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문현빈

덤프버전 :

||


문현빈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문현빈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파일:2023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로고.svg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준우승
2023

파일:(사)한국프로야구 은퇴선수협회 LOGO.png
BIC 0.412상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3><|2><tablewidth=100%><width=60%><bgcolor=#FFFFFF,#191919> BIC 0.412상 제정 ||<width=20%> 2014 ||<width=20%> 2015 ||
||<rowbgcolor=#FFFFFF,#191919> 황대인
경기고 || 최원준
서울고 ||
||<width=20%> 2016 ||<width=20%> 2017 ||<width=20%> 2018 ||<width=20%> 2019 ||<width=20%> 2020 ||
||<rowbgcolor=#FFFFFF,#191919> 김혜성
동산고 || 강백호
서울고 || 김대한
휘문고 || 김지찬
라온고 || 최현규
서울고 ||
||<width=20%> 2021 ||<width=20%> 2022 ||<width=20%> 2023 ||<width=20%> 2024 ||<width=20%> 2025 ||
||<rowbgcolor=#FFFFFF,#191919> 김도영
광주동성고 || 문현빈
북일고 ||
||
||
||




한화 이글스 등번호 64번
허인서
(2022)
문현빈
(2023~)
현역

A대표팀 참가 경력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투수1 문동주 · 11 조병현 · 17 김영규 · 18 원태인
29 오원석 · 39 최지민 · 47 곽빈 · 48 이의리
53 신민혁 · 56 최준용 · 62 정해영 · 64 최승용
포수22 김동헌 · 25 김형준 · 28 손성빈
내야수3 김혜성
C
· 5 김도영 · 7 김주원 · 8 노시환
12 문현빈 · 33 김휘집 · 41 나승엽
외야수9 김성윤 · 13 박승규 · 54 최지훈 · 91 윤동희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5 류중일
수석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6 류지현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5 장종훈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3 최일언
배터리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0 김동수
QC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6 이진영
불펜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4 김현욱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파일:2023문현빈.png
한화 이글스 No.64
문현빈
Moon Hyunbin
출생2004년 4월 20일 (20세)
대전광역시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력대전유천초 - 온양중 - 북일고
신체174cm, 82kg
포지션내야수[1], 중견수[2], 좌익수[3]
투타우투좌타
프로입단2023년 2라운드 (전체 11번, 한화)
소속팀한화 이글스 (2023~)
연봉3,000만원 (2023년)
등장곡울랄라세션 - 《미인》[4]
응원가타이푼 - 《사랑을 주세요[5][6]
SN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MBTIISTJ[7]
1. 개요
3. 플레이 스타일
4. 여담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한화 이글스 소속 내야수.


2. 선수 경력[편집]



3. 플레이 스타일[편집]


아마 시절 유격수를 보면서 컨택, 주루, 어깨 등 다재다능한 툴을 자랑했고 5툴 플레이어가 될 가능성이 높은 선수이다.

프로 입단 후에는 주로 중견수를 보고 있는데, 타구 판단이 약간 미숙하긴 하나 뛰어난 운동능력을 살려 상당히 준수한 수비를 선보이고 있다.

타격에서도 초창기에는 똑딱이에 가까웠으나 점차 비거리가 늘고 잡아당겨서 넘기는 홈런을 양산하기 시작했다. 신인이다보니 변화구 대처에 어려움을 겪는 모습이 있었으나 KBO 역대 7번째이자[8] 구단 최초 고졸 신인 데뷔 시즌 100안타를 달성하며 타격에 재능이 있음을 확실히 보여주었다.


4. 여담[편집]



  • 별명은 문돌멩이라고 한다. 그 이유는 돌멩이처럼 단단하기 때문이다. 별명을 붙여준 선수는 다름 아닌 같은 북일고 출신 박찬혁이다. 프로 데뷔 이후에는 활약할 때마다 팬들로부터 문거석이라고 불린다. 또한, 팬들 사이에서 주먹밥쿵야를 닮았다는 말이 많다.[9]

  • 정근우를 연상시키는 체격과 플레이스타일이지만 롤모델은 양준혁인데, 1루까지 전력질주하는 모습이 멋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 정은원은 문현빈의 훈련을 보고 위기 의식을 느꼈다고 한다.

  • 볼을 고르는 과정에서 후안 소토의 트레이드 마크 자세인 땅 고르기 자세를 따라하기 시작했다.

  • 남동생이 2명 있으며 모두 야구선수라고 한다.

  • 고등학교 1학년까지 대전에서 살다가 아산으로 이사를 갔다고 한다.

  • 2021년에 방송된 장학퀴즈 드림 서클 야구선수 편(1129, 1130회)에서 마지막 문제인 그랜드슬램을 혼자 맞추며 우승을 차지했다.

  • 문현빈 선수의 응원가는 케로로 노래로, 어릴 때 케로로를 본 세대라고 이글스티비 문현빈 응원가편 영상에서 직접 밝혔다.

  • 좋아하는 음식은 닭똥집, 음료는 미숫가루라고 한다.

  • 박용택과 테임즈를 연상케하는 타격폼을 가지고 있다.


5. 관련 문서[편집]



[1] 2루수, 유격수[2] 고교 시절 중견수를 본 적이 있으며, 2023년 내야수로 분류됐지만 중견수로 가장 많이 나서고 있다. 8월부터는 외야 수비에 문제가 생기며 중견수 자리는 잠시 내려놓았다.[3] 2023 APBC 호주전에서 2루수와 유격수에는 김혜성, 김주원이 중견수에는 최지훈이 확실하게 자리를 잡고 있어서 좌익수로 출전.[4] 한번 보고 두번 보고 자꾸만 보고 싶네~ (문! 현! 빈! 문! 현! 빈!)
아름다운 그 모습을 자꾸만 보고 싶네~ (문! 현! 빈! 문! 현! 빈!)
그 누구나 한번보면 자꾸만 보고 있네~ (문! 현! 빈! 문! 현! 빈!)
그 누구의 애인인가 정말로 궁금하네~ (문! 현! 빈! 문! 현! 빈!)
[5] (한화 문현빈 워어어어어×2) 최강 한화의 승리를 위해 워어어어 어어어어×2[6] 개구리 중사 케로로 2기 엔딩곡으로, 1기 오프닝인 케로로 행진곡과 같이 가장 잘 알려진 그 곡이다.[7] INFJISTJ[8] 종전 기록(괄호 안은 안타 수, 당시 소속 팀)은 1994년 김재현(134, LG), 1995년 이승엽(104, 삼성), 1996년 박진만(102, 현대), 1999년 정성훈(107, 해태), 2017년 이정후(179, 키움, 역대 최다), 2018년 강백호(153, KT)이며, 2023년 문현빈(114, 한화)과 김민석(102, 롯데)이 달성했다.[9] 한편 롯데 자이언츠의 포수 손성빈도 주먹밥쿵야를 닮았다는 말이 있는데, 우연히도 이 둘은 2023 APBC에서 만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16:07:37에 나무위키 문현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