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민주국민당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00년에 창당한 동명의 정당에 대한 내용은 민주국민당(2000년) 문서
민주국민당(2000년)번 문단을
민주국민당(2000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정부상징(1949-2016).svg 대한민국 연립여당
한국민주당
(1948.8.~1949.1.)
민주국민당
(1949.2.~1949.11.)
대한국민당
(1949.11.~1951.12.)


파일:민주국민당(1949년) 글씨.svg
민주국민당
영문명Democratic National Party (DNP)
창당일1949년 2월 10일
해산일1955년 9월 18일
국회의원
15석 / 203석 (7.4%)
당색
황록색 (#ADFF2F)
이념고전적 자유주의
보수주의
네셔널리즘
반공주의

1. 개요
2. 내용
3. 5개 강령
4. 역대 선거 결과
5. 역대 당직자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한국민주당대한국민당(1948년)[1]이 합당하여 생긴 보수주의 성향의 정당. 당명은 한국민주당에서 ‘민주’, 대한국민당(1948년)에서 ‘국민’을 따서 만들어졌다. 약칭은 민국당.

사건 순서민주국민당의 창당 과정
1한국민주당대동청년단(지청천)대한국민당(1948년)대한여자국민당(임영신)
2통합한 대한국민당(1948년)
31949년 2월 10일 민주국민당 창당합당에 반대한 대한국민당(1948년) 세력


2. 내용[편집]


한국민주당은 미군정 체제에서 집권당과도 같은 위치에 있었기 때문에 미군정의 실정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을 수 없었다. 그렇기 때문에 정부가 수립되고, 이승만에게 뒤통수를 맞은 상황에서 일반국민의 지지를 얻기 위한 쇄신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그리하여 한민당의 위원장인 김성수가 1948년 말부터 대한국민당(1948년)지청천, 신익희 등과 의견의 일치를 봄으로써, 한국민주당에서 ‘민주’라는 글자를, 대한국민당에서 ‘국민’이라는 글자를 따서 1949년 2월 10일 민주국민당이 창당된다. 민국당은 창당 때 4명의 최고위원(김성수·백남훈·신익희·지대순)을 선출하여 합의제로 운영하였다. 그러나 후일 보다 능률적인 당운영을 위하여 위원장제를 채택하여 위원장에 신익희, 부위원장에 김도연·이영준, 고문에 백남훈·서상일·조병옥을 각각 선출하였다.

민국당이 제일 처음 착수하여야 하였던 과제는 헌법을 애초의 상태, 즉 내각책임제로 환원하는 문제였다. 민국당은 헌법을 개정하여 대통령을 국가의 상징적인 존재로 만들고 정치의 실권을 장악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었다. 당시 원내에서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던 민국당은 1949년 11월 12일 내각책임제 개헌안을 제출, 통과시키려고 시도했다. 하지만 이에 반대하는 의원들이 대한국민당을 창당하자 이는 무위로 돌아간다. 1950년 1월 27일, 민국당은 다시 한 번 내각책임제 개헌안을 무소속 일부와 제휴하여 개헌을 추진, 같은 해 3월 14일 표결에 붙였으나 부결되어 기대한 바를 달성하지는 못하였다. 개헌 시도에 위기감을 느낀 이승만은 자유당을 창당했고, 민주국민당은 야당으로서 이승만 정권에게 상당한 탄압을 겪었다.

사건 순서민주당(1955년)의 창당 과정
1민주국민당흥사단계(장면, 정일형 등)자유당 탈당파(현석호, 이태용 등)무소속 일부
21955년 9월 18일 민주당(1955년) 창당

이후 민주국민당은 이승만사사오입 개헌을 실행하자 흥사단계와 자유당 탈당파, 일부 무소속 등과 통합하여 민주당(1955년)을 창당한다.


3. 5개 강령[편집]


5개 강령민족의 권리 확보
만민 평등의 민주정치 구현
경제적 기회 균등을 원칙으로 한 자주경제 수립
민족문화의 양양을 위한 세계문화에의 공헌
인류의 자유와 행복을 기초로 한 세계평화의 수립
[2]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5. 역대 당직자[편집]


파일:민주국민당(1949년) 글씨.svg 민주국민당 최고위원 및 위원장



6. 관련 문서[편집]




7. 둘러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한독립촉성국민회 글씨(흰색).png
대한독립촉성국민회

(1948.7.24.~1951.12.17.)

(1951.12.17.~1960.4.26.)

(1960.8.19.~1961.5.18.)
파일:한국민주당 글씨(흰색).png
한국민주당

(1948.7.24.~1949.2.10.)
파일:민주국민당 글씨(검정).png
민주국민당

(1949.2.10.~1949.11.12.)
(1949.11.12.~1951.12.17.)

(1963.12.17.~1973.3.10.)

(1973.3.10.~1979.10.26.)

(1981.1.15.~1990.1.22.)

(1990.1.22.~1992.10.5.)
파일:유신정우회_한글로고.svg
(1973.3.10.~1979.10.26.)

(1993.2.25.~1995.12.6.)

(1995.12.6.~1997.11.7.)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1998.2.25.~2000.1.20.)

(2000.1.20.~2002.5.6.)

(2003.2.25.~2003.9.29.)

(1998.2.25.~2001.9.3.)

(2001.4.16.~2001.9.3.)

(2004.5.20.~2007.2.28.)

(2008.2.25.~2012.2.13.)

(2012.2.13.~2017.2.13.)

(2017.2.13.~2017.3.10.)
파일:대한민국 대통령 문장.svg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7.5.10.~2020.3.8.)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3.8.~2020.5.18.)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5.18.~2022.5.9.)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2.5.10.~현재.)

(2020.3.8.~2020.5.18.)



[ 펼치기 · 접기 ]

구성인사
여당대한독립촉성국민회 자유당
연립여당한국민주당 · 민주국민당 · 대한국민당
정책 및 방향경제개발 3개년 계획 · 의무교육 · 의무 복무 · 시장경제체제 · 지방자치제 · 한미상호방위조약 · 농지개혁법 · 국가보안법 · 이승만 라인 (평화선) · 한국외국어대학교 · 인하공과대학
평가평가 · 긍정적 평가 · 부정적 평가
타임라인
1948년반민족행위처벌법 통과 · 행정권 이양 · 제주 4.3 사건 · 여순사건 · 국가보안법 제정
1949년반민특위 해산 · 해병대 창설 · 공군 창설 · 병역법 제정 · 징병검사 실시 · 국회 프락치 사건 · 백범 김구 암살 사건
1950년6.25 전쟁 발발 · 제2대 국회의원 선거 · 유엔군 참전 · 한강 인도교 폭파 · 부산 수도 이전 · 인천 상륙작전 · 흥남 철수 · 한강 방어선 전투 · 춘천-홍천 전투 · 주문진항 해전 · 오산 전투 · 동락리 전투 · 진천 전투 · 천안 전투 · 대전 전투 · 장항-군산-이리 전투 · 안동전투 · 다부동 전투 · 흥남철수 · 보도연맹 학살사건 · 경산 코발트탄광 학살사건 · 노근리 양민 학살 사건 · 선거법 제정 · 국민방위군 설치령 · 농지개혁 · 한국은행 발족 · 유네스코 가입
1951년1.4 후퇴 · 거창 양민 학살사건 · 국민방위군 사건 · 한국조폐공사 설립 · 자유당 창당
1952년제2대 대통령 선거 · 발췌 개헌 · 이승만 라인 (평화선) 선포 · 백마고지 전투
1953년정전 협정 (휴전) ·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 국제시장 대화재 · 노동 3법 제정
1954년사사오입 개헌 · 제3대 국회의원 선거 · 독도의용수비대 파견
1955년단성사 저격 사건
1956년제3대 대통령 선거 · 1956년 지방선거 · 장면 부통령 저격사건 · 한국증권거래소 발족
1957년저작권법 제정 · 장충단집회 방해 사건 · 가짜 이강석 사건
1958년제4대 국회의원 선거 · 진보당 사건 · 농업협동조합 발족
1959년제28보병사단 사단장 살인사건 · 조봉암 사형
1960년제4대 대통령 선거 (3.15 부정선거) · 4.19 혁명 · 2.28 학생민주의거 · 고려대학교 4.18 학생 시위 · 김주열 최루탄 사건 · 장면 부통령 사퇴 · 이승만 대통령 하야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를 참고
이승만 개인과 관련된 문서는 틀:이승만 참고








1948.5.31. ~ 1950.5.30.
[ 임기 종료 당시 교섭단체별 의석 ]

재적
198석
임시의정원 ·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제헌 · 2 · 3 · 4 · 5민 · 5참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1950.5.31. ~ 1954.5.30.
[ 임기 개시 당시 정당별 의석 ]
[ 임기 종료 당시 교섭단체별 의석 ]

여당
파일:자유당 심볼(백색).png
[[파일:자유당 선거벽보 글씨.png
99석
야당
20석
비교섭단체
60석
재적
179석
임시의정원 ·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제헌 · 2 · 3 · 4 · 5민 · 5참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1954.5.31. ~ 1958.5.30.
[ 임기 개시 ]

여당
파일:자유당 심볼(백색).png
[[파일:자유당 선거벽보 글씨.png
114석
야당
15석
3석
3석
무소속
68석
재적
203석

[ 임기 종료 ]

여당
파일:자유당 심볼(백색).png
[[파일:자유당 선거벽보 글씨.png
131석
야당
46석
파일:통일당(1957년) 글씨(흰색).png
1석
무소속
24석
재적
202석
임시의정원 ·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제헌 · 2 · 3 · 4 · 5민 · 5참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08:13:59에 나무위키 민주국민당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나중에 부활한 대한국민당(1949년)과는 전혀 다른 정당이다.[2] 한국사대사전(2004, 발행인 박영근, 고려출판사 발행) 497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