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기인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강웅철고준호곽미숙김규창김근용
김도훈김민호김상곤김선희김성남
김성수김시용김영기김영민김완규
김일중김재훈김정영김정호김철현
김현석김호겸남경순문병근박명수
박명숙박명원방성환백현종서광범
서성란서정현심홍순안계일안명규
양우식오세풍오준환오창준유영두
유영일유형진윤성근윤재영윤종영
윤충식윤태길이기인이병길이상원
이서영이석균이성호이애형이영주
이영희이오수이용호이은주이인애
이제영이채영이택수이학수이한국
이혜원이호동임광현임상오정경자
정하용조희선지미연최병선최승용
한원찬허원홍원길





제11대 경기도의회의원
이기인
李基仁 | Lee Ki-in
파일:이기인 2022.jpg
출생1984년 9월 29일 (39세)
경기도 성남시 서현동
(現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
현직제11대 경기도의회의원
링크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Threads 아이콘.svg
[ 펼치기 · 접기 ]

가족아버지[1], 형(1983년생), 아내[2]
학력수내초등학교 (졸업)
수내중학교 (졸업)
낙생고등학교 (졸업)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3] (경영학 / 학사)
병역대한민국 육군 병장 만기전역[4]
종교개신교 (감리회)[5]
신체182cm
소속 정당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지역구경기 성남시 제6선거구
도의원 선수1
도의원 대수11
소속 위원회안전행정위원회
약력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총학생회장
연세대학교 응원단(AKARAKA)장
새누리당 분당갑 당원협의회 청년위원장
새누리당 이종훈 국회의원실 근무
제7~8대 경기도 성남시의회 의원
바른미래당 중앙청년위원장
바른미래당 혁신위원
새로운보수당 창당발기인
유승민 희망22 대변인

[1] 모친은 이기인 도의원이 중학생 때 돌아가셨다고 한다.[2] 1984년생 동갑내기로 2016년에 결혼하였다.[3]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4] 제17보병사단 헌병대 복무, 군탈체포조출신이다.[5]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만나교회에 출석중이다

1. 개요
2. 생애
3. 정치 활동
4. 선거 이력
5. 소속 정당
6. 여담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친이준석계 정치인. 제11대 경기도의회 의원이다.


2. 생애[편집]


1984년 출생이며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경영학부 03학번이다. 대학 재학 중 2007년 11월 원주캠 22대 총학생회(延·愛; 연세를 사랑하다) 총학생회장에 당선되기도 했는데 # 그 바로 이전인 2006년 연세대학교 응원단(AKARAKA)의 응원단장까지 맡아서 했었다.#

3. 정치 활동[편집]


졸업 이후 새누리당 분당 갑 당원협의회 청년위원장을 맡기도 하고 당시 새누리당 이종훈 국회의원실에서 근무를 하기도 했었다. 2014년 성남시의회 7대 새누리당 시의원으로 당선되어 활동을 시작했는데 2017년 새누리당을 탈당하여 바른정당으로 옮겨갔다.

2018년 초 바른정당국민의당과 통합하여 바른미래당으로 바뀌자 2018년 성남시의회 8대 바른미래당 시의원으로 재선에 성공했다. 이 때 자유한국당 후보보다도 더 많은 표를 획득했다.

바른미래당 출범 당시 초대 전국청년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 2018년 8월 전당대회까지 임기를 맡았었으며, 후임은 김수민국민의힘 홍보위원장이었다. 2019년 권성주[1] 등과 함께 바른미래당 혁신위원회 위원을 맡았다. 이후 2019년 12월 새로운보수당의 창당 발기인으로 참여했다.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이종훈의 국회의원 시절 지역구인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갑에 출마한 미래통합당 후보 김은혜MBN 앵커를 이종훈 전 의원과 함께 지원했다.[2]

2020년 9월, 성남시의원으로서 이재명의 후임인 은수미 시장을 공무원 부정채용 의혹으로 고발했다. #

2021년 국민의힘 1차 전당대회에서 이준석 대표가 만 36세라는 나이로 선출된 이후로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성남시장 후보로도 거론되기도 했다.

2021. 12. 국민의힘 이재명 비리 국민검증특위 위원으로 임명되었다. 이때 유동규와 김문기, 이재명이 함께 있는 단체사진을 확보하며 이들을 모른다는 이재명 당시 후보의 주장을 반박할 수 있었다. #

아울러 이재명 법인카드 유용 의혹과 관련해서 지난 2016년 7월 한 달 동안 이재명 당시 성남시장이 업무추진비를 집행하면서 일곱 차례에 걸쳐 240만 원을 현금으로 인출한 사실을 공개하기도 했다.

2022년 3월 30일 성남시장 선거에 출마 선언했고 성남의 부패, 비리에 대한 정치개혁을 주요 공약으로 내세웠지만, 공천에서 컷오프 되었다. 당내에 신상진이라는 4선 거물 정치인이 있는 관계로 컷오프가 되지 않더라도, 공천에서 승리할 가능성 또한 매우 낮긴 했다.

이후 서현, 판교, 대장동이 지역구인 경기도의원 제6선거구에 공천을 받아 경기도의원 선거에 출마했고 더불어민주당 전국대학생위원회 부위원장을 맡고 있는 김승용과 맞붙었다. 선거 결과 61.42%의 득표율로 김승용을 누르고 당선되었다.

이후 신상진 성남시장 인수위원으로 임명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기존의 공문들을 검토하다가 이재명 성남 FC 후원금 논란과 관련하여 이재명 성남시장 당시 두산에서 부지용도를 변경해달라고 성남시에 보낸 공문에 갑자기 성남fc에 후원을 약속하는 내용이 있다는 공문을 찾았다고 한다. 이 내용은 이후 SBS에서 보도된다. #

2023년 국민의힘 제3차 전당대회에서는 청년최고위원으로 출사표를 던졌다. 본인의 이재명 비리 증거 발견 활동을 거론하며 자신을 이재명 저격수로 소개하며 지지를 호소했다. 후원통장은 만들지 않다가 1차 컷오프 이후 본선으로 진출하면서 만들었다. 이준석계다른 후보들과 마찬가지로 이준석과 그를 지지하는 사람들이 적극적으로 이기인을 지원하고 있다. 이른바 '천아용인' 연합에서 '인'을 맡고 있다.

그러나 청년최고위원 선거 결과 장예찬에 크게 밀리면서 18.71%, 2위로 낙선했다.


4.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2014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경기 성남 차
ta-hash-start=w-515443b3907f382178e695c476fa091d[[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17,668 (45.82%)당선 (1위)초선
2018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ta-hash-start=w-6b8268b2aea8c743f066d9a8f5d056f6[[파일:바른미래당 흰색 로고타입.svg
9,114 (33.14%)당선 (2위)재선
2022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경기 성남 6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42,144 (61.42%)당선 (1위)초선

역대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파일:이기인.1.jpg
파일:이기인.2.jpg
6회 지선 (경기 성남시 차선거구)7회 지선 (경기 성남시 차선거구)
파일:이기인.3.jpg
8회 지선 (경기 성남시 제6선거구)


2018년에 바른미래당으로 33.14%를 득표하여 당선된 것은 기적적인 일이었다. 당시 전국에서 바른미래당 지역구 기초의원 당선자가 20명이 안 됐었다. 이마저도 3위로 당선된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기인은 2위로 바른미래당 전국 최고 득표율을 기록하며 당선되었다.

이 때 자유한국당은 물론 더불어민주당까지 1명의 후보를 낸 2인선거구였는데, 해당 상황 속에서도 자유한국당 후보를 당선권 밖인 3위로 밀어내고 당선되었다.


5.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ta-hash-start=w-4b2e12b43338e42361077cb6516ad63e[[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4 - 2016정계 입문

무소속

2016 - 2017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인한 탈당

ta-hash-start=w-1879d84e181b6262704e95372dc9f4dc[[파일:바른정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7 - 2018창당

ta-hash-start=w-ce63162006c9c1aff1221f90597e16a1[[파일:바른미래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8 - 2020합당[3]

무소속

2020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ta-hash-start=w-83d81ef47f0e9a205fb66a100f3179bf[[파일:새로운보수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창당

ta-hash-start=w-1d392d6cd50709b355aa35602cb1b7cc[[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합당[4]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0 -당명 변경


6. 여담[편집]






이기인 본인도 자신의 이러한 지지층을 의식해서인지 국민의힘 소속임에도 불구하고 같은 새보계인 하태경, 유승민은 문재인을 정말 신랄하게 비판했고, 이준석은 심지어 문재인의 SNS 게시글에 직접 찿아가서 비꼬는 댓글을 남긴 반면, 이기인은 국민의힘 소속임에도 문재인을 전혀 비판하지 않고 있다.





7. 둘러보기[편집]



파일:여의도재건축조합.jpg
[ 펼치기 · 접기 ]

출연이준석 · 천하람 · 이기인
편성모델하우스 · 땅보러가요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제11대 경기도의회 지역구 의원
[ 펼치기 · 접기 ]

수원 1수원 2수원 3수원 4수원 5
남경순박옥분황대호장한별김호겸
수원 6수원 7수원 8수원 9수원 10
한원찬최종현이호동이오수이애형
수원 11수원 12성남 1성남 2성남 3
문병근이병숙문승호최만식전석훈
성남 4성남 5성남 6성남 7성남 8
국중범방성환이기인안계일이제영
의정부 1의정부 2의정부 3의정부 4안양 1
김정영이영봉최병선오석규김성수
안양 2안양 3안양 4안양 5안양 6
김철현문형근김재훈유영일이채명
부천 1부천 2부천 3부천 4부천 5
염종현이선구이재영황진희김광민
부천 6부천 7부천 8광명 1광명 2
김동희유경현박상현김정호최민
광명 3광명 4평택 1평택 2평택 3
유종상김용성김상곤김재균서현옥
평택 4평택 5평택 6양주 1양주 2
윤성근이학수김근용이영주김민호
동두천 1동두천 2안산 1안산 2안산 3
이인규임상오김동규김태희장윤정
안산 4안산 5안산 6안산 7안산 8
정승현강태형이기환김철진서정현
고양 1고양 2고양 3고양 4고양 5
변재석이인애정동혁이경혜명재성
고양 6고양 7고양 8고양 9고양 10
곽미숙이상원이택수오준환고은정
고양 11고양 12과천 1의왕 1의왕 2
심홍순김완규김현석김영기서성란
구리 1구리 2남양주 1남양주 2남양주 3
백현종이은주이석균김미리조미자
남양주 4남양주 5남양주 6남양주 7오산 1
김동영김창식유호준이병길공석
전임자: 김미정
오산 2화성 1화성 2화성 3화성 4
조용호이홍근박명원박세원신미숙
화성 5화성 6화성 7화성 8시흥 1
김태형김회철이은주박진영안광률
시흥 2시흥 3시흥 4시흥 5군포 1
장대석김진경김종배이동현정윤경
군포 2군포 3군포 4하남 1하남 2
성기황김미숙김판수윤태길김성수
하남 3파주 1파주 2파주 3파주 4
오지훈고준호조성환이용욱이한국
파주 5여주 1여주 2이천 1이천 2
안명규서광범김규창김일중허원
용인 1용인 2용인 3용인 4용인 5
이영희김영민남종섭전자영정하용
용인 6용인 7용인 8용인 9용인 10
지미연김선희강웅철이성호윤재영
안성 1안성 2김포 1김포 2김포 3
양운석박명수홍원길오세풍김시용
김포 4광주 1광주 2광주 3광주 4
이기형유영두임창휘오창준유형진
포천 1포천 2연천 1양평 1양평 2
윤충식김성남윤종영박명숙이혜원
가평 1
임광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3 04:58:36에 나무위키 이기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바른미래당 전 대변인. 1979년생.[2]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갑의 제19대 국회의원은 새누리당이종훈이었으며, 이기인은 이종훈이 국회의원이었던 시절 그의 보좌관이었다.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지도부는 이종훈이 박근혜 정부와 갈등을 빚었다는 이유로 이종훈을 컷오프하고 그의 지역구에 친박으로 분류되는 권혁세를 공천했는데, 이종훈과 이기인은 총선 공천 결과에 불복해 권혁세를 지원하지 않았고, 권혁세는 더불어민주당 김병관 후보에 밀려 낙선했다.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이종훈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갑에 공천을 신청했는데 김은혜에 밀려 공천을 받지 못했지만 공천 결과에 승복하고 이기인과 함께 김은혜를 지원했으며, 김은혜는 당선되었다.[3] 국민의당과 신설 합당[4] 자유한국당, 미래를향한전진4.0과 신설 합당[5] 단 김지나의 경우 민주당계 출신은 아니다. 7회 지선에서 바른미래당으로 당선되었으나 비례대표 의원인지라 민생당에 잔류했던 케이스.[6] 공천권을 주로 당협위원장이 행사하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