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마츠바라 츄지

덤프버전 :

파일:신센구미마코토.png
신센구미
[ 펼치기 · 접기 ]

국장 · 국장 보조
국장곤도 이사미
총장야마나미 케이스케참모이토 카시타로
부장히지카타 토시조군사타케다 간류사이
조장
1번대오키타 소지6번대이노우에 겐자부로
2번대나가쿠라 신파치7번대타니 산쥬로
3번대사이토 하지메8번대토도 헤이스케
4번대마츠바라 츄지9번대스즈키 미키사부로
5번대타케다 간류사이10번대하라다 사노스케
감찰 · 회계
감찰야마자키 스스무 · 핫토리 타케오 · 요시무라 칸이치로 · 시노하라 타이노신
제사취조역 및 감찰시마다 카이 · 오이시 쿠와지로
회계카와이 키사부로
미부 로시구미 시절 인물
국장세리자와 카모 · 니이미 니시키




신센구미 4번대 조장
마츠바라 츄지
松原忠司
출생1815년
하리마국 가토군 (現 효고현 오노시)
사망1865년 10월 20일 (향년 50세)
야마시로국 교토 (現 교토부 교토시)
재임기간신센구미 4번대 조장
1864년 ~ 1865년

1. 개요
2. 생애
3. 사망



1. 개요[편집]


신센구미의 4번대 조장.

2. 생애[편집]


하리마 국의 오노 번 번사의 아들로 태어났다고 하지만 그의 이력은 확실치가 않은데, 신센구미 동료들의 회고에서조차 오사카의 낭인이나 혹은 하리마 국 출신일 것이라는 추측에 그치기 때문이다. 안세이 연간에서는 번에서 탈퇴한 후, 오사카에서 세키구치류유술(関口流柔術) 도장을 열었다고 전해진다.

분큐 3년(1863년) 5월, 신센구미의 전신인 미부로시구미에 입대. 8월 18일의 정변 때 민머리에 하얀 띠를 묶고 큰 나기나타를 든, 흡사 무사시보 벤케이와 비슷한 용모를 한 채로 궁궐 남문을 수비하여 이마벤케이(今弁慶)라는 별명을 얻었다. 겐지 원년(1864년), 이케다야 사건에서 부대를 이끌고(혹은 토시조의 부대에 속하여) 전공을 세워 막부로부터 포상금 15냥을 하사받았다. 게이오 원년(1865년) 4월, 신센구미 조직 개편으로 4번대 조장 겸 유술사범이 되었다.[1] 그래서 검술보다는 유술을 선호했다. 그러나 같은 해, 어떤 이유로 인하여 할복하였으나 미수에 그쳤고, 그 여파로 평대원으로 격하하고 만다. 결국 할복했을 때 생긴 상처가 곪아서 병사하고 만다.


3. 사망[편집]


그가 할복한 이유는 여러가지 설들이 있었는데, 그가 신센구미 둔소 근처에 자신이 죽인 낭인의 미망인을 애인으로 두고 있던 것이 히지카타 토시조에게 알려져 엄하게 혼이 난 뒤, 간부로서의 책임감을 느껴 할복하려 했으나 실패했다는 설도 있다.[2] 이 이야기는 둔소였던 야기 저택의 주인 야기 다메사부로가 시노하라 다이노신과 사이토 하지메로부터 들은 것이다. 시모자와의 간이 이를 미부 동반자살(壬生心中)로 재구성하였으나 사실 여부는 명확하지 않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7 01:06:59에 나무위키 마츠바라 츄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여담으로 미부촌(味生村)에서 친절한 사람은 야마나미와 마츠바라였다고 전해질 정도로 대사들에게 상냥했다.[2] 그 외에도 모종의 사건을 계기로 곤도, 히지카타 일행들과 사이가 나빠져, 어느 날 첩과 함께 아무도 모르게 사라졌다는 설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