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덤프버전 :

파일:대한민국 대통령기.svg 대한민국 여당
대한독립촉성국민회
(1948.7.24.~1951.12.17.)

대한국민당
(1949.11~1951.12)
자유당
(1951.12.17.~1960.4.26.)


파일:대한독립촉성국민회 글씨.svg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영문명National Association (NA)
창당일1946년 2월 8일
해산일1958년 8월
선행조직
독립촉성중앙협의회



신탁통치반대국민총동원위원회

주소서울특별시 종로구
당색
파란색 (#1271B5)
정치 이념보수주의
반공주의
공화주의

1. 개요
2. 대한독립촉성국민회의 선언문
3.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소속 의원들의 이탈
4. 이후
4.1.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출신 제헌 국회의원
5. 출신 대통령
6. 출신 부통령
7. 역대 선거 결과
8. 관련 정치단체
9. 관련 문서
10.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독립촉성국민회(大韓獨立促成國民會)대한민국의 초대 여당이다. 1946년 2월 8일, 이승만독립촉성중앙협의회김구신탁통치반대국민총동원위원회가 통합하여 출범하였으며, 촉성은 빨리 이룬다는 뜻이다.

신탁통치를 반대라는 공통의 목적으로 뭉친 대한독립촉성국민회는 독립촉성국민회, 국민회, 독촉국민회, 독촉, 대촉국 등의 약칭으로 불리기도 했다. 당시 총재는 이승만, 부총재가 김구였다.

1946년 6월 29일 민족통일총본부로 재발족 하였다. 이후 김구, 김규식 등의 남북협상파는 제헌국회 총선에 불참하게 된다. 이후 대한독립촉성국민회는 독자적인 활동을 하게 된다. 이들은 이후 제헌국회에 참여하여 이승만이 대통령에 선출되는 과정, 남한 단독정부 수립, 제헌헌법 제정 등에 주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2. 대한독립촉성국민회의 선언문[편집]


① 우리는 대한의 완전자주독립을 위하여 최후까지 싸울 것을 선언함.
② 우리의 운동은 정당·정파를 초월한 순연(純然)한 국민운동임을 선언함.
③ 우리는 남북과 좌우의 통합을 기하여 사상적으로나 지역으로나 통일완수를 위하여 사력을 다할 것을 선언함.


3.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소속 의원들의 이탈[편집]


제헌 국회의원 선거 이후 1대 국회에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소속 의원들의 이탈
대한독립촉성국민회민주국민당대한국민당(1949년)일민구락부무소속의원직사퇴납북
4122512111

제헌국회 당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소속의 의원들은 4명을 제외하고 모두 정계개편 등의 이유로 인해 다른 당이나 무소속 등으로 이탈하였다. 제헌국회에서 최종적으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출신 의원들이 제일 많이 간 곳은 대한국민당(1949년)이었다. 모두 25명이 이동하여서 과반수에 해당하는 의원들이 이동한 것으로 보인다. 민주국민당과 일민구락부로 소속을 변경한 국회의원도 각각 12명 이었다. 약 21.8% 정도의 의원들이 양당으로 이동한 것으로 보인다. 납북, 무소속 등으로 당적이 이탈된 의원은 3명이었다. 일민구락부의 경우에는 일시적으로 가장 많은 인원이 이동하였으나 다시 '대한국민당' 등으로 이동한 인원이 많아 결과적으로 12명의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출신 의원들을 보유하게 되었다.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소속 제헌국회출신 의원 중 12명은 민주국민당(1949년)으로 이동한다. 수치상으로 67.27%의 의원이 민주국민당으로 이동한 것처럼 보이나 독촉출신 의원들 중 신정회, 대한노동당, 일민구락부 소속 의원 25명(1명은 조봉암)이 부활한 대한국민당(1949년)에 전부 합류했기 때문에 상당수의 의원들은 대한국민당(1949년)에 있었다. 그렇게 이동한 의원 중 일부분은 2대 국회에서 낙선하거나 무소속으로 변경되었다.


4. 이후[편집]


제2대 국회의원 선거,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2년 지방선거, 1956년 지방선거에서 소수의 당선인들을 배출시키며 명맥을 유지해나가고 있었으나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원내 진출에 실패했다. 이후 자유당으로 흡수된 것으로 보인다.


4.1.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출신 제헌 국회의원[편집]


이름지역구소속 후 이동[1]
권병노경상북도 의성군 을일민구락부[2]
김경도경상남도 함양군일민구락부
김문평전라남도 여수군 갑민주국민당
김영기경기도 안성군무소속 > 대한국민당
김용재전라남도 무안군 갑신정회 > 대한국민당
김익기경상북도 안동군 갑민주국민당
김진구강원도 삼척군민주국민당
김철경상북도 경주군 갑일민구락부
김철수충청남도 부여군 을일민구락부
김태수경상남도 창원군 갑민주국민당
김효석경상남도 합천군 을한국전쟁납북
남궁현충청남도 부여군 갑신정회 > 대한국민당
민경식경기도 용인군민주국민당
박종환경상북도 청도군민주국민당
서성달경기도 고양군 갑민주국민당
성낙서충청남도 대전부무소속
손재학충청남도 홍성군대한노농당 > 대한국민당
송봉해전라남도 해남군 갑일민구락부 > 대한국민당
송진백충청남도 대덕군신정회 > 대한국민당
송창식경기도 이천군일민구락부 > 대한국민당
신광균경기도 개풍군일민구락부
신익희경기도 광주군잔존
신현돈전라북도 무주군잔존
오석주전라남도 고흥군 갑신정회 > 대한국민당
오택열경상북도 영덕군일민구락부 > 대한국민당
원용균강원도 횡성군일민구락부 > 대한국민당
유준상전라북도 완주군 갑대한노농당 > 대한국민당
유진홍충청남도 논산군 갑민주국민당
류홍렬충청북도 제천군일민구락부 > 대한국민당
육홍균경상북도 선산군신정회 > 대한국민당
이남규전라남도 목포부잔존
이범교경상북도 영천군 을일민구락부
이병국충청남도 천안군잔존
이석경상북도 경주군 을일민구락부
이승만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갑1948년 7월 20일까지
이요한전라북도 옥구군일민구락부 > 대한국민당
이원홍경상남도 합천군 갑민주국민당
이유선경기도 부천군일민구락부 > 대한국민당
이의상충청북도 음성군일민구락부 > 대한국민당
이종근충청남도 청양군신정회 > 대한국민당
이종순강원도 춘성군일민구락부 > 대한국민당
이주형경상남도 밀양군 갑일민구락부
장병만경상북도 칠곡군일민구락부 > 대한국민당
정구삼충청북도 옥천군일민구락부
정해준전라북도 금산군민주국민당
조봉암경기도 인천부 을대한국민당
조옥현전라남도 순천군 을대한노농당 > 대한국민당
조재면전라남도 무안군 을일민구락부 > 대한국민당
조중현경기도 장단군신정회 > 대한국민당
진직현전라북도 임실군민주국민당
진헌식충청남도 연기군일민구락부 > 대한국민당
최규옥강원도 춘천부일민구락부
최헌길강원도 강릉군 을대한노농당 > 대한국민당
표현태경상남도 거창군일민구락부
한암회경상북도 상주군 갑일민구락부
홍순녕제주도 북제주군 갑민주국민당


5. 출신 대통령[편집]


대한민국 대통령
파일:대한민국 대통령 문장.svg
이름임기선출 방식정당
취임일퇴임일
1파일:이승만_흑백 공식사진.jpg
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
이승만
(1875 ~ 1965)
11948년 7월 24일[3]1952년 8월 14일1948년 대선
간선 92.3%
대한독립촉성국민회 (1948 ~ 51)
자유당 (1951 ~ 60)
21952년 8월 15일1956년 8월 14일1952년 대선
직선 74.6%
31956년 8월 15일1960년 4월 27일1956년 대선
직선 70.0%


6. 출신 부통령[편집]


대한민국 부통령
이름임기선출 방식정당
취임일퇴임일
1파일:external/img.nate.com/249945001.jpg
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
이시영
(1868 ~ 1953)
11948년 7월 24일1951년 5월 9일
1948년 부선
간선 67.51%
대한독립촉성국민회

7. 역대 선거 결과[편집]




8. 관련 정치단체[편집]


  • 제헌총선 전
  • 제헌국회 후
    • 3.1 구락부[4]
    • 이정회[5]
    • 일민구락부
    • 대한부인회
    • 대한여자국민당
    • 대한국민당


9. 관련 문서[편집]




10. 둘러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한독립촉성국민회 글씨(흰색).png
대한독립촉성국민회

(1948.7.24.~1951.12.17.)

(1951.12.17.~1960.4.26.)

(1960.8.19.~1961.5.18.)
파일:한국민주당 글씨(흰색).png
한국민주당

(1948.7.24.~1949.2.10.)
파일:민주국민당 글씨(검정).png
민주국민당

(1949.2.10.~1949.11.12.)
(1949.11.12.~1951.12.17.)

(1963.12.17.~1973.3.10.)

(1973.3.10.~1979.10.26.)

(1981.1.15.~1990.1.22.)

(1990.1.22.~1992.10.5.)
파일:유신정우회_한글로고.svg
(1973.3.10.~1979.10.26.)

(1993.2.25.~1995.12.6.)

(1995.12.6.~1997.11.7.)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1998.2.25.~2000.1.20.)

(2000.1.20.~2002.5.6.)

(2003.2.25.~2003.9.29.)

(1998.2.25.~2001.9.3.)

(2001.4.16.~2001.9.3.)

(2004.5.20.~2007.2.28.)

(2008.2.25.~2012.2.13.)

(2012.2.13.~2017.2.13.)

(2017.2.13.~2017.3.10.)
파일:대한민국 대통령 문장.svg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7.5.10.~2020.3.8.)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3.8.~2020.5.18.)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5.18.~2022.5.9.)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2.5.10.~현재.)

(2020.3.8.~2020.5.18.)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전 정당
대한제국 ~ 미군정
(1897 ~ 1948)


[ 펼치기 · 접기 ]


||<|4><bgcolor=#dcdcdc,#222> ||<|8><-2> 공산정당 ||<-7> 조선의 붕당 ||<|10><bgcolor=#dcdcdc,#222> ||
||<-5><bgcolor=#6a1309> 황국협회 ||<-2><bgcolor=#87ceed> 독립협회 ||
||<-7><bgcolor=#ffC87C> 신민회 ||
||<-7><bgcolor=#005ba6> 대한민국 임시정부 ||
||<|7><bgcolor=#fffff0> 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 ||<|3><bgcolor=#f02815> 의열단 ||<|3><bgcolor=#fff8dc> 조선혁명당 ||<|2><bgcolor=#00008b> 한국독립당 ||<-2><bgcolor=#00008b> 한국독립당 ||<-2><bgcolor=#f5deb3> 대한인국민회 ||
||<bgcolor=#f0fff0> 한국혁명당 ||<|2><bgcolor=#00008b> 한국독립당 ||<bgcolor=#90ee90> 대한인동지회 ||<bgcolor=#007dc2> 흥사단 ||
||<-2><bgcolor=#722F37> 신한독립당 ||<-2><bgcolor=#ffb6c1> 신간회 ||
||<-4><bgcolor=#ff8200> 민족혁명당 ||<|2><bgcolor=#80ff00> 한국국민당 ||<|2><bgcolor=#00ffff> 흥업구락부 ||<|2><bgcolor=#fff000> 수양동우회 ||
||<bgcolor=#90253f> 경성 콤그룹 ||<bgcolor=#ffbb00> 조선건국동맹 ||<bgcolor=#dc143c> 조선민족혁명당 ||<bgcolor=#ffdb58> 조선혁명당 ||<-2><bgcolor=#4c516d> 한국독립당 ||
||<bgcolor=#d82018> 전국평의회 ||<bgcolor=#da251d> 건국준비위원회 ||<bgcolor=#c9062a> 조선독립동맹 ||<|2><-4><bgcolor=#4c516d> 한국독립당 ||<|2><bgcolor=#0000ff> 독립촉성중앙협의회 ||<bgcolor=#7cfc00> 조선민족당 ||
||<bgcolor=#cc0000> 조선공산당 ||<bgcolor=#da460d> 조선인민당 ||<bgcolor=#c70125> 남조선신민당 ||<|4><bgcolor=#008000> 한국민주당 ||<colbgcolor=#f00000> 조선민주당 ||
||<|3><bgcolor=#353839> 독립노농당 ||<-3><bgcolor=#cc0000> 남조선로동당 ||<|3><bgcolor=#27176f> 대동청년단 ||<|3><bgcolor=#4f7fd4> 조선민족청년단 ||<|3><bgcolor=#ffffe0> 청년조선총동맹 ||<|3><-2><bgcolor=#1271b5> 대한독립촉성국민회 ||<|3><bgcolor=#FF0000> 서북청년회 ||
||<|2><bgcolor=#cc0000> 남조선로동당 ||<-2><bgcolor=#e31910> 사회노동당 ||
||<-2><bgcolor=#e31910> 근로인민당 ||
|| 진보정당 || 조선로동당 (남로당파) || 진보정당 || 조선로동당 (연안파) ||<-7> 보수정당 / 민주당계 / 진보정당 ||







[ 펼치기 · 접기 ]

구성인사
여당대한독립촉성국민회 자유당
연립여당한국민주당 · 민주국민당 · 대한국민당
정책 및 방향경제개발 3개년 계획 · 의무교육 · 의무 복무 · 시장경제체제 · 지방자치제 · 한미상호방위조약 · 농지개혁법 · 국가보안법 · 이승만 라인 (평화선) · 한국외국어대학교 · 인하공과대학
평가평가 · 긍정적 평가 · 부정적 평가
타임라인
1948년반민족행위처벌법 통과 · 행정권 이양 · 제주 4.3 사건 · 여순사건 · 국가보안법 제정
1949년반민특위 해산 · 해병대 창설 · 공군 창설 · 병역법 제정 · 징병검사 실시 · 국회 프락치 사건 · 백범 김구 암살 사건
1950년6.25 전쟁 발발 · 제2대 국회의원 선거 · 유엔군 참전 · 한강 인도교 폭파 · 부산 수도 이전 · 인천 상륙작전 · 흥남 철수 · 한강 방어선 전투 · 춘천-홍천 전투 · 주문진항 해전 · 오산 전투 · 동락리 전투 · 진천 전투 · 천안 전투 · 대전 전투 · 장항-군산-이리 전투 · 안동전투 · 다부동 전투 · 흥남철수 · 보도연맹 학살사건 · 경산 코발트탄광 학살사건 · 노근리 양민 학살 사건 · 선거법 제정 · 국민방위군 설치령 · 농지개혁 · 한국은행 발족 · 유네스코 가입
1951년1.4 후퇴 · 거창 양민 학살사건 · 국민방위군 사건 · 한국조폐공사 설립 · 자유당 창당
1952년제2대 대통령 선거 · 발췌 개헌 · 이승만 라인 (평화선) 선포 · 백마고지 전투
1953년정전 협정 (휴전) ·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 국제시장 대화재 · 노동 3법 제정
1954년사사오입 개헌 · 제3대 국회의원 선거 · 독도의용수비대 파견
1955년단성사 저격 사건
1956년제3대 대통령 선거 · 1956년 지방선거 · 장면 부통령 저격사건 · 한국증권거래소 발족
1957년저작권법 제정 · 장충단집회 방해 사건 · 가짜 이강석 사건
1958년제4대 국회의원 선거 · 진보당 사건 · 농업협동조합 발족
1959년제28보병사단 사단장 살인사건 · 조봉암 사형
1960년제4대 대통령 선거 (3.15 부정선거) · 4.19 혁명 · 2.28 학생민주의거 · 고려대학교 4.18 학생 시위 · 김주열 최루탄 사건 · 장면 부통령 사퇴 · 이승만 대통령 하야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를 참고
이승만 개인과 관련된 문서는 틀:이승만 참고







1946.12.12. ~ 1948.5.30.
[ 펼치기 · 접기 ]

17인 · 2인
13인 · 1인
4인 · 5인
0인 · 6인
민중동맹
0인 · 5인
0인 · 5인
0인 · 3인
사회민주당
0인 · 2인
0인 · 2인
인민위원회
2인 · 0인
기타정당
0인 · 6인
종교계
0인 · 5인
무소속
9인 · 3인
재적
90인(45인 · 45인)
좌측은 민선 (45인) 의석 수, 우측은 관선 (45인) 의석 수
임시의정원 ·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제헌 · 2 · 3 · 4 · 5민 · 5참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1948.5.31. ~ 1950.5.30.
[ 임기 종료 당시 교섭단체별 의석 ]

재적
198석
임시의정원 ·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제헌 · 2 · 3 · 4 · 5민 · 5참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1950.5.31. ~ 1954.5.30.
[ 임기 개시 당시 정당별 의석 ]
[ 임기 종료 당시 교섭단체별 의석 ]

여당
파일:자유당 심볼(백색).png
[[파일:자유당 선거벽보 글씨.png
99석
야당
20석
비교섭단체
60석
재적
179석
임시의정원 ·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제헌 · 2 · 3 · 4 · 5민 · 5참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1954.5.31. ~ 1958.5.30.
[ 임기 개시 ]

여당
파일:자유당 심볼(백색).png
[[파일:자유당 선거벽보 글씨.png
114석
야당
15석
3석
3석
무소속
68석
재적
203석

[ 임기 종료 ]

여당
파일:자유당 심볼(백색).png
[[파일:자유당 선거벽보 글씨.png
131석
야당
46석
파일:통일당(1957년) 글씨(흰색).png
1석
무소속
24석
재적
202석
임시의정원 ·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제헌 · 2 · 3 · 4 · 5민 · 5참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07:17:38에 나무위키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대한민국 제1대 국회의원 목록[2] 일민구락부[3] 관보 및 초대 대통령 취임 기념 우표, 취임식 일자 기준.[4] 비한민당계 우파성향으로 이승만을 지지했던 무소속 국회의원들이 독촉계열 등과 뭉쳐서 만든 원내교섭단체로서 6.1구락부와 함께 제헌국회 거의 최초의 원내교섭단체라고 보면 된다.[5] 3.1 구락부의 실질적 후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