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바르톨로메오스 1세

덤프버전 :

 
  [초대-제60대]  

초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안드레아스타키스오네시모스폴리카르포스 1세플루타르코스
제6대제7대제8대제9대제10대
세데키온디오예니스엘렙세리오스펠릭스폴리카르포스 2세
제11대제12대제13대제14대제15대
아테노도로스에브지스라브렌시오스알리피오스페르티낙스
제16대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올림피아노스마르코 1세필라델포스키리아코스 1세카스티노스
제21대제22대제23대제24대제25대
에브예니오스 1세티토스도메티오스루피노스 1세프로보스
제26대제27대제28대제29대제30대
메트로파네스알렉산드로스알렉산드로스파울로스 1세니코메디아의 에우세비오스
제31대제32대제33대제34대제35대
안티오키아의 에브독시오스디모필로스에바그리오스막시모스 1세나지안조스의 그레고리오스
제36대제37대제38대제39대제40대
넥타리오스요안니스 흐리소스토모스타르수스의 아르카시오스아티코스시신니오스 1세
제41대제42대제43대제44대제45대
네스토리오스막시미니아노스프로클로스플라비아노스아나톨리오스
제46대제47대제48대제49대제50대
엔나디오스 1세아카키오스프라비타스에브페미오스마케도니오스 2세
제51대제52대제53대제54대제55대
티모테오스 1세요안니스 2세에피파니오스안티모스 1세메나스
제56대제57대제58대제59대제60대
에브티히오스요안니스 3세요안니스 4세키리아코스 2세토마스 1세

  [제61~120대]  

제61대제62대제63대제64대제65대
세르기오스 1세피로스 1세파울로스 2세베드로토마스 2세
제66대제67대제68대제69대제70대
요안니스 5세콘스탄티노스 1세세오도로스 1세요르요스 1세파울로스 3세]
제71대제72대제73대제74대제75대
할리니코스 1세키로스요안니스 6세예르마노스 1세아타나시오스
제76대제77대제78대제79대제80대
콘스탄티노스 2세니키타스 1세파블로스 4세타라시오스니키포로스 1세
제81대제82대제83대제84대제85대
세오도토스 1세안소니오스 1세요안니스 7세메소디오스 1세이그나티오스
제86대제87대제88대제89대제90대
포티오스스테파노스 1세안소니오스 2세니콜라오스 1세에브티미오스 1세
제91대제92대제93대제94대제95대
스테파노스 2세트리폰세오필락토스폴리에븍토스바실리오스 1세
제96대제97대제98대제99대100대
안소니오스 3세니콜라오스 2세시신니오스 2세세르기오스 2세에브스타티오스
제101대제102대제103대제104대105대
알렉시오스 1세미카일 1세콘스탄티노스 3세요안니스 8세코스마스 1세
제106대제107대제108대제109대110대
에브스트라티오스 가리다스니콜라오스 3세요안니스 9세레오 스티피스미카일 2세
제111대제112대제113대제114대115대
코스마스 2세니콜라오스 4세세오도토스 2세네오피토스 1세콘스탄티노스 4세
제116대제117대제118대제119대120대
루카미카일 3세하리톤세오도시오스 1세바실리오스 2세

  [제121~180대]  

제121대제122대제123대제124대125대
니키타스 2세레온디오스도시세오스요르요스 2세요안니스 10세
제126대제127대제128대제129대130대
미카일 4세테오도로스 2세막시모스 2세마누일 1세예르마노스 2세
제131대제132대제133대제134대135대
메소디오스 2세마누일 2세아르세니오스 아우토리아노스니키포로스 2세예르마노스 3세
제136대제137대제138대제139대140대
요셉 1세요안니스 11세그레고리오스 2세아나스타시오스 1세요안니스 12세
제141대제142대제143대제144대145대
네폰 1세요안니스 13세예라시모스 1세이사야 1세요안니스 14세
제146대제147대제148대제149대150대
이시도로스 1세칼리스토스 1세필로세오스 1세마카리오스닐로스
제151대제152대제153대제154대155대
안토니오스 4세칼리스토스마타이오스 1세에브시미오스 2세요셉 2세
제156대제157대제158대제159대160대
메트로파네스 2세그레고리오스 3세아타나시오스 2세옌나디오스 2세이시도로스 2세
제161대제162대제163대제164대165대
요아사프 1세소프로니오스 1세]마르코스 2세시메온 1세디오니시오스 1세
제166대제167대제168대제169대170대
라파일 1세막시모스 3세네폰 2세막시모스 4세요아힘 1세
제171대제172대제173대제174대175대
파코미오스 1세세오렙토스 1세예레미아스 1세요안니코스 1세디오니시오스 2세
제176대제177대제178대제179대180대
요아사프 2세메트로파네스 3세예레미아스 2세파코미오스 2세세오렙토스 2세

  [제181~240대]  

제181대제182대제183대제184대185대
마타이오스 2세가브릴 1세세오파니스 1세멜레티오스 1세네오피토스 2세
제186대제187대제188대제189대190대
라파일 2세키릴로스 1세티모테오스 2세그레고리오스 4세안티모스 2세
제191대제192대제193대제194대195대
키릴로스 2세아타나시오스 3세네오피토스 3세파르세니오스 1세파르세니오스 2세
제196대제197대제198대제199대200대
요안니코스 2세키릴로스 3세팔시오스 1세파르세니오스 3세가브릴 2세
제201대제202대제203대제204대205대
파르세니오스 4세세오파니스 2세디오니시오스 3세클리미스메소디오스 3세
제206대제207대제208대제209대210대
디오니시오스 4세예라시모스 2세아타나시오스 4세야코보스칼리니코스 2세
제211대제212대제213대제214대215대
네오피토스 4세가브릴 3세네오피토스 5세키프리아노스아타나시오스 5세
제216대제217대제218대제219대220대
키릴로스 4세코스마스 3세예레미아스 3세파이시오스 2세세라핌 1세
제221대제222대제223대제224대225대
네오피토스 6세키릴로스 5세칼리니코스 4세세라핌 2세요안니코스 3세
제226대제227대제228대제229대230대
사무일 1세멜레티오스 2세세오도시오스 2세소프로니오스 2세가브릴 4세
제231대제232대제233대제234대235대
프로코피오스네오피토스 7세예라시모스 3세그리고리오스 5세칼리니코스 5세
제236대제237대제238대제239대240대
예레미아스 4세키릴로스 6세에브예니오스 2세안시모스 3세흐리산토스

  [제241대 이후]  

제241대제242대제243대제244대245대
아가탕겔로스콘스탄티오스 1세콘스탄티오스 2세그리고리오스 6세안티모스 4세
제246대제247대제248대제249대250대
안티모스 5세예르마노스 4세멜레티오스 3세안티모스 6세키릴로스 7세
제251대제252대제253대제254대255대
요아힘 2세소프로니오스 3세요아힘 3세요아힘 4세디오니시오스 5세
제256대제257대제258대제259대260대
네오피토스 8세안티모스 7세콘스탄티노스 5세예르마노스 5세멜레티오스 4세
제261대제262대제263대제264대265대
그리고리오스 7세콘스탄티노스 6세바실리오스 3세포티오스 2세벤야민 1세
제266대제267대제268대제269대
막시모스 5세아시나고라스 1세디미트리오스 1세바르톨로메오스 1세




바르톨로메오스 1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United States Congressional Gold Medal
미합중국 의회 명예 황금 훈장
[ 펼치기 · 접기 ]

1776년1777년1779년1781년
조지 워싱턴소장 호레이쇼 게이츠소장 앤서니 웨인사령관 헨리 리 3세준장 대니얼 모건
1781년1787년1800년1805년1813년
소장 너새니얼 그린존 폴 존스대령 토머스 트럭스턴준장 에드워드 프레블대령 아이작 헐
대령 스티븐 디케이터
대령 제이컵 존스
1813년1814년
대령 윌리엄 베인브리지대령 올리버 해저드 페리
대령 제시 엘리엇
대위 윌리엄 워드 버로스 2세
대위 에드워드 매콜
대령 제임스 로렌스대령 토머스 맥도너
대령 로버트 헨리
대위 스티븐 카신
1814년1814년, 1848년1814년
대령 루이스 워링턴대령 존스턴 블레이클리소장 제이컵 브라운소장 윈필드 스콧소장 피터 부엘 포터
준장 엘리저 윌락 리플리
대령 제임스 밀러
1814년1815년1816년
소장 에드먼드 P. 게인스소장 알렉산더 마콤소장 앤드루 잭슨대령 찰스 스튜어트대령 제임스 비들
1818년1835년1846년, 1847년, 1848년1847년1854년
소장 윌리엄 해리슨
주지사 아이작 셸비
대령 조지 크로간소장 재커리 테일러소머스 호의 장교 및 승무원 구출중령 덩컨 잉그함
1858년1863년1864년1866년1867년
프레더릭 로즈소장 율리시스 S. 그랜트코닐리어스 밴더빌트로버트 크레이튼
에드윈 J. 로
조지 C. 스투퍼
사이러스 웨스트 필드
1867년1871년1873년1874년, 1904년1883년
조지 피보디조지 F. 로빈슨대령 재러드 크랜달 그 외존 혼 주니어존 폭스 슬레이터
1888년1890년1900년1902년1909년
조지프 프랜시스수석 엔지니어 조지 W. 멜빌 그 외중위 프랭크 H. 뉴컴중위 데이비드 H. 자비스
소위 엘스워스 P. 버트홀프
새뮤얼 J. 콜 박사
라이트 형제
1912년1914년1915년1928년
선장 아서 로스트론폴 H. 크라이봄 그 외로물로 세바스티안 나온
에두아르도 수아레스 무히카
찰스 린드버그로알 아문센
움베르토 노빌
1928년1929년1930년1936년
토머스 에디슨최초로 성공한 대서양 횡단 비행사들소령 월터 리드준장 리처드 에벌린 버드링컨 엘즈워스
1936년1938년1939년1940년
조지 코한리처드 올드 리치 부인
안나 불리니
하워드 휴즈목사 프랜시스 퀸윌리엄 시넛
1942년1945년1946년
롤런드 바우처1939-1941년 미국 남극 탐험대 멤버들미합중국 육군 원수 조지 C. 마셜
미합중국 해군 원수 어니스트 킹
미합중국 육군 원수 존 조지프 퍼싱준장 빌리 미첼
1949년1954년1955년1956년1958년
앨번 W. 바클리어빙 벌린조너스 소크 박사남북 전쟁의 참전 용사들준장 하이먼 리코버
1959년1960년1961년1962년
로버트 고다드로버트 프로스트토머스 앤서니 둘리 3세밥 호프샘 레이번
1962년1968년1969년1973년1977년
미합중국 육군 원수 더글러스 맥아더월트 디즈니윈스턴 처칠로베르토 클레멘테매리언 앤더슨
1978년1979년
중장 아이라 C. 이커로버트 F. 케네디존 웨인벤 아브러조
맥시 앤더슨
래리 뉴먼
휴버트 험프리
1979년1980년1982년
미국 적십자케네스 테일러1980 미국 하계 올림픽 팀베아트릭스 여왕대장 하이먼 리코버
1982년1983년
프레드 워링조 루이스루이스 라머레오 라이언대니 토머스
1984년1985년
해리 S. 트루먼레이디 버드 존슨엘리 비젤로이 윌킨스조지 거슈윈
아이라 거슈윈
1986년1987년1988년
네이선 샤란스키
에비탈 샤란스키
해리 차핀에런 코플런드메리 래스커제시 오언스
1988년1990년1991년
앤드루 와이어스로런스 록펠러대장 매튜 B. 리지웨이대장 노먼 슈워츠코프대장 콜린 파월
1994년1996년1997년
랍비 메나헴 멘델 쉬니어슨루스 그레이엄
빌리 그레이엄
프랭크 시나트라마더 테레사바르톨로메오스 1세
1998년 1999년
넬슨 만델라리틀록 9인제럴드 포드
베티 포드
로자 파크스시어도어 헤스버그
2000년
존 오코너찰스 M. 슐츠교황 요한 바오로 2세로널드 레이건
낸시 레이건
나바호족 코드 토커
2002년2003년
대장 휴 셸턴토니 블레어재키 로빈슨도러시 하이트 박사조지프 디레인
해리 & 일라이자 브릭스
레비 피어슨
2004년2006년
마틴 루터 킹
코레타 스콧 킹
터스키기 에어맨달라이 라마 14세바이런 넬슨노먼 볼로그 박사
2007년2008년
마이클 데바키 박사아웅 산 수 치콘스탄티노 브루미디에드워드 윌리엄 브룩 3세아메리카 원주민 코드 토커
2009년2010년
여성 공군 군무원 조종사들닐 암스트롱
버즈 올드린
존 글렌
아널드 파머무함마드 유누스제100 보병대대
제442 보병연대 전투단
군사정보국
2011년2012년2013년
몬트포드 포인트 해병전우회2001년 9월 11일 미국에 대한 테러 공격으로 사망한 남녀들라울 발렌베리애디 메이 콜린스
데니스 맥네어
캐럴 로버트슨
신시아 웨슬리
제1 특수임무단
2014년
둘리틀 특공대 멤버들미국의 공군 에이스들제2차 세계 대전 민간 항공 초계 부대 멤버들시몬 페레스모뉴먼츠 맨
2014년2015년2016년
제65 보병연대잭 니클라우스셀마 몽고메리 행진제2차 세계 대전 필리핀인 참전 용사들OSS
2017년2018년
밥 돌래리 도비제2차 세계 대전 중국계 미국인 참전 용사들USS 인디애나폴리스의 승무원들안와르 사다트
2019년
스티브 글리슨캐서린 존슨크리스틴 다든도로시 본메리 잭슨
2019년2020년2021년
무명의 수여자들그렉 르몬드미국 국회의사당 경찰 및 컬럼비아구 경찰청 소속 경찰관들제369 보병연대하미드 카르자이 국제공항에서 전사한 13명의 장병
2022년2023년
미 육군 제23 부대 본부 특수부대
제3133 신호 복무 중대
제6888 중앙우편대대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상선 선원들에밋 틸
메이미 틸모블리




제269대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바르톨로메오스 1세
Βαρθολομαίος Αʹ | Bartholomew I
파일:Bartholomew_I.png
본명디미트리오스 아르혼도니스
(Δημήτριος Αρχοντώνης)[1]
출생1940년 2월 29일 (84세)
튀르키예 차나칼레도 괵체아다군 제이틴리쾨이
즉위식1991년 11월 2일
재위기간제269대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1991년 11월 2일 ~ 현재
국적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서명
파일:Ecumenical_Patriarch_Bartholomew_I_of_Constantinople_Autograph.jpg
외부링크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펼치기 · 접기 ]

부모아버지 흐리스토스 아르혼도니스
어머니 메로피 아르혼도니[1]
형제자매4남매 중 막내
학력할키 신학교[2]
교황청립 그레고리오 대학교
종교정교회
문장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onstantinople_coat_of_arms.png

[1] 혼전 성씨는 '스카를라투(Σκαρλάτου)'.[2] 1844년 할키섬에 건립된 신학교. 콘스탄티노폴리스 정교회의 주된 신학교들 중 하나이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onstantinople_coat_of_arms.png
바르톨로메오스 1세의 문장[2]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정교회에서 '동등함 가운데 첫 번째'인 현직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3] 공식 직함은 새 로마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대주교이자 세계 총대주교인 바르톨로메오스 1세 성하(Η Αυτού Θειοτάτη Παναγιότης ο Αρχιεπίσκοπος Κωνσταντινουπόλεως Νέας Ρώμης και Οικουμενικός Πατριάρχης Βαρθολομαίος Α')이며, 튀르키예 내에서는 튀르키예 정부의 암묵적인 정교회 억압 정책에 따라 '이스탄불의 그리스 정교회 총대주교'로만 지칭된다.


2. 생애[편집]


본명은 그리스어로 디미트리오스 아르혼도니스(Δημήτριος Αρχοντώνης, 튀르키예어로 디미트리스 아르혼도니스·Dimitris Arhondonis)이다. 1940년 2월 29일 튀르키예 차나칼레도에 속한 괵체아다(Gökçeada, 그리스어로 임브로스·Ίμβρος)섬의 제이틴리쾨이(Zeytinliköy, 그리스어로 아이테오도리·Άγιοι Θεόδωροι)에서 태어났다.[4] 그의 아버지는 이발사였으며 커피 가게를 운영하였다.

소년기에 그는 괵체아다와 이스탄불 등지에서 공부하고, 이스탄불 근처 섬에 위치한 정교회 할키 신학교에 들어갔다. 1961년 우수한 성적으로 신학교를 졸업한 후 임브로스 대성당에서 사제서품을 받았고, 나중에는 임브로스 대주교, 엘리오폴리스, 칼케돈, 멜리톤 등지에서 대주교직을 역임했다. 1961년부터 1963년까지 튀르키예 육군 예비군 장교로서 국방의 의무를 다했다. 1963년부터 1968년까지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의 장학금으로 로마에 있는 교황청립 그레고리오 대학교 교황청 소속 동방 연구소에서 박사과정을 마쳤다. 그의 박사논문 제목은 〈정교회 안에서 성경의 성문화 과정과 교회법 제정에 관하여〉였다.[5]

1968년 이스탄불로 돌아왔을 때 할키 신학교 부학장으로 임명되었으며, 1969년 10월 19일 학장이 되었다. 6개월 뒤 당시 세계 총대주교였던 아티나고라스(Αθηναγόρας)가 바르톨로메오스를 성 안드레아 대성당의 사제로 임명했다. 나중에 스위스 보세(Bossey) 에큐메니칼 연구소에 가서 교회법에 대하여 더 많은 공부를 하였다. 그는 그리스어, 영어, 튀르키예어, 이탈리아어, 라틴어, 프랑스어, 독일어 등 7개 언어를 유창하게 구사한다. 수많은 연구논문들을 출판하였으며, '동방교회법학회'의 창립 멤버인 그는 이 단체의 부회장직을 역임한 바 있다.

1972년 디미트리오스(디미트리오스 파파도풀로스)가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로 선출되자 총대주교청 사무청을 개설하고 바르톨로메오스를 책임자로 임명하였다. 197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부주교가 된 바르톨로메오스는 이후 18년 동안 디미트리오스 세계 총대주교의 가장 친밀한 보좌관으로 봉사하였다. 1975년 이후로 그는 WCC 신앙과 직제 위원회 회원직을 수행하고 있으며, 8년 동안 부회장직을 수행하기도 한 바르톨로메오스는 1991년 호주 캔버라에서 열린 제7차 세계 WCC 대회에 정교회 대표단을 인솔하여 참석하였다.


1991년 10월 2일 디미트리오스 세계 총대주교가 사망하자, 10월 22일 만장일치로 바르톨로메오스가 제271대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에 선출되어 11월 2일 총대주교좌에 착좌하였다. 그는 총대주교직 착좌 연설에서 그의 비전은 정교회의 영적인 부흥, 정교회의 일치, 다른 그리스도교 종파들과의 화해, 타종교인들 간의 관용과 공존, 환경 보호, 정의 평화 운동에 앞장서는 것이라고 밝혔다. 특별히 그의 국가적, 종교적, 교육적 배경으로 인하여 그리스도교와 이슬람교의 대화와 화해, 세계 그리스도교회 일치와 화해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상당한 리더십을 보여주었다.

에르도안 정부 이후 점차 종교국가적 면모를 보이고 있기는 하나 역사적으로 튀르키예는 정부가 종교를 장악하려는 성향의 강경한 세속국가였으며, 국가종무국(T.C. Diyanet İşleri Başkanlığı)에서 (주로 이슬람을 담당하긴 하지만) 튀르키예 내 모든 종교행사를 감독, 관리하도록 한다. 하지만 튀르키예 내 정교회는 정부의 터치도 받지 않거니와 자체적인 성직 서임권도 보장받는다.[6] 국가의 입맛에 따라 맘대로 총대주교를 갈아치우기를 관행처럼 하던 오스만 제국 시절과 비교해보면 물론 지금이 낫다.

물론 실제 튀르키예인들과의 관계에서 1955년 '이스탄불 포그롬'[7]으로 입은 막대한 피해들과, 도시 개발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알게 모르게 성당 철거 등 불이익, 포그롬 이후의 불법적으로 강탈된 재산 행사 제한 등의 사례를 볼 때 결코 만만치 않은 상황이긴 하다. 사실 종교 문제 이전에 '그리스인'이라는, 튀르키예인들이 상당히 의식하는 소수민족이라는 점에서 알게 모르게 활동에 눈치를 보고 실제로도 교구 운영은 그리스인 감소세와 이슬람화 정책 등 이유로 어려움을 겪는 것은 맞다.[8]

그렇지만, 생각보다 에르도안 총리가 꽉 막힌 사람은 아닌지, 쿠데타 이전 에르도안 집권기에는 튀르키예인들이 폐허가 되었던 곳곳의 정교회의 성당들을 복원해 주고 중요한 축일에 예배도 드릴 수 있게 해주는 등 한때나마 화해 무드가 불기도 했다. 그리고 총대주교 스스로도 튀르키예어를 구사하고 자신을 비롯한 정교회 신자들이 튀르키예 시민으로서 국방, 세금 등 의무를 다하고, 본인은 튀르키예 시민이라는 점을 지속적으로 어필하곤 했다.[9]

1971년 튀르키예 정부는 세속주의 원칙에 따른 교육법을 어겼다는 이유로[10] 127년간 존속하며 튀르키예 내에서 정교회 성직자들을 양성해 온 할키 정교회 신학교를 폐쇄해버렸다. 이 때문에 총대주교는 할키 신학교 부활을 위하여 전세계 그리스도인들의 도움과 기도를 호소하였다. 하지만 앞서 서술한 대로 정교회만이 아니라 이슬람이고 모든 종교에 한해 사립신학교 설립을 금지했던 조치였기에 국외 그리스도교에서도 뭐라고 할 수도 없었다. 모든 종교탄압이라고 되려 이슬람 아랍 측에서 반발할 지경이었으니 그래서 일부 그리스도교파의 비난 외에는 뭐라고 할 수 없이 바라볼 뿐이었다.

다만 헤이벨리섬에 위치한 할키 신학교는 폐교 이후에도 재개교를 위해 지속적으로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구에 의해 관리되고 있었고, 세속주의 성향이 약한 에르도안 집권기인 2013년 이래로 에라스뮈스 프로그램을 통한 교환학생 및 튀르키예 내 신학생들이 머물면서 사실상 재개교되었다. 2019년에는 당시 그리스 총리 치프라스가 방문하기도 했으며, 2021년 현재는 누구나 방문해서 관람이 허용된 구역들을 돌아볼 수 있다.[11]


1995년 정교회 한국 전교 95주년을 맞아 처음으로 한국을 방문했으며, 2000년 한국 전교 100주년을 받아 두 번째 방한하였고, 2005년에는 한국 정교회가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 관할이 된 지 50돌 맞이 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세 번째로 한국을 방문하였다.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특별강의를 발표하고 명예박사학위를 수여받기도 했다.

2018년 서울 성 니콜라스 대성당 축성 5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네 번째로 방한하여 천주교 염수정 추기경, 도종환 문체부 장관 등과 면담하고 문재인 대통령을 예방하여 한반도 평화를 지지하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바르톨로메오스는 한국에 애착이 깊다고 한다. 이처럼 자주 방한함은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 소속인 다른 서양 국가들에 비하여 한국을 매우 특별하게 대우하는 것이다.

2018년 연말에 우크라이나 정교회 독립 문제로 러시아 정교회와 대립각을 세웠고, 결국 러시아 정교회가 콘스탄티노폴리스와 성사교류 단절을 선언하기에 이르렀다. 바보가 아닌 이상 러시아 정교회가 분노할 줄 예상했을 테니, 이 또한 바르톨로메오스 1세의 강한 의지였을 것이다. 이 사건으로 그는 정교회 역사의 한 장에 이름을 뚜렷이 남겼다. 자세한 내용은 2018년 정교회 분열 항목 참고.

[1] Dimítrios Archontónis. 그리스 문자 상으로는 디미트리오스 아르혼토니스이나 현대 그리스어에서는 ντ는 자음동화로 인해 [nd\]로 조음된다.[2] 십자가 사이에 적힌 그리스 문자들은 '바르톨로메오스'이다.[3] 계산하기에 따라 제269대, 제270대, 또는 제271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로 본다.[4] 임브로스와 괵체아다는 같은 지명을 그리스어로 부르느냐 튀르키예어로 부르느냐 하는 차이다. 다만 괵체아다는 튀르키예 정부의 동화 정책에 따라 1970년에 튀르키예어식으로 개칭된 것이고, 그 이전의 튀르키예어 명칭은 그리스어에 가까운 임로즈(İmroz)였다. 이 섬은 이스탄불 및 테네도스(Τένεδος, 튀르키예어로 보즈자아다·Bozcaada)섬과 함께 1923년의 그리스-튀르키예 인구 교환에서 제외된 지역이다. 그는 여담으로 튀르키예 공화국에서 태어난 첫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이다.[5] Β. Ἀρχοντώνη (Ἀρχιμ. νῦν Οἰκ. Πατριάρχου), Περὶ τὴν Κωδικοποίησιν τῶν Ἱ. Κανόνων καὶ τῶν Κανονικῶν Διατάξεων ἐν τῇ Ὀρθοδόξῳ Ἐκκλησίᾳ, Πατριαρχικὸν Ἵδρυμα Πατερικῶν Μελετῶν, Θεσσαλονίκη 1970.[6] 종교부가 관리하는 튀르키예 내 이슬람교단들은 모스크 설립부터 이맘, 뮈에진 등 성직자의 임명, 부임도 전부 국가가 관리한다.[7] 튀르키예와 그리스는 놀랍게도 1950년대 초반만 해도 나쁘지 않았다. 튀르키예에선 그리스보다 더 악랄한 나치와 파시즘을 견제하자는 움직임이 거셌고 그리스와 이제 동맹이라는 인식을 정부에서 홍보할 정도였다. 또한 소련을 견제하고자 공산국가이던 유고슬라비아와도 우호를 다지며 1953년에는 튀르키예, 그리스, 유고슬라비아 3국 발칸 동맹까지 맺었다. 튀르키예군들이 그리스로 파병 훈련 가서 반갑게 인사하고 같이 스포츠 대회로 치루며 사이가 조금은 좋아지는가 했으나, 1955년 키프로스에서 독립움직임과 같이 튀르키예계에 대한 테러가 벌어지자 동맹도 깨지고 나아가 튀르키예 내 그리스계가 테러 당하는 결과로 이어진 사건이다. 이 사건으로 그리스인이 운영하는 가게 1천여 곳이 넘게 박살나고 그리스계가 운영하던 호텔 1백여 곳과 및 그리스 정교회 성당 70여 곳이 파괴되고 그리스계 약 서른 명이 살해되었다.[8] 실제로 남은 정교회 신자들이 2등시민 취급받아 열악한 환경에 놓이기도 했고, 끝내 이주를 선택하기도 했다. 대표적인 인물이 마틴 루터 킹 목사의 흑인 민권 운동을 지원했던 남북미 대주교 이아코보스 쿠쿠지스이다.[9] 2016년 튀르키예 군사쿠데타 시도 이후 에르도안이 1년에 한 번씩 거행되던 트라브존 수멜라 수도원 성찬예배를 불허하면서 에르도안 정권이 對정교회 정잭의 방향을 바꾸려 하는가 하는 우려가 감돌기도 했다. (수멜라 수도원은 2015년 9월부터 복원 공사를 시작하여 관광객 접근이 금지되었다. 복원기간은 1년으로 예정되었지만, 2016년 12월 13일 기준으로 완료되지 않았다.) 더군다나 세계 총대주교가 미국의 조야 및 정교회 공동체와 긴밀하게 교류하는 것을 견제하고자 하는 의도도 생길 수 있다. 실제로 2016년에 열린 범정교회 공의회의 원래 개최지는 이스탄불이었으나 크레타 섬으로 개최지를 바꾸었다.[10] 종교 문제로 보는 것보다는 튀르키예그리스 간 민족 문제로 바라봄이 오히려 적절할 수 있다. 그리스라고 모든 이슬람 국가들과 사이가 나쁘지는 않고, 반대로 튀르키예 또한 모든 그리스도교 국가들과 사이가 나쁘지도 않기 때문이다. 특히 1960-70년대는 종교주의자들과 대립하느라 유난히 세속주의 원칙을 빡빡하게 요구했던 시절이라 정교회 성직자뿐만 아니라 이슬람 성직자조차도 종교행사 때가 아니면 성직복을 입고 공공장소나 길거리를 활보함 자체가 금지되었다. 할키 신학교의 폐지는 튀르키예의 세속주의와 관련이 깊다. 1971년 튀르키예 헌법재판소가 사립 신학교 설립을 금지하고 이스탄불 대학으로 편입해야 한다고 판결하자 할키 신학교 운영재단 측이 거부하고 학교를 폐쇄했기 때문이었다. 즉, 세속주의를 강하게 관철하고자 모든 대학들, 특히 종교학교들을 국립화하는 와중에 정교회 신학교만 예외로 할 순 없던 것이었다. 참고로 2016년 현재 튀르키예에서는 이슬람 종교학교조차도 아타튀르크와 세속주의에 대해 의무적으로 학습한다.[11] 들어가면 우선 방문자 노트에 서명하고, 신학교 주변 뜰과 1층에 위치한 옛 교실들을 돌아볼 수 있다. 학교 측에 미리 연락하여 방문 허락을 받았다면 신학생들이 교육받는 구역들도 봉쇄구역을 제외하고는 견학할 수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11:13:46에 나무위키 바르톨로메오스 1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