부터 짓는다고 해도 2024년은 당연히 무리며 근시일 내에 재개될 가능성도 희박하다. 따라서 매우 오랜 기간(최소 10년 이상) 동안 부르즈 할리파가 가지고 있는 세계 최고층 마천루의 지위가 유지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6] 당장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 이후로 그룹 전체가 풍비박산으로 와해된 삼풍그룹을 생각해보자.[7] 국내에선 부산에만 배치돼 있다.[8] 시티 오브 런던의 경우 특수한 자치권을 가진 지역이기 때문에 용적률이 크게 올라가서이고, 카나리워프 지구는 유럽에서 몇 안되는 고밀도 재개발 사례에 속하기 때문이다.[9] 여기서 한국은 韓國이 아니라 漢國이다[10] 각국이 계획중인 모든 마천루 정보까지 최신화하는데는 어려움이 있다. 최신화된 정보를 알고싶다면 #혹은 CTBUH로 교차검증할 것.[11] 이 건물을 짓고 있는 그룹이 빈 라덴 그룹이다. 기사 그렇다. 오사마 빈 라덴의 가족들이 운영하는 그룹(...) 사실 라덴 가문은 사우디의 갑부 집안이며 아랍에서도 알아 주는 친미파다. 그래서 9.11 사건이 터졌을 때 라덴 가문은 오사마를 호적에서 파버린다음, 집에서 완전히 내쫓아 버렸다(...)[12] 발주자는 사우디 왕가의 일원이지만 종자돈 10만 달러를 빼면 투자사업으로 약 2백억 달러의 부를 일군 알 왈리드 빈 탈랄 왕자다. A380을 커스터마이징으로 주문하느라 대금만 4천억 원을 지불했을 정도로 킹왕짱 부자지만 나고 자란 배경이 미국이나 유럽 쪽이어서 굉장히 리버럴하기로 유명하고, 자신이 죽기 전까지 전 재산을 사회에 환원하겠다는 선언을 하면서 세계적인 명사의 반열에 올랐다.[13] 200층 이라는 이야기도 있다.[14] 당초 105층→115층/571m→105층/526m→105층/553m→105층/569m. 2022년 기준 높이가 더 낮게 설계 변경될 가능성이 높다.[15] 용산국제업무지구의 60층짜리 쌍둥이 빌딩 "펜토미니엄 타워"와는 연관이 없으며, 2009년 착공하여 2011년 28층까지 코어를 짓고 6년이 넘도록 공사가 중단된 폐건물이었으나 2019년 공사가 재개되었다. 사업 자체가 엎어지지는 않았기에 표기한다.[16] 타이베이 역 근방에 짓고 있는 마천루. 말 그대로 '타이베이의 입구'라는 뜻이다.[17] 초기엔 X-SEED 4000와 유사한 크기로 계획되었으나 현실과 타협해 높이를 10분의 1인 400m로 조정했다. 그래도 여전히 건설만 된다면 세계 최대 단일 건축물이 될 예정이다. 물론 X-SEED 4000 처럼 무기한 연기되었다.[18] 정확히는 마천루를 모티브로 해서 만든 초인이다.[19] 레트로.[20] 고층빌딩 위에서 대결하는, 레이싱 게임에선 최초이며 모든 게임을 통들어봐도 찾기가 쉽진 않다.[21] 마리오 카트 64의 탄생년도를 생각하면 가상의 마천루 중에선 선배 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