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박용성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창업주
박승직
(1896~1946)
초대
박두병
(1946 ~ 1973)
제2대
정수창
(1977~1981)
제3대
박용곤
(1981~1991)
제4대
정수창
(1991~1993)
제5대
박용곤
(1993~1996)
제6대
박용오
(1996~2005)
제7대
박용성
(2005~2009)
제8대
박용현
(2009~2012)
제9대
박용만
(2012~2016)
제10대
박정원
(2016~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한상공회의소 CI.png대한상공회의소
역대 회장
||
[ 펼치기 · 접기 ]

초대
이중재
제1-2대
이세현
제3대
송대순
제3대
전용순
제4대
전택보
제4-5대
송대순
제6-8대
박두병
제9대
태완선
제10대
김영선
제10-12대
정수창
제13-16대
김상하
제17-18대
박용성
제18-21대
손경식
제21-23대
박용만
제24대
최태원



||
[ 펼치기 · 접기 ]

초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장두현고원훈최린박창하이동식
제6대제7대제8대제9대제10대
김규면신흥우유억겸윤치호유억겸
제11대제12대제13대제14대제15대
여운형유억겸정환범신익희신흥우
제16대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조병옥이기붕이철승김동하이주일
제21대제22대제23대제24대제25대
이효민관식김용우김택수박종규
제26대제27대제28대제29대제30대
조상호정주영노태우김종하김종열
제31대제32대제33대제34대제35대
김운용이연택김정길
제36대제37대제38대제39대제40대
이연택박용성김정행강영중이기흥
제41대
이기흥




두산그룹 제7대 회장
박용성
朴容晟 | Park Yong-sung
파일:두산_박용성_회장.jpg
출생1940년 9월 11일 (83세)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본관밀양 박씨
학력경기고등학교 (졸업 / 55회)
서울대학교 (경제학 / 학사)
뉴욕 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 / 석사)
부모아버지 박두병 어머니 명계춘
형제자매박용곤, 박용오
누나 박용언
남동생 박용현, 박용만, 박용욱
배우자김영희
자녀장남 박진원
차남 박석원

1. 개요
2. 생애
3. 논란



1. 개요[편집]


대한민국기업인. 두산그룹 제7대 회장.


2. 생애[편집]


1940년 9월 11일 경성부(현 서울특별시)에서 연강 박두병의 3남으로 태어났다. 경기고등학교[1],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경제학과[2], 미국 뉴욕 대학교 MBA를 졸업하였다.

1973년 한국투자금융 상무이사가 되었다. 이후 동양맥주(현 OB맥주) 대표이사, 한국상업은행 이사회 회장, 두산그룹 부회장,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2001년 3월부터 2005년 11월까지, 2007년 3월부터 2015년 4월까지 두산중공업 회장을 역임하였다. 2005년 5월부터 8월까지는 두산그룹 회장을 겸임하였다.[3]

한편 2009년부터 2013년까지 대한체육회 회장을, 2008년부터 2015년까지 중앙대학교 재단 이사장을 역임하였다.

형은 박용곤, 박용오 2명이 있으며 동생으로는 박용현, 박용만, 박용욱 3명이 있다.

사진에 조예가 깊으며 프로급의 사진 실력을 보유하고 있다. 개인 전시회도 개최한 적이 있다.


3. 논란[편집]


  • 2015년 중앙대학교 구조조정에 반대하는 교수들에 대해 학생을 사칭한 현수막을 걸어 조롱하는가하면 "비데위", "조두"(새대가리), "목을 치겠다"라고 막말을 하는 등 각종 기행을 벌이다가 물의를 빚고 이사장직을 사퇴하였다. 이외에도 같은 해 '얼굴에 분 바르는 여학생들 잔뜩 입학하면 뭐하느냐'는그럼 박가분뭐라고 설명할래? 미소지니적 의사도 전달하였으나 사퇴 이유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 이후 직권남용 및 뇌물 공여 혐의로 수사를 받았고 2016년 징역 10개월, 집행유예 2년을 받았다.#
  • 중앙대학교에 입학하는 모든 학생들에게 회계학 강의를 수강하라고 해서 논란을 빚었다. 기업업에 들어오는 신입사원들이 기초적인 회계지식도 없이 입사한다는 지적[4]에 따라 회계과목 필수지정을 해 반발을 샀다.[5]


4. 가족관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범두산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 55회 졸업생. 동기생으로 이건개가 있다.[2] 물건을 고치는 손재주가 좋아 서울대 공대에 진학하려 했으나 부친의 권유로 서울대 상대에 진학했다.[3] 형제의 난이 조기퇴진의 원인이었다. 형인 박용오가 물러나먼서 비자금을 폭로하는 바람에 도덕적 논란이 있었기 때문이다.[4] 박용성 이사장에 따르면 "이공계라고 회계를 하나도 안 가르치다보니 들어온 돈을 왼쪽에 쓸지 오른쪽에 쓸지도 모른다. 기업인들에게 중앙대 애들 뽑아놓으니 숫자는 좀 알더라'는 평가를 받는게 내 목표다"라고 말했다.[5] 의과대학은 병원회계, 예술대학은 예술회계 등을 배워야 한다는 논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