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말토스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한자 '엿 당'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糖#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


1. 개요[편집]


엿당, 맥아당() 또는 말토스(Maltose[1])는 이당류의 하나로서 화학식은 C12H22O11이며, 두 개의 포도당이 α-1,4 글리코사이드 결합으로 결합한 것이다. 이성질체로 아이소말토스와 설탕이 있는데, 아이소말토스는 α-1,6 글리코사이드 결합으로 이루어졌고 설탕은 구조 이성질체이다. 대응하는 당알코올말티톨.

엿당이라는 이름처럼 물엿, 특히 '맥아 물엿'의 주성분이다. 맥아(麥芽)당이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발아하는 중인 보리 등의 씨눈에도 존재한다. 아밀라아제라는 효소가 녹말을 분해하면서 생성된다. 이는 보리싹이 에너지로 삼기 위해 자신의 녹말을 아밀라아제를 이용해서 분해하기 때문이다. 비슷하게 밥을 오래 씹으면 단맛이 나는 것도 침 속의 아밀라아제에 의해 녹말이 말토스로 분해되기 때문.

파일:a-maltose.png파일:b-maltose.png
알파 말토스베타 말토스

말토스가 분해되면 2개의 포도당 분자로 된다. 생물체는 말테이스라는 효소를 이용해서 분해하며, 인공적으로는 말토스를 강산에 넣고 몇 분간 가열하면 된다.

말토스의 생성은 곡물주의 양조과정에서 중요하다. 효모가 말토스를 분해해서 알코올을 만들기 때문이다. 효모는 직접 다당류인 녹말을 분해하지 못한다. 즉 효모의 먹이는 단당류포도당이나 이당류설탕(자당) 및 말토스인 셈이다. 양조 과정에서는 보통 맥아를 써서 말토스를 지속적으로 공급한다. 맥아에 아밀라아제가 많으므로 곡물에 맥아를 첨가하면, 곡물의 녹말이 분해되어 말토스로 되고 이것이 효모의 발효 대상이 된다.

서진시대 초기 돈지랄로 유명했던 왕개는 그의 돈지랄 경쟁자 석숭와의 돈지랄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 이 맥아당으로 자기의 집에 있는 식기들을 설거지했다고 한다. 반대로 석숭은 백랍(밀랍을 표백한 물질)을 땔감으로 썼다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7 07:27:47에 나무위키 말토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발음에 주의할 것. |mɔ:ltoʊz 또는 |mɔ:toʊ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