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미쓰비시 F-1

덤프버전 :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현대 일본 자위대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일본 자위대 (1954~현재)
日本 自衛隊
회전익기 경헬기TH-135, TH-480B, BK 117, OH-6(D/J)육/R, TH-55J육/R, H-13육/해/R
다목적 헬기EC225, S-61A해/R, OH-1, UH-60JA육/항, UH-1(BR/HR/J)/{UH-X}, H-19/S-55A/H-19C육/해/항/R
수송헬기MV-22, CH-47(J/JA)육/항, KV-107육/해/항/R, H-21B/V-44A항/육/R
공격헬기AH-1S, AH-64DJ
대잠헬기MCH-101, SH-60(J/K), MH-53E해/R, HSS-2(A/B)해/R
전투기1세대F-86(D/F)R
2세대F-104(J/DJ)R
3세대F-1R, F-4EJ/EJ 改R
4세대 / 4.5세대F-15(J/DJ, J 改/DJ 改), F-2(A/B)
5세대F-35A/{B}
6세대{GCAP}
수송기C-130(H/R), C-1A, C-2, YS-11, C-46DR
수상기/비행정US-2, US-1A해/R, HU-16해/R
무인기UAV보잉 스캔이글, {RQ-4}
지원기조기경보기E-767, E-2C/{D}
해상초계기P-1, P-3C, P-2J해/R, S2F-1해/R
전선통제기 / 연락기U-125A, U-4, U-36A, LR-2, LC-90R, LR-1육/R, LM-1육/R, 가와사키 KAL-2R
정찰기RF-86FR, RF-4(E/EJ)R, EP-2JR, EP-3
공중급유기KC-130R, KC-767J, {KC-46A}
전자전기EC-1, YS-11(EA/EB), {EC-2}
훈련기프롭후지 T-7, 후지 T-5, 후지 T-3R, KM-2육/해/항/R, 비치크래프트 B65R, T-34A(LM-1)R, T-6(D/F/G)R
제트T-33AR, 뱀파이어 T.55X/R, 후지 T-1(A/B)R, T-2R, T-4, T-400
특수목적기보잉 747-400R, 보잉 777-300ER, U-4, EC 225LP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 자위대: 해당 자위대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항공자위대





미쓰비시 F-1 지원전투기
三菱(みつびし F-1(エフワン/エフいち 支援戦闘機(しえんせんとうき
파일:VkLQWaI.jpg
제원
종류지원전투기 (전투폭격기)
승무원1 명
길이17.86 m (피토관 포함)
전폭7.88 m (날개 선단 런쳐 미포함)
주익 면적21.17 m²
높이4.48 m
자체중량6,550 kg
탑재중량2,720 kg
최대이륙중량13,700 kg (3,0140 파운드)
레이더J/AWG-12 화력통제 레이더
엔진2 × TF40-IHI-801A 애프터 버너 부착 터보팬 엔진
추력3,310 kg (30.25 kN)[1]
2,320 kg (22.8 kN)[2]
최대속도마하 1.6
실속속도117 kt
전투행동반경280 km 센터연료탱크, 2 × AAM[3]
350 km 2 × 보조연료탱크, 8 × 500 파운드 폭탄[4]
560 km Hi-Lo-Hi 비행, 2 × ASM, 1 × 보조연료탱크[5]
최대항속거리약 2,600 km (약 1,500 nm)
연료탱크 장착시
항속거리
2,590 km[6]
실용상승한도15,240 m (50,000 ft)

1. 개요
2. 개발사
3. 운용사
4. 무장
5. 설계
6. 파생형
7. 매체에서의 등장
8. 관련 문서
9.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external/ncache.ilbe.com/6f83209766dea50c5072893055d4b871.jpg
수증기 응축현상이 일어나고 있는 F-1
F-1은 일본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최초로 자체 개발한 전투기이다. 총 77대가 생산되었으며 2006년을 마지막으로 모두 퇴역하였다.


2. 개발사[편집]


항공자위대는 F-104를 도입하면서 필요없게 되어버린 F-86를 상륙부대를 해상에서 저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F-86이 노후화로 인해 퇴역하게 되면서 새로운 전투폭격기를 요구하게 되었다. 기존에 도입한 F-4의 경우 일본 국회에서의 논쟁으로 인해 지상공격과 관련된 기능이 삭제된 상태로 라이센스 생산을 해, 지상공격 능력을 가진 신형 전투기를 독자 개발하게 되었다.

F-1의 베이스가 된 미쓰비시 T-2는 원래 고등연습기로 개발되었지만, 연습기로만 생산할 경우 가격이 매우 비싸진다는 이유와 F-86의 대체기가 필요하다는 이유로 인해 지원전투기[7]로 개량이 가능하게 개발되었다.

1971년 T-2의 개발이 마무리되면서 T-2를 지원전투기로 개량하는 작업이 시작되었는데, 이는 FS-T2로 명명되었다. 1972년 6월에 요구성능이 제시되었고, 7월 24일에 기본 성능을 정했다. 그 후 10월 9일의 국방회의에서 정식으로 개발이 결정되었다.

그러나 개발 과정에서도 국산 개발이 아니라 해외 도입을 요구하는 압력이 지속적으로 있었다. 1972년의 국방의원회의에서도 F-5를 도입하자는 의견이 나왔으나 이미 개발이 완료된 T-2와의 호환성 및 일본 국내의 작전 환경에 최적화된 기체라는 이유로 개발은 지속되었다. 같은 회의에서 F-4에서도 삭제한 채로 도입한 지상공격기능이 문제가 되었으나, 짧은 항속거리로 인해 주변 국가에게 위협이 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넘어갔다.

그 후 1973년 3월 말에 미쓰비시 중공업이 설계를, 미쓰비시 전기가 전자장비를 담당하여 개발이 시작되었다. 기본 요구사항으로는 T-2와의 호환성이 요구되었으며 73년 5월에는 세부 설계가 시작되었다. 그 후 75년 6월에 T-2의 양산 2호기와 3호기를 개조한 FS-T2가 비행하였다.

그 후 7월 말 항공자위대 항공실험단의 비행실험이 시작되었고 76년도 3월까지 213소티를 비행하였다. 그 뒤 76년 11월 12일 방위청 장관의 승인과 함께 명칭이 FS-T2에서 F-1으로 변경되었다.


3. 운용사[편집]


파일:external/ncache.ilbe.com/090f58a776afeafe0655e8bd3f0ab244.jpg
E-2C 호크아이와 편대비행중인 F-1

제 4차 방위력정비계획의 요구사항은 4개 비행대대분인 126대를 요구하였지만, 1972년 8월 3개 비행대대분인 96대로 변경되었다. 그 후 최종적으로는 1개 비행대대분은 차후 구매로 연기되어 결국 1972년 10월 68대를 구입하였다. 1973년에 1차 양산을 계획하였으나 오일쇼크로 인해 1975년에 양산에 착수해 1977년 2월 25일에 양산 1호기가 롤 아웃, 6월 16일에 첫 비행을 실시해 9월 16일에 미사와 기지에 배치되었다. 그 후 1987년 3월 9일에 마지막 양산기인 77호기가 생산되어 12년간의 생산이 끝났다.

운용부대는 미사와 기지의 제3비행대, 츠이키 기지의 제6비행대와 제8비행대이다. 원래는 3개 비행대가 아닌 4개 비행대가 운용할 예정이였으나 재무성의 반대로 인해 무산되었다.

그 후 후계기인 F-2의 개발과 노후화로 인한 부품 수급의 어려움으로 인해 츠이키 기지의 제8비행대의 경우 1997년부터 지상공격 능력을 복구한 F-4EJ改로 교체되었고, 미사와 기지의 제3비행대에선 2001년 3월 24일까지 F-2로 교체되었다. 마지막까지 F-1을 운용하던 츠이키 기지의 제6비행대에서 2006년 3월 18일에 임무 종료식과 함께 퇴역하였다.


4. 무장[편집]


파일:ASM-1.jpg
ASM-1 공대함 유도탄을 장착중인 F-1

훈련기였던 T-2와는 다르게 F-1은 전투기로서의 임무를 위해 다양한 전자장비와 무장을 탑재하였다.

J/AWG-12 화기 관제 레이더, J/ASQ-1 관제 계산 장치, J/ASN-1 관성 항법 장치(INS), J/AWA-1 대함 미사일 관제 장치(ASM-1용), J/APN-44 전파 고도계, J/A24G-3 날씨 제원 계산 장치(ADC), J/APR-3 레이더 경보 장치(RHAWS) 등의 다양한 전자장비를 탑재하였다.

J/AWG-12 레이더의 경우 T-2에 장착된 J/AWG-11을 기반으로 제작하였고[8] J/AWG-11에는 없던 지상관련 기능과 대함미사일 유도 기능이 추가되었다[9]. J/ASQ-1 관제장치는 무유도 폭탄을 위한 CCIP 및 CCRP 기능이 있었으나, 예산상의 이유로 로켓과 기관포에는 관련 기능이 없었다. 그러나 이를 운용부대에서 독자적으로 개조한 결과 기관포와 로켓도 같은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무장은 M61 발칸 20mm 개틀링 기관포를 고정무장으로 장착했으며 좌우 날개에 2개, 날개 밑에 2개 동체 하부에 1개, 총 7개의 하드포인트를 가지고 있다. 미사일은 공대공 용도로 AIM-9 사이드와인더, 공대함 용도로 80식 공대함 미사일(ASM-1)과 93식 공대함 미사일(ASM-2)을 사용하였으며. 지상공격을 위한 폭탄은 Mk.82 500파운드 폭탄과 JM117 750파운드 폭탄, CBU-87/B 집속탄 등을 사용하였다.[10] 로켓은 70mm 히드라 70 로켓과 127mm 로켓을 운용하였다.

플레어와 채프가 기체에 장착되지는 않았으나 채프의 경우 외장 포드를 이용하여 운용하였다.


5. 설계[편집]


파일:F-1_T-2.png
F-1 전투기와 T-2 고등훈련기의 비교사진

대부분의 설계는 T-2와 동일하며 일부 부분에서 전투 임무를 위한 개량이 있었다.

기본 구조는 모노코크 구조이며 기수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레이돔이 설치되어 있다. 콕핏의 뒤에는 기존의 후방석을 개조해 연료탱크 증설 및 전자장비를 탑재하였다[11].

T-2와 같이 날개가 동체의 상부에 위치한 고익기인데, 이는 공격 임무 시의 저공 고속 비행에 적합했다. 그러나 초음속 비행을 위해 날개의 단면이 매우 얇기 때문에 연료탱크를 날개에 설치하지 못하고 동체에 설치해 동체의 굵기가 굵은 편이다. 연료 탑재량도 많은 편이 아니라 작전 시에는 기본적으로 외부 연료 탱크를 장착하고 출격하였다. 수평 꼬리 날개의 경우 엔진의 열기로 인해 내열성을 가진 티타늄 합금을 사용하였다.

콕핏의 윈드쉴드는 T-2의 3분할 윈드쉴드와 다르게 일체화된 윈드쉴드로 변경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T-2는 신형 윈드쉴드로 전면적으로 교체하지는 않았고, 블루임펄스용의 T-2에만 한정적으로 신형 윈드쉴드로 교체하였다.

엔진은 기존의 T-2와 같이 롤스로이스-터보메카제 아도어 엔진을 탑재하였다. 그러나 엔진의 트러블과 추력 부족으로 인한 문제가 F-1의 발목을 잡았다[12].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시카와지마하리마 중공업은 롤스로이스와의 협의를 통해 엔진에 일본 독자적인 개선을 가했으며, 생산성도 독자적으로 개선하였다.


6. 파생형[편집]




7. 매체에서의 등장[편집]


  • SHIROBAKO 극중극 제3비행소녀대(第三飛行少女隊) 히토토세 아리아(春夏秋冬ありあ)가 탑승하는 전투기로 나온다.

  • 고지라 시리즈의 작품 중 하나인 고지라(1984)에서는 F-1을 기반으로 카나드를 추가한 가상의 기체 F-1CCV가 나온다. 고지라를 80식 공대함 미사일로 공격하지만, 방사열선으로 2대가 격추당한다.


  • 스트라이커즈 1945 III에서는 1~4스테이지까지의 이른바 "랜덤면"들 중 바다 스테이지(=일본)에서만 잡졸 적기로 줄줄이 등장한다.


  • 워게임 레드 드래곤에서 자위대 공격기로 등장한다. 다만 원판의 주무장은 대함 미사일인데 여기서는 레이저 유도폭탄 셔틀 취급을 받고 있다(...). ECM 20%대의 준수한 공격기였으나 패치 이후 몰락했다. 차라리 남한하고 청룡연합 맺어 AGM-65 매버릭 ATGM을 단 F-4E 피스 페산트 II를 가져와서 쓰는 게 몇 배 더 이득이다. 패치로 레이저 유도폭탄의 명중률이 100%에서 좀 많이 떨어졌기 때문. 똑같이 LGB를 쓰는 F-117처럼 스플래시 데미지가 넓던가 해야지 쓰던가 하지 이거 원...

  • 고바야시 모토후미의 전쟁만화 '배틀 오버 홋카이도'와 '레이드 온 도쿄'에서 소련 지상군을 저지하기 위해 등장한다.

  • 한국 전쟁소설 중에는 파이어 데이에서 서울을 공습하는 역할로 등장한다. 4기 모두 지대공 미사일에 격추된다. 나이키에...


  • 워 썬더의 1.87 업데이트로 훈련기인 T-2가 등장했다. 티저 영상 그리고 한동안 승률 90%를 자랑하며 공대공 기총 리드와 미사일로 공방을 지배했었으나, 지금은 팬텀, MIG-21 등의 쟁쟁한 전투기들이 출시되었고, 지속적인 너프와 고증화로 적당한 전투기가 되었다. 그 후 New Power 패치로 미쓰비시 F-1이 추가되었다.
파일:T-2.png파일:WT_F-1.png
미쓰비시 T-2미쓰비시 F-1


8. 관련 문서[편집]




9. 둘러보기[편집]


✈️ 항공병기 둘러보기
⠀[ 현대 1991~ ]⠀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중미/카리브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신유고 연방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동남아시아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중앙아시아
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아프가니스탄 (~'21)
서아시아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북아프리카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동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서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중아프리카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남아프리카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 제트전투기의 계보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01:55:13에 나무위키 미쓰비시 F-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애프터 버너 출력시[2] 애프터 버너 비사용시, 군용기 기준[3] 요격전투시[4] 대지공격시[5] 대함공격시[6] 3개 보조연료탱크 추가 장착한 페리 비행기준[7] 일본 기준이며 한국 기준으론 전투폭격기이다.[8] 일설에는 J/AWG-11은 영국이 생산한 AN/AWG-11을 기반으로 제작된 레이더라고 한다.[9] 그러나 레이더가 펄스 도플러 레이더가 아닌 펄스 레이더여서 지상과 해상목표의 경우 탐지거리가 공중목표에 비해 짧아진다.[10] Mk.82와 JM117의 경우는 91식 폭탄유도장치 (GCS-1)을 사용하여 JDAM과 비슷하게 폭탄 유도가 가능하다.[11] 전자장비를 후방에 탑재하면 시야가 매우 나빠져,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전자장비를 전방석에 설치하는 방안도 설계 도중에 나왔으나 베이스인 T-2의 설계를 많이 변경해야한다는 이유로 기각되었다.[12] 애프터버너를 사용시 스로틀 조작에 미세한 제한이 있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