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미해군 vs 러시아 해군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미군 vs 러시아군




미합중국 해군VS러시아 해군
파일:미합중국 해군 마크.svg파일:러시아 해군 휘장.svg
전체 배수량 : 3,611,220 톤전체 배수량 : 약 900,000 톤
1. 개요
2. 미해군의 우위
3. 총 전력 비교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냉전 시절부터 주요 떡밥이었던 미군 vs 소련군부터 시작해서 미군 vs 러시아군까지 이어지는 두 강대국의 군사력 중에서 해군력을 비교하는 문서. 알다시피 미국소련의 대결은 인류를 멸망시키기 딱 적절했고 소련이 붕괴한 이후 지금은 러시아가 소련의 지위를 이어받아 서 미해군과 대립하며 긴장을 어느정도 이어가고 있다.

전 세계 항공모함 3분의 2를 차지하는 막강한 군사력은 미국의 경제를 바탕으로 그 폭을 넓혀 갔으나, 미국의 부채가 늘어나서 군축을 한 적도 있었다,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서며 군비증가에 들어섰으며. 여전히 미해군은 세계 최강의 전력을 자랑하고 있다.

반면 러시아 해군소련 시절의 해군력에도 미해군보다는 열세였다. 그 후예인 러시아 해군은 소련 해체 이후 소련 시절의 해군력 비해 약화된 채 시작됬고 태생적인 지형상의 불리함도 있었다, 각 해안이 연결이 되지 않으면서 연대가 거의 불가능 했고 미해군이 한 곳을 노려 공격하면 쉽게 당한다는 치명적인 약점이 존재했던 것이다.[1]물론 후에 어느정도 회복되었지만 러시아 해군은 미합중국 해군을 이기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울 정도로 격차가 매우 크다.


2. 미해군의 우위[편집]


전력상 미해군이 우세한 상황이며, 일단 선술했듯 지리상의 위치부터 불리하다.

파일:attachment/Russian_Federation_(orthographic_projection)_-_Crimea_disputed_svg.png

러시아의 지도인데 북에는 북극과 북극해가 있고[2] 동에는 태평양과 북극해의 사이이고 미국의 알래스카가 있으며 남에는 태평양과 일본이 있는데 이는 전력이 모아져서 저항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며 미국과 전쟁을 치를 시 해상자위대가 해전에 참가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가정하에 두고 보면 러시아 해군은 전력이 모아지지 않고 분산될 것이며 이는 곧 각개격파를 의미한다.

연해주(블라디보스토크) 지역의 항구는 겨울이 되면 얼어서 배가 지나가기 불편하거나 불가능하고 아예 협력이 되지 않는 지역도 있다, 실제로 크림 전쟁 때 당시 지금의 미 해군처럼 압도적으로 강했던 영국 해군캄차카 반도, 백해, 발트해를 동시다발적으로 공격했을 때 러시아군은 각개 격파당했다. 또한 소련 시절에도 이미 자각했던 문제점이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친소 국가들의 항구를 받아 미국처럼 다양한 방면에서 공격을 하려 했으나 현실은 시궁창, 소련 해군의 아버지와 어머니로 불리는 니콜라이 쿠즈네초프, 세르게이 고르시코프도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고군분투 했다. 다만 받은 항구가 너무 작거나 항구를 내주기를 거부해서 실질적인 항구의 확보는 수포로 돌아갔다. 당장 니미츠급 항공모함의 신형으로 평가받는 제럴드 R. 포드급 항공모함은 핵-전기 추진 방식으로 웬만한 항공모함과는 비교를 불허하며, 2009년 11월에 가공을 시작해 2013년 11월에 진수하고 2016년 3월에 취역한 CVN-78 제럴드 R. 포드함 외에 2척을 추가 건조하여 총 3척을 취역할 예정인데 이 항공모함 3척만으로 왠만한 해군과 공군력과 같거나 뛰어 넘을 지경이니...[3]

파일:attachment/worldcarriers.gif

전 세계 항공모함 3분의 2를 차지하는 미 해군의 물량은 실로 경악할 지경이다. 그나마 러시아의 유일한 항공모함으로 보유하고 있는 쿠즈네초프급도 스키점프대 방식이라 운용 효율이 많이 모자라고, 정비 중에 크레인이 붕괴되는 사고가 나면서 갑판이 파손되고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화재까지 발생해 내년에야 재취역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3. 총 전력 비교[편집]


배수량 기준 요약
국가항공모함수상 전투함공격용 잠수함
준이지스 이상3,000톤 이상 총계공격원잠재래식 포함 총계
미국11 척
1,161,000 톤
88 척
869,720 톤
110 척
941,520 톤
50 척
431,800 톤
50 척
431,800 톤
러시아1 척
58,600 톤
5 척
90,800 톤
22 척
187,310 톤
22 척
338,530 톤
44 척
402,750 톤


3.1. 수상 전투함[편집]


미러 양국의 1,000톤 이상 수상 전투함 비교 (취역 + 건조중)
만재배수량미국러시아
함급만재배수량VLS /
경사발사대
수량함급만재배수량VLS[4] /
경사발사대
수량
10,000톤급 이상줌왈트급15,900 톤80 / 02(+1) 척키로프급28,000 톤116+(64) / 01 척
타이콘데로가급9,800 톤122 / 813 척슬라바급12,000 톤64 / 162 척
알레이 버크급
(Flight IIA, III)
9,500+ 톤96 / 044(+5) 척
5,000톤 이상알레이 버크급
(Flight I, II)[5]
8,315+ 톤90 / 828 척고르시코프급5,400 톤48[U] / 02(+6) 척
컨스텔레이션급7,400 톤32 / 160(+1) 척
준이지스함 이상 구분선
소브레멘니급8,000 톤0 / 82 척#
우달로이급7,570 톤0[6]+(64) / 88 척
3,000톤 이상인디펜던스급3,100 톤0 / 013(+4) 척그리고로비치급4,000 톤32[u] / 03 척
프리덤급3,500 톤0 / 011(+4) 척뉴스트라시미급4,400 톤(32) / 82 척
크리박급3,575 톤0 / 42 척
머큐리급3,400 톤24[u] / 00(+1) 척
3,000톤 이상 구분선
1,000톤 이상그리먀시급2,500 톤24[u] / 01(+2) 척
스테레구시급2,200 톤12 / 88(+4) 척
게파르트급1,930 톤0 / 82 척


3.2. 항공모함, 강습상륙함, 상륙함[편집]


미러 양국의 항공모함, 강습상륙함, 상륙함 비교 (취역 + 건조중)
분류미국러시아
함급배수량수용능력수량함급배수량수용능력수량
항공모함제럴드 포드급101,000톤고정익 58기
헬기 12기
1(+2) 척쿠즈네초프급58,600 톤고정익 20기
헬기 12기
1 척
니미츠급106,000톤고정익 58기
헬기 12기
10 척
LHA아메리카급45,000 톤F-35B 14기[7]
헬기 6기
2(+1) 척
LHD와스프급41,000 톤헬기 40기
LCAC 3척
장갑차량 20대
7 척
LPD샌 안토니오급25,000 톤헬기 6기
LCAC 2척
장갑차량 14대
11(+3) 척
LSD하퍼스 페리급16,000 톤LCAC 2척
장갑차량 14대
4 척
위드비 아일랜드급16,000 톤LCAC 4척6 척
LST이반 그렌급6,600 톤장갑차량 20대2(+2) 척
로푸카급4,080 톤전차 10대15 척
앨리게이터급4,700 톤3 척


3.3. 잠수함[편집]


미러 양국의 잠수함 비교 (취역 + 건조중)
분류미국러시아
함급수중배수량수량함급수중배수량수량
SSBN컬럼비아급21,140 톤0(+12) 척보레이급24,000 톤7(+3) 척
오하이오급18,750 톤14 척델타급IV급18,200 톤5 척
SSGN오하이오급18,750 톤4 척오스카II급19,400 톤6 척
SSN씨울프급9,100 톤3 척야센급13,800 톤3(+6) 척
버지니아급7,900 톤21(+27) 척아쿨라급12,770 톤9 척
LA급6,900 톤26 척시에라II급9,100 톤2 척
---빅터III급7,250 톤2 척
---델타급III급[8]13,700 톤1 척
SSK---라다급2,700 톤1(+4) 척
---킬로급 개량형3,076 톤9(+3) 척
---킬로급3,076 톤11 척


4.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07:05:06에 나무위키 미해군 vs 러시아 해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러일전쟁 당시 일본 해군에게 크게 당한 원인. 넓은 해역에 해군력이 분산되어 있다 보니 일본 함대에게 각개격파 당한 것.[2] 지도에는 나와있지 않지만 다들 알듯이 북극에는 거대한 유빙이 굉장히 많다, 까딱하면 침몰될 수 있는 위협이 상시 대기 중인것이다.[3] 애초에 미해군은 미해군 자체를 제외한 전세계 해군력보다 강하다.[4] 괄호 표기는 CIWS에 가까운 수준의 단거리 대공 미사일 전용 VLS[5] 후기형과 무장, 센서, 전투체계 등에서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사실상 10,000톤급이라고 볼 수도 있지만 헬기 격납고가 없는 점을 고려하여 실제 배수량대로 분류함[U] 16셀은 UKSK VLS 채용하여 지르콘 극초음속 대함 미사일, 야혼트 초음속 대함 미사일, 클럽 대함 미사일 등을 운용 가능[6] 1척(마샬 샤포시니코프)에는 UKSK VLS 16셀 설치됨[u] A B C 8셀은 UKSK VLS 채용하여 지르콘 극초음속 대함 미사일, 야혼트 초음속 대함 미사일, 클럽 대함 미사일 등을 운용 가능[7] 미 해병대 항공 전력 보고서(2017)[8] 재분류되면서 SSN 목록에 포함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