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미스 인터내셔널

덤프버전 :

1. 개요
2. 역대 대한민국 대표
파일:미스인터내셔널.png


1. 개요[편집]


홈페이지

일본의 미스 인터내셔널 협회가 주관하는 미인대회로 1960년에 시작했다. 미스 어스와 세계 미인대회 3인자 자리를 놓고 대결 중이다.[1]

참가국은 70개국 안팎으로 120개국 안팎의 미스 월드, 90개국 안팎인 미스 유니버스, 80개국 안팎인 미스 어스보다 적다.

일본 회사가 주관하고 개최국도 주로 일본이나 중국 등 한국과 비교적 미적 기준이 비슷한 나라들이어서인지 한국 대표가 이 대회에서 성적이 상당히 좋다. 미스 유니버스와는 달리 준결승 이상 진출이 전체 참가 중 절반 이상으로, 우승자 및 결승 진출자들은 미스 유니버스, 미스 월드의 적극적이고 개성 강한 해변의 미인형과는 달리 밝은 피부톤에 차분한 스타일이 대부분이다.[2]

▼ 2018년 미스 인터내셔널 우승자 및 결승 진출자들. 남아공 대표를 제외한 콜롬비아, 베네수엘라, 필리핀, 루마니아 대표 모두 밝은 피부톤의 차분한 인상이다.
파일:2018MissInternationalFinalist.jpg

베네수엘라는 이 대회에서도 최다 우승 국가다.
▼ 2015년, 2018년 미스 인터내셔널 우승을 차지한 베네수엘라 대표. 썬탠한 중남미 건강미인형이 아니다.
파일:20152018MissInternational.jpg

필리핀도 성적이 우수한 국가 중 하나다.[3]
미스 유니버스, 미스 월드 우승 단골 국가들[4]의 우승 횟수가 많지만 큰 두각을 나타내지 않는 폴란드[5]도 3명의 우승자를 배출했다.
반면 미스 유니버스, 미스 월드 우승이 많은 스웨덴, 인도, 남아공은 한번도 우승자를 배출하지 못했다. 아프리카 국가도 우승자를 배출하지 못했으나 흑인이 조상인 우승자는 2004년 콜롬비아, 2010년 베네수엘라가 있다.
▼ 좌 2004년 콜롬비아 대표, 우 2010년 베네수엘라 대표. 흑인이라기보다 몇 안되는 중남미 건강미인형 미스 인터내셔널 우승자로 보인다.
파일:BlackMissInternational.jpg

한국의 최고 성적은 2000년 손태영과 2009년 서은미의 2위 입상으로, 염정아는 1992 대회에서 3위에 입상, 2006년 장윤서도 3위에 입상했다.

2019년 대회는 2019년 일본 상품 불매운동으로 미스코리아는 불참을 선언했다. #

1970년부터 1983년까지 10대를 대상으로 한 '미스 영 인터내셔널'을 개최했다.[6] 1983년 대회는 한국에서 개최했다.

남자 대회인 미스터 인터내셔널과는 관련이 없다.


2. 역대 대한민국 대표[편집]


연도이름미스코리아비고
1960김정자선(善)
1961이옥자선(善)
1962손양자선(善)
1963최유미선(善)5위
1964이혜진선(善)Top 15
1965김민진선(善)Top 15
1966미개최
1967진현수1966 선(善)
1968김희자선(善)Top 15
1969김유경선(善)
1970김인숙선(善)
1971최숙애선(善)
1972서윤희선(善)
1973김매자선(善)
1974강영숙숙(淑)Top 15
1975이형목미(美)Top 15
1976한영애선(善)
1977신병옥미(美)
1978채정숙선(善)
1979김진선미(美)
1980정나영태평양
1981박현주한국일보
1982정애희한국일보
1983정영순보령Top 15 & 민속의상상
1984김경리선(善)
1985장시화1984 미(美)
1986김윤정1985 미(美)
1987정화선1986 선(善)
1988이윤희1987 태평양Top 15
1989김희정1988 미(美)Top 15 & 민속의상상
1990신소영[7]1989 태평양
1991권정주1990 엘칸토Top 15
1992염정아1991 선(善)3위
1993장은영1992 선(善)Top 15
1994성현아미(美)Top 15 & 포토제닉상
1995이유리1994 선(善)Top 15
1996김정화1995 선(善)Top 15 & 포토제닉상
1997김양희1996 선(善)Top 15
1998조혜영1997 선(善)Top 15
1999이재원1998 선(善)
2000손태영미(美) 금강산2위 & 포토제닉상
2001백명희미(美) 토토Top 15 & 민속의상상
2002기윤주미(美) 메르삐Top 12 & 민속의상상
2003신지수선(善) 피스컵Top 12
2004김인하미(美)Top 15
2005이경은선(善)
2006장윤서선(善)3위
2007박가원선(善)Top 15
2008김민정선(善)
2009서은미선(善)2위 & 포토제닉상
2010고현영미(美) 유니온그룹Top 15
2011김혜선선(善) 보움
2012이정빈선(善)
2013한지은선(善)
2014이서빈선(善) 라미화장품
2015박아름미(美) 인제스피디움아시아상
2016김민정미(美) 조이너스
2017남승우미(美) 메이투&니베올라아시아상
2018서예진선(善)
2019불참
2020미개최[8]
2021
2022김수진2021 선(善)
2023정보빈[9]2021 미(美)



[1] 영어로만 진행하는 다른 미인대회와는 달리 영어와 일본어로 진행한다.[2] 우승자가 많은 중남미, 필리핀 대표들도 대체로 동북아 출신 대표 만큼이나 밝은 피부톤이다.[3] 필리핀은 미스 유니버스, 월드, 어스 등 다른 미인대회에서도 강국이다.[4] 베네수엘라, 필리핀, 푸에르토리코, 오스트레일리아 등.[5] 미스 유니버스 우승은 없으며 1989년 미스 월드 우승 1회.[6] 2002년, 2006년, 2007년에 다른 회사에서 대회를 개최하면서 부활시키려 했으나 중단되었다.[7] 미스코리아 대회에서는 신소금[8] 코로나 19로 대회가 취소되었다.[9] 미스코리아 대회에서는 정도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