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맥시칸치킨

덤프버전 :






파일:맥시칸치킨 로고.png

1. 개요
2. 상세



1. 개요[편집]


홈페이지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icon_daum_blog.png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한국치킨 브랜드. 치킨계 매니아들에겐 양념치킨의 원조로도 잘 알려져 있다.[1] 참고로 시칸치킨과 다른 브랜드다.

멕시코 요리와는 전혀 관련이 없다.[2]

2. 상세[편집]


본사는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수인로 331-8 (구운동) 소재.

창립자는 윤종계. 최초의 양념치킨을 이야기할 때 빠지지 않는 브랜드로, 1980년대 양념통닭 레시피를 개발하여 판매를 했다고 한다. 관련 대법원 판결. 2020년 유 퀴즈 온 더 블럭 인터뷰를 보면 윤종계씨 밑에서 일하던 직원이 특허를 무단 신청했지만 윤종계 씨가 용서해 줘 특허를 철회했다고 한다. 영상.[3]

멕시칸치킨, 멕시카나, 처갓집 양념치킨, 페리카나와 함께 메이저급 고전 통닭집 중 하나이다. 1985년 대구직할시에서 창업하였으며, 지역 통닭가게로 시작하여 대형 체인으로 성장, 이후 2016년 하림홀딩스(현 하림지주)가 27억원에 지분 100%를 인수하면서 하림그룹 일원이 됐다.

시칸치킨과는 엄연히 다른 브랜드로 홈페이지 역시 다르다. 멕시칸치킨, 맥시칸치킨. 멕시칸치킨은 1986년 창업과 함께 상표를 출원했고, 맥시칸치킨은 85년 대구에서 계성통닭으로 처음 창립을 했지만, '(주)맥시칸'으로 법인등록한 것은 89년이다. 고로, 맥시칸이 맥시칸이란 이름을 쓴 것도 89년도 부터란 것. 이를 미루어 보면 멕시칸치킨 쪽이 원조이긴 하다(...). 양념치킨은 니가 먼저, 멕시칸은 내가 먼저 그리고 여담이지만, 굳이 따지자면 맞춤법 상 멕시칸이 정확한 표기이다. 윤종계도 이름이 맥시칸인건 맵고 시고 달콤해서 맥시칸이라고 하며 멕시코는 딱히 작명에서 고려하진 않았다고 밝힌 바 있다.[4] 상호에 솜브레로는 왜?

하림 산하 업체인 만큼 닭은 모두 하림제 닭을 쓴다고 한다. 약간 매운맛이 진한 양념은 수분이 적고 껍질이 쫄깃하다. 다양한 신메뉴로 무장하기 시작한 타 치킨 브랜드를 따라잡기 위해 순살치킨, 바비큐 등의 다양한 메뉴를 추가하고 있다.

참고로 맥시칸 닭강정이 양이 많고 맛도 괜찮아서 치킨 갤러리에서 의외로 좋은 평이 많다. 치갤러들에게 프랜차이즈 닭강정 중에선 다섯손가락 안에 꼽힐 정도로 인기가 있다. 그러나 가끔 가다 시칸 닭강정인줄 알고 잘못 시켜 낭패를 보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파일:external/www.mexican.co.kr/a2200_character.jpg
이전 마스코트는 포크로 치킨을 들고 있는 요리사 모자 쓴 닭이었으며, 2000년대 이후 다시 리뉴얼되어 보다 현대적이고 세련된 모습으로 변했다.[5] 다만 닭고기를 들고 있는 닭이라는 점만은 변함이 없으며, 마린블루스에서는 이것을 통다리 인육을 든 인간과 마찬가지라고 묘사하기도 했다.

2018년부터 걸그룹 APRIL이 광고모델로 활동 중인데, 맥시칸치킨 측에서 소속사인 DSP미디어 못지 않게 광고메이킹 영상, 사진을 올려준다. 온에어프릴 EP36.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7 12:06:52에 나무위키 맥시칸치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관련한 기타 내용은 맥시칸치킨의 창립자 윤종계, 양념치킨 항목으로.[2] 참고로 오늘날의 현대적인 프라이드치킨은 미국에서 유래하였다.[3] 참고로 이 맥시칸과 페리카나가 양념치킨 최초 개발을 두고 다툼을 벌였다고 알려져 있는데, 페리카나 항목에 따르면 여기서 말하는 직원이 페리카나 창업자가 아니지만 온라인상에선 페리카나 창업자라는 유언비어가 돌고 있다고 한다. 맥시칸 치킨에 재료를 납품하던 사람이 처갓집 치킨을 만들었다는 설도 있다. 윤종계씨의 말에 의한 내용이므로 정확한 사실 관계 확인이 필요한 부분.[4] 유퀴즈온더블록 2020. 8. 26 방송편.[5] 일부 매장은 리뉴얼 이전의 마스코트와 로고를 여전히 쓰고 있는 곳도 드문드문 있다. 특히 2010년대 중반까지 치킨무의 포장에 해당 구 마스코트가 그려져 나오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