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밀로 주카노비치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몬테네그로 제2·4대 대통령
밀로 주카노비치
Milo Đukanović | Мило Ђукановић
파일:Milo_Đukanović_at_the_Enthronement_of_Naruhito_(1).jpg
출생1962년 2월 15일 (62세)
유고슬라비아 FPR 몬테네그로 PR 닉시치
재임기간제2대 대통령
1998년 1월 15일 ~ 2002년 11월 25일
제4대 대통령
2018년 5월 20일 ~ 2023년 5월 20일
[ 펼치기 · 접기 ]

부모아버지 라도반 주카노비치
어머니 스타나 주카노비치[1]
배우자리디야 주카노비치
자녀1남
학력몬테네그로 대학교
정당
몬테네그로 사회민주당

[1] 결혼 전 성은 '막시모비치'

1. 개요
2. 생애
3. 비판
3.1. 부패 의혹
3.2. 민영화 정책 실패
3.3. 민주주의의 퇴행
4. 여담



1. 개요[편집]


몬테네그로 대통령. 몬테네그로 사회민주당을 이끌고 있으며, 몬테네그로의 총리를 역임했다.


2. 생애[편집]


1962년 닉시치에서 태어났다. 벨코 블라호비치 대학교(포드고리차 소재) 경제학부 출신으로 1986년 관광학 학위를 받았다.

1979년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에 입당하였고 1986년까지 사회주의자 청년동맹 몬테네그로 지부의 회장을 맡았다. 1990년 총선에서 몬테네그로 공산주의자 동맹이 승리하고 이듬해에 모미르 불라토비치 대통령에 의해 30세도 안 된 나이에 총리로 임명되었다. 몬테네그로 공화국 총리를 2번(1991~1998, 2003~2006) 역임하였으며 1998~2002년에는 몬테네그로 공화국 대통령으로 있었다. 독립 이후 총리를 2번(2008~2010, 2012~2016), 대통령을 1번(2018~2023)을 역임하였다.

1980년대말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는 밀로셰비치 정권과 협력했으나[1] 몬테네그로의 경제가 급속히 어려워지며 몬테네그로에서 밀로셰비치에 대한 여론이 약화되자 편 갈아타기를 시전했다. 1997년 몬테네그로 대선에서 몬테네그로 독립을 공약으로 내걸면서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무려 32년간 몬테네그로의 총리와 대통령을 번갈아가며 회전문식으로 통치해 왔으나, 2023년 몬테네그로 대통령 선거에서 야코브 밀라토비치에게 밀려 재선에 실패하였다.#


3. 비판[편집]



3.1. 부패 의혹[편집]


2010년 5월 영국 신문 인디펜던트에 따르면 두카노비치는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지도자 20인 중 하나로 선정되었으며, 이 신문에서는 그의 약 1,000만 파운드의 부의 출처를 "신비적"이라고 설명했다. #
판도라 페이퍼스에도 이름이 등장한다.

3.2. 민영화 정책 실패[편집]


1998년 당시 가치가 45억 달러로 추정되었던 몬테네그로의 산업은 결국 총 7억 3500만 유로에 매각되었고 1998년에서 2014년 사이에 민영화된 198개 기업 중 176개가 파산했다. 국가 노동력의 4분의 1이 일자리를 잃었고 빈곤이 극에 달하게 됐다. 또한 민영화 과정에서 그의 친인척들과 그와 유착된 몬테네그로 마피아들에게 많은 국가 자산이 넘어갔다는 비판이 있다. #

3.3. 민주주의의 퇴행[편집]



4. 여담[편집]


  • 같은 국적의 빅토르 주카노비치라는 축구선수가 있다.
  • 할아버지인 블라조 주카노비치(Blažo Đukanovic)는 체트니크 중장이자 이탈리아 점령 당시 고위 협력자로 빨치산에게 처형당했다.
  • 밀로셰비치와 협력했던 경력과 대조적으로 현재 친유럽 정치인으로 전향하고 몬테네그로 내의 많은 알바니아계 몬테네그로인들의 지지를 받고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08:16:56에 나무위키 밀로 주카노비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 당시 몬테네그로가 세르비아에게 우호적이라서 시류를 탄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