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미라주 4000

덤프버전 :

파일:다쏘 항공 로고.svg
다쏘 항공기 목록 [ 펼치기 · 접기 ]

#000,#e5e5e5 ||<-3><tablewidth=100%><tablebgcolor=#FFF,#2d2f34><bgcolor=#324b6b> [[민항기|'''{{{#fff 민항기}}}''']] || ||<-3> [[다쏘 머큐리|머큐리]] || ||<-3><bgcolor=#324b6b> [[군용기|'''{{{#fff 군용기}}}''']] || ||<width=10%><|6> '''{{{#324b6b,#6aaaaa 전투기}}}''' ||<width=10%> '''{{{#324b6b,#6aaaaa 1세대}}}''' ||[[우라강]] · [[미스테르|미스테르 I/II/III]] · [[미스테르 IV]] || || '''{{{#324b6b,#6aaaaa 2세대}}}''' ||[[쉬페르 미스테르]] · [[에탕다르 IV|에탕다르 IVM]] || || '''{{{#324b6b,#6aaaaa 3세대}}}''' ||[[미라주 III]] · [[미라주 F1]] · [[미라주 G|미라주 G8]] || || '''{{{#324b6b,#6aaaaa 4세대}}}''' ||[[미라주 2000]] · [[미라주 4000]] || || '''{{{#324b6b,#6aaaaa 4.5세대}}}''' ||[[라팔]] || || '''{{{#324b6b,#6aaaaa 6세대}}}''' ||[[다쏘 FCAS|FCAS]] || ||<-2> '''{{{#324b6b,#6aaaaa 폭격기}}}''' ||[[미라주 IV]] || ||<-2> '''{{{#324b6b,#6aaaaa 공격기}}}''' ||[[미라주 시리즈#s-3.3|미라주 V]] · [[쉬페르 에탕다르]] || ||<-2> '''{{{#324b6b,#6aaaaa 정찰기}}}''' ||[[에탕다르 IV|에탕다르 IVP]] · [[미라주 IV]] || ||<-2> '''{{{#324b6b,#6aaaaa 대잠초계기}}}''' ||[[아틀란틱]] || ||<-3><bgcolor=#324b6b> [[틀: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2 {{{#fff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







파일:mirage4000.jpg
파일:mirage-4000-2.jpg

1. 개요
2. 제원
3. 상세
4. 외부 링크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프랑스다쏘 항공이 개발한 다목적 4세대 전투기.


2. 제원[편집]


Dassault Mirage 4000
승무원1명
길이18.7 m
너비12 m
높이5.8 m
날개면적73 m²
자체중량13,000 kg
내부 연료량11,000 L
엔진스네크마 M53-2 후연 터보팬 × 2
최대추력64.3 kN (13,500 lbf) × 2
재연소추력95.1 kN (21,400 lbf) × 2
최대 속력마하 2.2
항속 거리2,000 km
전투 반경1,850+ km[1]
실용 상승 한도20,000 m
상승률305 m/s
항전장비RDM 다중 모드 도플러 레이더
디지털식 오토파일럿
다중 모드 시현 디스플레이
SAGEM Uliss 52 INS
Crouzet Type 80 항공 정보 컴퓨터[2]
Thomson-CSF VE-130 HUD
디지털 자동화 무장 투하 시스템[3]
하드 포인트총 12개소(주익 하부 6개소, 동체 하부 6개소
최대 8,000 kg의 무장 탑재량
무장고정30 mm DEFA 554 리볼버 기관포 × 2
(1문당 탄약 125발)
공대공마트라 R550 Magic
마트라 Super 530
공대지일반 범용폭탄
마트라 BGL 레이저 유도 폭탄
AS-30L 반능동식 레이저 유도 미사일
엑조세 공대함 미사일
로켓 포드 등등
기타2,550 L 연료 탱크 × 3
공중 재급유 포드
레이저 타게팅 포드
전자전 교란 포드
정찰 포드

3. 상세[편집]


프랑스 다쏘 사가 제작한 쌍발 전투기. 미라주 2000의 개발과정에서 탄생한 스네크마사의 M53 엔진을 쌍발로 장착하여 보다 대형화된 전투기를 개발하기로 하였다. 하지만 프랑스 정부에서 본격적인 도입 의사가 없고 개발에 대한 지원이 미비했기 때문에, 대부분은 개발사인 다쏘가 부담하게 되었다.

미라주 2000의 개발 이후 이를 쌍발 전투기로 개발하였다라는 이미지와는 다르게, 첫 비행은 1979년 3월로, 1978년 첫 비행한 미라주 2000과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 거의 동시에 개발을 진행하였다고. 즉 F-16의 라이벌이 미라주 2000이였다면 잠재적으로 F-15의 라이벌로 미라주 4000을 염두에 두고 개발한 것이다.

하지만 미라주 4000은 프랑스군에서 도입할 의사가 없었다. 대형 쌍발기체인 미라주 G8조차 프랑스군 도입에 실패하였고, 미라주 III미라주 V를 대체하기 위해 미라주 2000의 도입은 진행하였으나 미라주 4000의 경우에는 프랑스군의 도입 의사가 없었기 때문에 해외 수출을 모색하던가 프로토타입 수준으로 멈출 것이 자명했다.

하지만 사우디아라비아이란이 이 비행기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어 개발 과정은 계속 진행되었다. 사우디 아라비아는 F-15를 도입하고 싶어했으나 당시 미국이 거부했고, 이란은 팔레비 2세F-14F-16으로도 모자라 이란군을 위해 더 많은 고성능 전투기 도입을 원하였기 때문이였다. 성공적으로 개발이 완료된다면 이 두 국가가 200~300대까지 수입할 수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추가적인 수출 시장까지 확보할 수 있다는 판단이였다.

하지만 이란 혁명으로 팔레비 왕조가 붕괴되고 이후 이란 이슬람 공화국 정부가 수립되면서, 이란 판매가 좌절되었고 사우디아라비아도 관심을 끊고 파나비아 토네이도 도입을 추진하며 미라주 4000에 대한 관심을 끊었다. 결국 다쏘사는 다른 나라들에게도 추가적인 판매를 시도하였으나 이런 대형기체를 구매할 만한 나라는 거의 없었고, 있더라도 프랑스군조차 쓰지 않는 미라주 4000보다는 미군이 대량으로, 오래 사용하는 등 성능도 입증되었고 후속 지원이 보다 원활할 F-15 등 미국제 전투기 도입을 시도하였고, 당시 프랑스제 전투기들을 운용하던 나라들[4]에서도 미라지 2000이나 미라지 F1 같은 기존 프랑스제 전투기 운용을 선호하였기 때문에 이 국가들에서도 판매에 실패했다.

결국 미라주 4000은 프로토타입 1기만 비행에 성공한 이후 개발이 중단되었다. 다만 프랑스 군은 SEPECAT 재규어, 미라주 F1, 쉬페르 에탕다르 등을 대체할 ACX 사업을 추진하였고, 이로 인해 라팔이 개발되는데, 이 과정에서 카나드, 복합자재 등의 사용에 큰 도움이 되었다고 한다.

미라주 2000과의 외향적 차이점은 우선 단발기에서 쌍발기로 확대되어 크기가 커진 점과, 카나드를 장착한 점, 그리고 조종석이 버블형 캐노피를 선택하여 시아확보가 유리한 점이 보인다. 원래대로라면 복좌형도 개발될 예정이였으나 취소되었다.

4. 외부 링크[편집]




5. 관련 문서[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현대 프랑스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프랑스 항공우주군
Armée de l'Air et de l'Espace

프랑스 해군 항공대
Aéronavale
회전익기 공격헬기HSS-1육/해/공/R, SA 313B 알루에트 II육/해/R, SA 341F 가젤, SA 342M 가젤, AS565 AA해/공, AS565 AB/CA해/공, 타이거 HAP, 타이거 HAD
다목적 헬기알루에트 III육/해, AS332 쉬페르 푸마해/공, AS565 팬서해/공 AS532 쿠거
수송헬기SA 321쉬페르 프렐롱 해/공/R, AS330 푸마육/공, EC725 카라칼, NH90 TTH 카이만, SE.3000R
대잠헬기AS332F 쉬페르 푸마, AS532 SC, NH90 NFH 카이만
프롭 전투기스핏파이어 LF.Mk. IXR, A6M2-N원정군/C/R, 시파이어해/R , F8F-1B해/R, F4U-7해/R
제공 전투기1세대M.D.450 우라강R, S.O. 4050 보투르 NR, F-84F/GR, 미스테르 IIR, 미스테르 IVR, 아퀼롱 203해/R
2세대F-100DR, F-86KR, 쉬페르 미스테르 B.2R, 에탕다르 IVM해/R, F-8E (FN)해/R
3세대미라주 III C/ER, 미라주 F1R
4세대미라주 2000
4.5세대라팔 C 스탕다르 F3/F3R, 라팔 M
6세대{FCAS}
공격기SB2C-5, A-1 스카이레이더R, 1050 알리제해/R, S.O.4050 보투르 IIAR, 재규어 AR, 쉬페르 에탕다르해/R, 미라주 V, 미라주 2000 N/D,
폭격기PB4Y-2해/R, S.O.4050 보투르 IIBR, 미라주 IVR, AAS 01X
수송기C-160R, C-119, C-124, C-130(H/H-30/J-30), A400M 아틀라스
지원기조기경보기E-2C 호크아이, E-3F 센트리
대잠초계기아틀란틱해/R, 아틀란틱 II, {MAWS}
정찰기브레게 1150 아틀란틱, 다쏘 팔콘
신호정보 수집기C-160G 가브리엘
공중급유기A330 피닉스, C-135FR, KC-130J
무인기UCAVMQ-9, {유로드론}
훈련기EMB 312FR, 푸가 CM.175 제피르R, Ar 96R, 무드리 CAP 10해/공, 미라주 2000B-S5, 다쏘-도르니에 알파 젯
다목적기다쏘 팔콘 10M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C: 노획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기종
취소선: 개발 또는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 항공병기 둘러보기
⠀[ 현대 1991~ ]⠀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중미/카리브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신유고 연방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동남아시아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중앙아시아
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아프가니스탄 (~'21)
서아시아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북아프리카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동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서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중아프리카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남아프리카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 제트전투기의 계보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23:22:17에 나무위키 미라주 4000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외부 연료 탱크 및 정찰용 포드 탑재 기준[2] Air Data Computer[3] digital automated weapon delivery system[4] 카타르, 이집트, 모로코, 그리스, 인도, 요르단, 에콰도르, 페루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