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맥심커피배 입신최강전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가장 최근에 열린 대회에 대한 내용은 제24회 맥심커피배 입신최강전 문서
제24회 맥심커피배 입신최강전번 문단을
제24회 맥심커피배 입신최강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맥심커피배 입신최강전
주최, 주관한국기원
후원동서식품
주관방송사바둑TV
홈페이지홈페이지 링크
대국규정제한시간 각자 10분, 40초 초읽기 5회
계가한국룰 6집반
참가자격九단 기사
참가인원카누포인트 적립순 24인[1](2014년 ~ 2017년)
카누포인트 적립순 32인 (2018년 ~ 2021년)
시드권자 6명 + 랭킹 상위 26명[2][3](2022년 ~ )
상금우승 5,000만원, 준우승 2,000만원, 총 상금 1억 8,000만원
대회 방식32강 토너먼트(4강까지 단판), 결승 3번기
최근 우승자신진서 九단 (제24회 맥심커피배 입신최강전)
최다 우승자이세돌 (5회 / 6~8회, 15회, 17회)

1. 개요
2. 상세
3. 대회 진행
4. 역대 우승자
5. 기타



1. 개요[편집]


대한민국 한국기원 주관 바둑 기전. 동서식품이 후원하며 입신(入神), 즉 九단 기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바둑 기전이다.

2. 상세[편집]


2000년에 九단 대상으로 한 대회를 처음 만든 것이 시작이다. 2012년 대회까지는 자체예선과 시드를 통해 본선 출전자를 정하였으나, 2013년 대회부터는 직전 2개년도 성적을 분류한 카누포인트를 만들어서 카누포인트 상위 24위를 컷해서 초청 형식으로 출전시키고 있다. 2022년 대회부터는 카누포인트를 폐지하고 전기 시드 2명, 후원사 시드 4명 나머지 26명은 한국기원에서 발표하는 랭킹을 기준[4]으로 하여 랭킹 순으로 컷해서 초청하는 것으로 바뀌게 됐다.

참가자가 가장 많았던 대회는 2012-13년[5]의 제14회 대회(참가자 62명)이고, 가장 적었던 대회는 2001-02년의 제3회, 2002-03년의 제4회 대회(참가자 17명).

대회명은 두번 바뀌었다. 1~2회 대회 때는 '맥심배 입신연승 바둑최강전'이었으나, 3~4회 대회 때는 '맥심커피배 입신연승 바둑최강전', 5회 대회부터 '지금의 명칭'이 되었다.

이창호 九단과 조훈현 九단이 한번도 우승한 적이 없고, 장주주 九단 - 루이나이웨이 九단 간 부부 결승전 등 의외로 화제거리가 많은 대회이다. 그리고 신진서 九단이 우승 두 번을 제외하면 이상하리만큼 성적이 안나오는 기전 중의 하나다.[6]

맥심커피배는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실력이 있더라도 대회에 참가할 수 없다는 제한이 있으므로 분류상으로는 제한기전이다. 다만 그 조건이라는 게 九단이다보니 대회의 격이나 우승자에 대한 대우는 종합기전과 비슷하게 인정된다. 입단한 지 오래되지 않아 한창 승단 중인 신규 강자들이 참가할 수 없기에 완전히 동급이라고 보기엔 조금 미묘하지만 대체로 종합기전 우승과 동등한 대접을 받는다.[7] 대회는 매년 새해를 시작하는 시점에 시작을 하여 바둑계의 한 해를 여는 기전이기도 하다.

3. 대회 진행[편집]


주 : 연도는 결승전 기준이다.

  • 2018년 : 제19회 맥심커피배 입신최강전(참가자 32명) - 이동훈 九단 첫 출전
  • 2019년[8] : 제20회 맥심커피배 입신최강전(참가자 32명) - 신진서, 나현, 최정 九단 첫 출전
  • 2020년[9] : 제21회 맥심커피배 입신최강전(참가자 32명) - 박진솔, 김혜민 九단 첫 출전. (신민준의 경우는 사실은 이전에도 참가하였다)[10]
  • 2021년[11] : 제22회 맥심커피배 입신최강전(참가자 32명) - 이현욱 九단 첫 출전
  • 2022년[12] : 제23회 맥심커피배 입신최강전(참가자 32명) - 김형우, 박승화, 강유택, 안국현, 윤찬희, 한상훈 九단 첫 출전
  • 2023년[13] : 제24회 맥심커피배 입신최강전(참가자 32명) - 김명훈, 박하민, 한승주, 이원영, 김승재, 진시영, 오유진 九단 첫 출전
  • 2024년 : 제25회 맥심커피배 입신최강전(참가자 32명)

4. 역대 우승자[편집]


역대 결승 기록
회차연도정원우승전적준우승비고
1회2000년18명최규병2:1유창혁
2회2001년20명유창혁2:1양재호
3회2002년17명유창혁2:0김일환
4회2003년17명장주주2:0루이나이웨이세계 바둑 최초의 부부 결승전
한국 바둑 사상 첫 중국인 결승전
5회2004년21명루이나이웨이2:1유창혁루이나이웨이 2번째 혼성 기전 우승[14]
6회2005년24명이세돌2:1양재호연승전 형식 폐지
7회2006년30명이세돌2:1최철한
8회2007년38명이세돌2:1박정상이세돌 대회 3연패
9회2008년41명박영훈2:1목진석박영훈 첫 우승
10회2009년48명최철한2:0박영훈
11회2010년49명최철한2:1강동윤최철한 대회 2연패
12회2011년51명박영훈2:0이창호박영훈 2번째 우승
13회2012년54명박정환2:0최철한
14회2013년62명박정환2:0이세돌박정환 2연패[15]
15회2014년24명[16]이세돌2:0박정환이세돌 7년 만에 우승
16회2015년24명최철한2:1홍성지최철한 3번째 우승
17회2016년24명이세돌2:0원성진이세돌 5번째 우승(대회 최다 우승)
18회2017년24명박정환2:1윤준상박정환 3번째 우승
19회2018년32명[17]조한승2:1박영훈조한승 첫 우승
20회2019년32명신진서2:1이동훈신진서 첫 출전+첫 우승+최연소 우승(19세 1개월 10일[18])
21회2020년32명이지현2:0신민준이지현 첫 우승
22회2021년32명김지석2:0이지현김지석 첫 우승
23회2022년32명박정환2:0이동훈박정환 5년 만에 우승(네 번째 우승)
24회2023년32명신진서2:0이원영신진서 4년 만에 우승(두 번째 우승)

5. 기타[편집]


파일:021228-ruja.jpg파일:021228-ruja1.jpg
  • 2003년 4회 대회에서는 장주주 九단과 루이나이웨이 九단이 결승에서 만나서 세계 최초부부 결승전이라는 진기록이 나왔다. 이 경기에서는 장주주 九단이 승리하였다.
  • 2004년 5회 대회에서는 루이나이웨이 九단이 결승에서 승리하며, 여류 기사로써 유일하게 이 대회 타이틀을 획득하였다. 또한, 부부가 모두 우승 타이틀을 가지게 되었다.
  • 2021년 22회 대회에 출전한 이지현 九단[19]은 해군 바둑병으로 군 복무중이었는데 코로나19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 방역 수칙에 따라 군인의 외출과 휴가가 제한된 시기여서 대국자들에게 양해를 구해 8강까지 온라인 대국을 치뤘다. 이는 코로나19 사태 후 국내 기전 본선 최초의 온라인 대국으로 기록됐다.
  • 이세돌이 이 대회를 5번 우승하면서, 최다 우승자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다.



[1] 전기 우승 및 준우승 기사+후원사 시드=4명. 나머지 카누포인트[2] 전기 우승 및 준우승 기사 + 후원사 시드 4명 = 6명, 나머지는 랭킹 순으로 26명을 초청.[3] 2023년 열리는 24기 대회는 전기 준우승자 이동훈의 불참으로 인해 전기시드 1명과 후원사 시드 5명으로 시드를 배정했다.[4] 초청 기준 랭킹은 해당 대회 개최 직전 년도의 11월 랭킹이다.[5] 결승이 다음해 초에 있다. 멀리 갈 것 없이 세계대회 일정을 보자.. 대부분 해를 넘긴다.[6] 2대회 연속 16강 탈락이다. 어지간한 대회는 항상 결승에 가는걸 보면 커피배와는 이상하리만큼 성적이 나오지 않는다. 물론 우승 한번은 했지만 신진서라는 이름값을 보자면 아쉬운것도 사실. 이후 2023년 열린 24회 대회에서 4년 만에 우승 차지했다.[7] 사실 제한기전이긴 해도 용성전이나 KBS 바둑왕전같은 통합기전도 결승 이상을 보면 9단들이 이름을 차지하고 있다. 신진서, 박정환은 항상 결승 단골손님 수준. 세계기전도 9단들 잔치다. 2023년 10월 랭킹 기준, 10위권 이내 기사들 모두 九단이다. [8] 2018. 12. 6 개막식[9] 2019. 12. 15 개막식[10] 바로 20회 대회인데 21회 대회를 기입하면서 착오가 생겼다.[11] 2020. 12. 15 개막식[12] 2021. 12. 16 개막식[13] 2022. 12. 16 개막식[14] 첫 번째는 2000년 국수전[15] 현재 까지 맥심커피배 마지막 연속 우승 기록[16] 이 때부터 카누 포인트로 초청하는 현재의 방식으로 바뀌었다. 참가자가 너무 많아서 후원사가 요청한 듯[17] 카누 포인트로 초청하는 형식은 맞지만, 32명으로 정원이 늘었다.[18] 종전 기록은 박정환의 19세 1개월 23일이다.[19] 2020년 21회 대회 우승자 자격으로 시드를 받아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