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배수지(수리 시설)

덤프버전 :

시설
[ 펼치기 · 접기 ]

교통 시설
도로분류자동차전용도로 · 인도(보행자전용도로 · 보행자우선도로 · 자전거도로) · 고가도로 · 지하도로(지하도 · 지하차도)
등급고속도로(고속화도로 · 도시고속도로) · 국도 · 특별시도 · 광역시도 · 지방도 · 시도 · 군도 · 구도
시설물교차로(나들목 · 분기점) · 횡단보도 · 교통섬 · 교량 · 육교 · 터널 · 버스 정류장(버스 터미널 · 환승센터) · 주차장 · 갓길 · 요금소 · 휴게소
기타세차장 · 정비소 · 운전면허시험장
철도분류고속철도 · 광역철도 · 도시철도(중전철 · 경전철 · 노면전차 · 모노레일 · 자기부상열차)
형태지하철 · 고가철도
시설물 · 조차장 · 신호장 · 차량기지 · 철교 · 건널목
항만항구(부두 · 선착장) · 여객선 터미널 · 등대 · 방파제
공항여객터미널 · 활주로 · 유도로 · 계류장
기타운하, 갑문
공간 시설
광장 · 공원 · 녹지 · 유원지(놀이공원 · 동물원 · 워터파크 · 온천 · 해수욕장 · 삼림욕장) · 공공 공지
유통·공급 시설
유통·생산공장 · 물류 터미널
공급수도취수장 · 정수장 · 배수지
전기발전소 · 변전소 · 송전탑
방송·통신방송국 · 기지국
시장재래시장(도매시장) · 쇼핑몰(백화점 · 면세점) · 할인점
유류주유소
공공·문화 체육 시설
공공 기관중앙관청지방관청(도청 · 시청 · 군청 · 구청 · 행정복지센터) · 경찰서 · 지구대 · 파출소 · 치안센터 · 해양경찰서 · 해경파출소 · 해경출장소 · 소방서 · 119안전센터 · 119지역대 · 우체국 · 은행 · 세무서 · 세관 · 법원 · 등기소
교육유치원 · 학교 · 학원
문화공연장 · 영화관 · 박물관 · 미술관 · 과학관 · 전시관 · 도서관
체육운동장(경기장 · 체육관) · 골프장 · 농구장 · 당구장 · 볼링장 · 빙상장 · 사격장 · 수영장 · 스키장 · 승마장 · 야구장 · 축구장 · 테니스장
복지어린이집 · 보육원 · 복지관 · 요양원 · 요양병원 · 마을회관 · 쉼터
방재 시설
하천 · 유수지 · 저수지 · · · 빗물펌프장 · 저류지
보건 위생 시설
의료병원(의원 · 산후조리원) · 보건소
결혼결혼식장
장례장례식장 · 화장장 · 공동묘지 · 봉안당
기타도축장
환경 기초 시설
하수도하수 처리장 · 정화조
폐기물 처리매립지 · 소각장
기타폐차장



파일:external/busan.grandculture.net/GC042P01759_m.jpg
配水池

1. 개요
2. 상세
3. 국내 시설 일람



1. 개요[편집]


상수도 시설물의 하나로 수돗물을 여러 지역에 안정적으로 나누어 보내 주기 위해 언덕과 같은 높은 곳에 설치한 물 저장소이다. 위의 사진처럼 눈에 띄는 시설은 아니기 때문에 관련 업종에 종사하지 않는 일반인은 잘 모르는 편이며 오히려 많은 사람들은 유명 가수 배수지를 생각한다.


2. 상세[편집]


수돗물 배분시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일정량의 물을 저장해두며, 적절한 수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높은 곳에 설치한다. 물을 펌프로 직접 급수하면 수요가 급증하는 시간과 수요가 없는 시간에 따른 탄력적인 대응이 불가능하며 수압을 일정하게 조절하기 힘들다. 이에 상수도를 배급하기 전 단계에서 많은 양의 물을 일종의 버퍼삼아 보관하는 시설을 갖추게 된 것이다. 이 덕분에 수돗물을 외부 조건에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요즘 아파트의 물탱크와 유사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정수 시설하면 일반적으로 머릿속에 떠오르는 침전지와는 달리 이미 정수된 물을 다루는 상수도인만큼 위생상 지하 저수조 형태를 갖춘 것이 많다. 그래서 간판이나 표지판이 없으면 사실 배수지를 알아보기는 힘들다. 사진을 찾아봐도 출입구 사진밖에 없으며, 검색결과엔 유명가수 배수지 사진이 가득하다.[1] 보통 상수도 시설에서 평평한 땅에 뜬금없이 파이프들이 여러개 솟아 있으면 거기가 배수지일 확률이 높다. 때로는 공원이나 체육시설(축구장.족구장, 테니스장)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

저수지와 비교하면, 저수지는 하천물이나 빗물을 저장하는 것이고, 배수지는 정수된 깨끗한 물을 저장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중소규모 단지에서는 배수지 대신 취수탑을 설치하기도 한다.


3. 국내 시설 일람[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05:54:21에 나무위키 배수지(수리 시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검색 팁을 남기자면, "지역명+배수지"로 검색하면 원하는 사진을 찾기 쉬워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