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리오카역

덤프버전 :

(もり(おか
Morioka Station


파일:JRMorioka.jpg
역사
파일:Morioka_Shinkansen-pf.jpg
신칸센 승강장
파일:Morioka_JRIGR-pf.jpg
JR 재래선/IGR 승강장

1. 개요
2. 역 및 승강장 구조
2.1. 신칸센
2.2. JR 재래선 및 IGR 승강장
3. 완급결합
4. 일평균 승차량




1. 개요[편집]


기본 정보
미도리노마도구치미도리노발권기정기권 발매기

(5:30~22:45)
화장실예약표 수령Suica 사용

(양변기 ○)

(도호쿠 본선·타자와코선)
이와테현 모리오카시에 위치한 JR 동일본IGR 이와테 은하철도의 철도역이다. 도호쿠 본선의 종점이며 도호쿠 신칸센야마비코하야테도 이 역까지만 운행한다.[1]아키타 신칸센이 분기하는 곳이며 코마치는 여기서 하야부사와 갈라진다.[2]

역 빌딩은 '페잔'(FES"AN)[3]이라고 하며 쇼핑몰과 음식점 등이 마련되어 있다. 그 외에 주변에는 현립 미술관과 현청, 공원 등이 있다.

모리오카 냉면을 먹으러 갈 때 '뿅뿅사(ぴょんぴょん舎)'라는 원조 체인을 가려고 하는 경우가 있는데, 본점은 이 곳에서 버스나 택시를 타고 좀 가야 한다. 귀찮으면 '자랑 빌딩(ジャーランビル)'에 있는 모리오카 역전점으로 가는 것도 좋다.

일본 근현대 정치사상가이자 교육자인 니토베 이나조의 상이 역 앞에 있다. 모리오카가 고향이라 그렇다.

2. 역 및 승강장 구조[편집]



2.1. 신칸센[편집]


쌍섬식 고가 승강장으로, 3층에 있다.

신하나마키
11121314
이와테누마쿠나이시즈쿠이시


하야부사-코마치 복합열차는 11번 승강장에서 결합하고 14번 승강장에서 분리한다. 그러나 12번과 13번 승강장에서도 분리 결합이 가능하도록 신호 시스템이 짜여져 있는데, 야마비코로 운행되는 E5계 전동차에 증결용 E6계 전동차를 결합하거나 분리할 때 사용한다.

2.2. JR 재래선 및 IGR 승강장[편집]


총 4면 8선식 승강장이며, IGR, 하나와선 승강장은 두단식 승강장이다. IGR 열차 중 일부는 2・3번선에서 발차하기도 한다. 서로 승강장이 멀리 떨어져 있어 도호쿠지방에서 몇 안되는 막장환승역이다. 청춘 18 티켓이나 홋카이도&동일본 패스로 여행할 때 IGR 이와테 은하철도에서 JR 동일본 관할 승강장으로 5분 내로 갈아타라고 나오는데 사전에 내리는 위치와 타는 위치를 제대로 숙지하여 전력으로 뛰어가지 않는 이상 절대 불가능하다.[4] 포기하고 다음 열차를 타는 것이 정신건강에 이롭다.

종착역센보쿠쵸
01234567x
89x
아오야마카미모리오카 · 아오야마 ↓ · 마에가타



3. 완급결합[편집]



도호쿠 본선
하마유리야하바모리오카 시종착역
보  통센보쿠쵸모리오카 시종착역

야마다선
리 아 스시종착역 모리오카카미모리오카
보  통시종착역 모리오카카미모리오카


4. 일평균 승차량[편집]


JR 동일본 재래선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19,936명19,904명19,241명17,770명17,867명17,930명17,965명18,094명17,697명17,262명
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
17,072명16,658명17,874명18,440명17,844명17,784명17,779명17,957명17,994명
JR 동일본 신칸센
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
7,235명7,611명7,358명7,592명7,661명7,726명7,784명
IGR 이와테 은하철도 (승하차량)
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
11,286명11,561명10,840명10,406명11,102명10,927명10,606명10,263명10,320명10,229명
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
10,811명11,515명11,630명11,304명11,371명11,527명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04:44:50에 나무위키 모리오카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야마비코는 해당 역의 이북 방향으로 가지 않으며, 하야테는 해당역의 이남 방향으로 가지 않는다.[2] 이 때문에 하야부사는 4분, 코마치는 2분 정차한다.[3] 페산이 아니라 페이다. 때문에 S뒤에 일본어 가나처럼 탁점인 ゛를 붙인게 특징. 이름은 현조(県鳥)인 꿩의 영어명(phesant)에서 유래했다. S뒤에[4] IGR 역에서 내려서 개찰구를 나와서 한 층 계단으로 올라가서 JR 북쪽 개찰구를 통과해고 다리를 건너서 다시 계단을 내려가서 플랫폼으로 가야 한다. 듣기만 해도 힘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