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미드나잇 스페셜

덤프버전 :

제프 니콜스 감독 장편 연출 작품




미드나잇 스페셜 (2016)
Midnight Special
파일:미드나잇 스페셜 국내 포스터.jpg[1]
장르
감독
각본
제프 니콜스
제작
스티븐 므누친
주연
촬영
애덤 스톤
편집
줄리 몬로
미술
채드 키스
음악
데이비드 윙고
의상
에린 베나흐
제작사
파일:미국 국기.svg 워너 브라더스
파일:미국 국기.svg 랫팩-듄 엔터테인먼트
파일:미국 국기.svg 팔리로 하우스 프로덕션스
파일:미국 국기.svg 트라이-스테이트 픽처스
파일:미국 국기.svg 필름네이션 엔터테인먼트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배급사
개봉일
화면비
2.35 : 1
상영 시간
112분
제작비
$18,000,000
월드 박스오피스
$6,740,647
북미 박스오피스
$3,712,282
국내 스트리밍
상영 등급

1. 개요
2. 예고편
3. 시놉시스
4. 등장인물
5. 줄거리
6. 평가
7. 흥행
8. 기타
9. 관련 문서
10. 외부 링크
11. 둘러보기



1. 개요[편집]


2016년에 제작된 미국의 SF 영화로, 감독은 테이크 쉘터머드의 감독으로 잘 알려진 제프 니콜스가 맡고, 주연은 마이클 섀넌, 커스틴 던스트, 조엘 에저턴, 아담 드라이버, 샘 섀퍼드가 맡았다. 초능력을 가진 아이를 둘러싼 이야기를 다룬 영화.


2. 예고편[편집]


▲ 예고편


3. 시놉시스[편집]



알톤 메이어는 세상 어디에도 없는 특별한 능력을 가진 아이다.
알톤의 아버지 로이는 아들을 믿는 종교 극단주의자 집단으로부터 아들을 구하기 위해 한밤 중 아들을 데리고 도망길에 오른다.
같은 시간, 알톤의 능력을 알아챈 미국 정부는 국가 안전국의 폴 세비어를 내세워 조사를 벌인다.
조절되지 않는 능력으로 고통받는 아들, 종교 극단주의자 집단과 정부가 동시에 부자를 쫓는 위험한 상황,
아버지와 아들은 자신들도 모르게 세상의 모든 것을 바꿀 수 있는 운명을 향해 다가간다.


4. 등장인물[편집]


  • 마이클 섀넌 - 로이 메이어 역
  • 제이든 리버허[2] - 알톤 메이어 역
  • 애덤 드라이버 - 폴 세비어 역
  • 조엘 에저튼 - 루카스 역
  • 커스틴 던스트 - 사라 역
  • 샘 셰퍼드 - 캘빈 메이어 역
  • 다나 고우리어 - 샤론 데이비슨 역


5. 줄거리[편집]




6. 평가[편집]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
20XX-XX-XX 기준
)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18939|
기자·평론가
없음 / 10
관람객
없음 / 10
네티즌
없음 / 10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

기자·평론가
없음 / 10
관람객
없음 / 10
네티즌
없음 / 10
]]
평점 없음 / 10







파일:다음 로고.svg
평점 5.4 / 10





파일:CGV 로고 화이트.svg
지수 없음%





MRQE
평점 없음 / 100





파일:cinemascore-logo.png
등급 없음





Midnight Special's intriguing mysteries may not resolve themselves to every viewer's liking, but the journey is ambitious, entertaining, and terrifically acted.

<미드나잇 스페셜> 속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미스터리는 아마 모든 관객들의 취향에 부합하지는 않겠지만, 그 여정은 야심차면서도 오락적이고, 빼어난 연기가 담겨있다.

- 로튼 토마토 총평



7. 흥행[편집]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국가개봉일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기준일
전 세계(최초개봉일)$6,740,647(기준일자)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북미미정$3,712,282미정

미국에서 흥행이 망하는 바람에 국내에선 정식으로 극장 개봉도 못해보고 VOD로 직행했다.[3]


8. 기타[편집]




9. 관련 문서[편집]




10. 외부 링크[편집]




11.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23:04:07에 나무위키 미드나잇 스페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영문 포스터[2] 촬영 당시에는 어머니에게 양육권이 다 넘어가지 않아서 아버지의 성을 사용했다.[3] 일부 영화제를 통해 국내 극장에서도 상영되긴 했었다. 2020년 7월 기준 넷플릭스에 공개되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