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백현종(1965)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강웅철고준호곽미숙김규창김근용
김도훈김민호김상곤김선희김성남
김성수김시용김영기김영민김완규
김일중김재훈김정영김정호김철현
김현석김호겸남경순문병근박명수
박명숙박명원방성환백현종서광범
서성란서정현심홍순안계일안명규
양우식오세풍오준환오창준유영두
유영일유형진윤성근윤재영윤종영
윤충식윤태길이기인이병길이상원
이서영이석균이성호이애형이영주
이영희이오수이용호이은주이인애
이제영이채영이택수이학수이한국
이혜원이호동임광현임상오정경자
정하용조희선지미연최병선최승용
한원찬허원홍원길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제11대 경기도의회 지역구 의원
[ 펼치기 · 접기 ]

수원 1수원 2수원 3수원 4수원 5
남경순박옥분황대호장한별김호겸
수원 6수원 7수원 8수원 9수원 10
한원찬최종현이호동이오수이애형
수원 11수원 12성남 1성남 2성남 3
문병근이병숙문승호최만식전석훈
성남 4성남 5성남 6성남 7성남 8
국중범방성환이기인안계일이제영
의정부 1의정부 2의정부 3의정부 4안양 1
김정영이영봉최병선오석규김성수
안양 2안양 3안양 4안양 5안양 6
김철현문형근김재훈유영일이채명
부천 1부천 2부천 3부천 4부천 5
염종현이선구이재영황진희김광민
부천 6부천 7부천 8광명 1광명 2
김동희유경현박상현김정호최민
광명 3광명 4평택 1평택 2평택 3
유종상김용성김상곤김재균서현옥
평택 4평택 5평택 6양주 1양주 2
윤성근이학수김근용이영주김민호
동두천 1동두천 2안산 1안산 2안산 3
이인규임상오김동규김태희장윤정
안산 4안산 5안산 6안산 7안산 8
정승현강태형이기환김철진서정현
고양 1고양 2고양 3고양 4고양 5
변재석이인애정동혁이경혜명재성
고양 6고양 7고양 8고양 9고양 10
곽미숙이상원이택수오준환고은정
고양 11고양 12과천 1의왕 1의왕 2
심홍순김완규김현석김영기서성란
구리 1구리 2남양주 1남양주 2남양주 3
백현종이은주이석균김미리조미자
남양주 4남양주 5남양주 6남양주 7오산 1
김동영김창식유호준이병길공석
전임자: 김미정
오산 2화성 1화성 2화성 3화성 4
조용호이홍근박명원박세원신미숙
화성 5화성 6화성 7화성 8시흥 1
김태형김회철이은주박진영안광률
시흥 2시흥 3시흥 4시흥 5군포 1
장대석김진경김종배이동현정윤경
군포 2군포 3군포 4하남 1하남 2
성기황김미숙김판수윤태길김성수
하남 3파주 1파주 2파주 3파주 4
오지훈고준호조성환이용욱이한국
파주 5여주 1여주 2이천 1이천 2
안명규서광범김규창김일중허원
용인 1용인 2용인 3용인 4용인 5
이영희김영민남종섭전자영정하용
용인 6용인 7용인 8용인 9용인 10
지미연김선희강웅철이성호윤재영
안성 1안성 2김포 1김포 2김포 3
양운석박명수홍원길오세풍김시용
김포 4광주 1광주 2광주 3광주 4
이기형유영두임창휘오창준유형진
포천 1포천 2연천 1양평 1양평 2
윤충식김성남윤종영박명숙이혜원
가평 1
임광현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제10대 경기도의원
||
[ 펼치기 · 접기 ]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제10대 경기도의회 지역구 의원
[ 펼치기 · 접기 ]

수원 1수원 2수원 3수원 4수원 5
이필근박옥분이필근황대호김봉균
수원 6수원 7수원 8수원 9수원 10
황수영장현국양철민김직란김강식
수원 11성남 1성남 2성남 3성남 4
안혜영최만식박창순조광주국중범
성남 5성남 6성남 7성남 8의정부 1
임채철권락용이제영최세명최경자
의정부 2의정부 3의정부 4안양 1안양 2
이영봉권재형김원기김성수김종찬
안양 3안양 4안양 5안양 6부천 1
문형근심규순조광희국중현염종현
부천 2부천 3부천 4부천 5부천 6
이선구황진희임성환권정선김명원
부천 7부천 8광명 1광명 2광명 3
이진연최갑철김영준정대운공석
광명 4평택 1평택 2평택 3평택 4
유근식양경석김재균김영해오명근
평택 5양주 1양주 2동두천 1동두천 2
서현옥박태희박재만유광혁김동철
안산 1안산 2안산 3안산 4안산 5
송한준공석장동일정승현성준모
안산 6안산 7안산 8고양 1고양 2
강태형김현삼원미정남운선방재율
고양 3고양 4고양 5고양 6고양 7
신정현민경선원용희김경희소영환
고양 8고양 9고양 10과천 1의왕 1
최승원고은정김달수배수문박근철
의왕 2구리 1구리 2남양주 1남양주 2
장태환백현종임창열김미리문경희
남양주 3남양주 4남양주 5남양주 6오산 1
윤용수박성훈이창균김경근송영만
오산 2화성 1화성 2화성 3화성 4
조재훈김인순오진택김태형박세원
화성 5화성 6시흥 1시흥 2시흥 3
박윤영이은주안광률장대석김종배
시흥 4군포 1군포 2군포 3군포 4
이동현정윤경정희시김미숙김판수
하남 1하남 2파주 1파주 2파주 3
김진일추민규조성환손희정김경일
파주 4여주 1여주 2이천 1이천 2
이진유광국김규창성수석김인영
용인 1용인 2용인 3용인 4용인 5
지석환엄교섭진용복남종섭김용찬
용인 6용인 7용인 8안성 1안성 2
유영호김중식고찬석양운석백승기
김포 1김포 2김포 3김포 4광주 1
심민자채신덕김철환이기형안기권
광주 2광주 3광주 4포천 1포천 2
공석이명동박덕동김우석이원웅
연천양평 1양평 2가평
유상호이영주이종인김경호






제10·11대 경기도의원
백현종
白鉉宗 | Baek Hyun-jong
파일:백현종.jpg
출생1965년 10월 14일 (58세)
서울특별시
현직제11대 경기도의원
국민의힘 경기도당 민생경제활성화특별위원장
국민의힘 경기도당 부위원장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공간, 민생과 자치 공동대표
[ 펼치기 · 접기 ]

학력서울동신초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속중학교 (졸업)
대광고등학교 (졸업)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기계공학 / 학사)
소속 정당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약력한국항공대학교 부총학생회장
국민승리21 구리.남양주 지부장
민주노동당 구리시 당협위원장
한국토지주택공사 부당이득금 반환추진위원회 상임대표
구리시 바로세우기 시민운동본부집행위원장
구리시 지역노동조합 지도위원
구리시 학교급식조례제정운동본부 대표
진보신당 경기도당 공동위원장
구리~포천민자고속도로 범시민대책위원회 집행위원장
구리월드디자인시티범시민연대 공동대표
민생과 자치 대표
국민의당 구리시지역위원장
국민의당 19대 대선 안철수 후보 중앙선대위 조직상황실장
국민의당 조직위원장
바른미래당 구리시 지역위원장
미래통합당 구리시 공동선대위원장
국민의힘 구리시 당협위원회 정책특보
윤석열 국민캠프 경기도선대위 수석부위원장
국민의힘 선거대책본부 조직본부 인재영입위원회 부위원장
국민의힘 선거대책본부 정책본부 코로나회복특별위원회 대변인
국민의힘 선거대책본부 국민후원회 경기도부회장


1. 개요
2. 생애
3. 정치 활동
4. 선거 이력
5. 소속 정당



1. 개요[편집]


대한민국노동운동가 출신 정치인이다.


2. 생애[편집]


1965년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서울동신초등학교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설중학교, 대광고등학교,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기계공학과를 졸업하였다. 한국항공대학교 졸업 후 경기도 구리시에서 노동운동에 참여하였다.


3. 정치 활동[편집]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주노동당 후보로 경기도 구리시장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이무성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노동당 후보로 경기도 구리시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열린우리당 윤호중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5년 토공에게 땅값부풀리기 반환 소송에서 공동대표로 처음 승리하였다. 첫 반환 소송 승리로 주목받았다.

2008년 민주노동당을 탈당하고 진보신당에 참여했다. 진보신당 창당발기인 명단에도 이름을 올렸다. #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진보신당 후보로 경기도 구리시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주광덕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진보신당 후보로 경기도 구리시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정치민주연합 후보로 경기도 구리시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당시 불과 6표 차이로 당선권인 3위에서 4위로 밀려 '백6표'라는 별명이 붙었다.

박영순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치러진 2016년 재보궐선거에서 국민의당 후보로 구리시장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새누리당 백경현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로부터 6년뒤 같은 정당 소속으로 나란히 구리시장과 경기도의회 의원으로 재선에 성공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의 측근으로, 국민의당 조직위원장, 바른미래당 조직강화특별위원회 위원, 지방선거기획위원회 위원과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안철수 서울시장 후보 종합상황실장을 맡았다.

2021년 재보궐선거에서 경기도의회 구리시 제1선거구의 국민의힘 후보로 단수 공천됐다. 그리고 더불어민주당 신동화 후보를 약 9%차로 이기며 8번의 선거 중 첫 당선을 맛보게 되었고, 1년 뒤에 치러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도 같은 선거구에 출마해 53.02%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재선에 성공하였다.


4.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98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경기 구리 교문2동
무소속

1,118 (13.40%)낙선 (3위)
2002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경기 구리시장
ta-hash-start=w-12129693d8c570f67a229c843c0bd2d0[[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3,899 (6.97%)
2004제17대 국회의원 선거경기 구리5,378 (6.48%)낙선 (4위)
2008제18대 국회의원 선거
ta-hash-start=w-bd5da0d67df335a373b1f9c5c276f414[[파일:진보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2,166 (3.20%)낙선 (3위)
2010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경기 구리 나4,277 (10.46%)낙선 (5위)
2014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경기 구리 가
ta-hash-start=w-d65dcb7ed8820703d3bce4d16d7e8d4a[[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5,106 (14.00%)낙선 (4위)
2016재보궐선거
(기초자치단체장)
경기 구리시장
ta-hash-start=w-f0d101a2a09b93f2af88f31a5e95f1dd[[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19,123 (21.87%)낙선 (3위)
2021재보궐선거
(광역의회의원)
경기 구리 1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14,150 (54.86%)당선 (1위)초선[1][2]
2022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25,167 (53.02%)재선

역대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5.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무소속

1998정계 입문

ta-hash-start=w-5dd140446b3089f289c2508e3103fb4d[[파일:건설국민승리21 글자.svg
1998 - 1999입당

무소속

1999 - 2000정당 해산[3]

ta-hash-start=w-d876642b611d5abc00c3317a7781f674[[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0 - 2008창당

무소속

2008탈당[4]

ta-hash-start=w-1499a983c3cb5d60d1e7d7d1419144b0[[파일:진보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8 - 2011창당

무소속

2011탈당[5]



(
무소속

)
2011창당준비위원회

ta-hash-start=w-1b9f9775a82ac4e73d29384291bdf675[[파일:통합진보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1 - 2012창당
2012탈당[6]
2012 - 2013창당
2013당명 변경
2013 - 2014탈당[7]
2014 - 2015입당
2015 - 2016당명 변경
2016탈당[8]
2016 - 2018창당
2018 - 2020합당[9]
2020합당[10]
2020탈당[11]
2020입당
2020 - 현재당명 변경

진보정당 → 민주당계 정당 → 제3지대 정당 → 보수정당 순으로 그라데이션 우경화(...)를 거친 특이한 이력을 갖고 있다.[12] 특히 사실상의 양당제인 한국에서 민주당계 정당과 보수정당을 넘나든 경우는 꽤 있어도 진보정당 당적까지 보유했던 경우는 거의 없어 한국 정계에서 거의 독보적이라고 할 수 있다.[13] 다만 성향이 급우경화 되었다기보다는 민주당 우위의 구리시 정계에서 주로 비민주권에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독 튀는 2014년 당시의 새정치민주연합 입당은 범안철수계로서의 이력으로 풀이 된다.) 결과적으로는 장기표와 달리 당선으로 마무리되었다. 비록 당적은 매우 화려하지만 긴기간 재야로 구리시에서 시민운동을 해온점과 도의원 당선 이후로도 활발한 의정활동을 하는 덕에 구리시 내에서는 그래도 평판은 괜찮다고 한다.


[1] 전임자 더불어민주당 서형열 사망[2] 8번의 선거 중 첫 당선[3] 민주노동당 창당을 위한 자진 정당 해산[4]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5]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6]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7] 새정치민주연합 합류를 위한 탈당[8]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9] 바른정당과 신설 합당[10] 대안신당, 민주평화당과 신설 합당[11] 미래통합당 합류를 위한 탈당[12] 원조가 현재 같은당에서 한솥밥먹고 있는 장기표.[13] 당적을 많이 옮긴 것으로 유명한 이인제도 진보정당에 소속된 적은 없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