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벨기에령 콩고

덤프버전 :



벨기에령 콩고
Congo belge
파일:콩고 독립국 국기.svg파일:98FD2C07-F06C-4D9D-B4A7-BC5082B56F6A.png
국기국장
Travail et progrès
노동과 진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LocationCongoFreeState.png
1908년 12월 18일 ~ 1960년
성립 이전멸망 이후
콩고 독립국레오폴드빌 콩고
국가브라반트의 노래(La Brabançonne)
수도레오폴드빌
정치체제벨기에 제국식민지
언어프랑스어, 네덜란드어
민족320여 개가 넘는 토착 민족
통화콩고 프랑

1. 개요
2. 역사
3. 콩고민주공화국과의 비교[1]



1. 개요[편집]


1908년부터 1960년까지 오늘날 콩고민주공화국 일대에 존재했던 벨기에식민지였다. 1922년부터는 루안다-우룬디라는 이름 하에 오늘날 르완다, 부룬디 일대를 차지하고 있던 벨기에 식민지도 영역에 포함되었다. 1960년 6월 30일 콩고 공화국의 독립으로 붕괴하였다.


2. 역사[편집]


1908년 레오폴드 2세로부터 콩고 식민지를 회수하여 국가 식민지로 삼은 벨기에 정부는 콩고를 계층적으로 조직된 행정 구역으로 나눠 정해진 원주민 정책(politique indigène)에 따라 균일하게 운영하였다. 특히 1940년대~1950년대 벨기에령 콩고는 광범위한 도시화가 이뤄졌고, 벨기에 정부는 벨기에령 콩고를 '모범적인 식민지'로 만들기 위해 다양한 교육, 복지, 개발 정책을 시행하였다.[2] 1950년대가 되면 벨기에령 콩고는 그 외 아프리카 식민지들과 비교해서 평균 2배나 되는 임금을 받았다.[3] 식민지 정부의 이러한 근대화 정책과 경제 성장에 힘입어 벨기에령 콩고 내에서는 지식인층이 성장하였고, 이들은 자국의 독립을 갈망하였다.

이들의 주도하에 급진적인 독립운동이 일어나자 그 여파로 1960년 1월 벨기에 정부는 콩고 독립을 논의하기 위해 테이블 회의를 개최하였다. 벨기에령 콩고의 13개 정당 대표 96명이 초대되었는데, 조제프 카사부부, 모이즈 촘베(Moïse Tshombé), 파트리스 루뭄바 등이었다. 본 회의에서 벨기에는 4년에 걸쳐 천천히 권력을 콩고인들에게 이양할 것을 지시할 예정이었으나, 콩고인들은 벨기에를 신뢰하지 않았고 결국 1960년 6월 1일까지 완전한 독립 추진을 결의했다.[4] 식민지 유지에 대한 엄청난 반대에 직면한 벨기에 정부는 결국 그 해 6월 30일 콩고의 독립을 인정하여 벨기에령 콩고가 붕괴하고 콩고 공화국(레오폴드빌)이 수립되었다.[5]


3. 콩고민주공화국과의 비교[6][편집]



3.1. 경제[편집]


벨기에령 콩고의 주 산업은 광업이었다. 막대한 이윤을 얻기 위해 벨기에 식민 정부는 원주민들에 대해 '저임금' 정책을 유지했고 원주민들의 경제적 발전을 방해하려는 태도를 취했다. 이로 인해 벨기에인과 콩고인 사이의 소득 격차가 극심했는데, 1958년 기준 두 민족의 소득 격차는 33:1에 달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독립 후 콩고의 실질 임금은 벨기에 시대보다 감소했다. 독립 직후인 1960년 콩고인들의 실질 일당은 8.14$였으나 불과 5년 후인 1965년에 1.47$로 급락했다. 그리고 1979~80년에는 실질 임금이 0에 수렴했다. 1인당 GDP(PPP)는 독립 직후 약 2,700$로 당시 인도네시아의 2배에 달했지만, 오늘날 콩고민주공화국의 1인당 PPP는 약 1,000$에 불과하여 오히려 벨기에 시대보다 감소했다.

소득 격차도 독립 후 훨씬 심해졌다. 2010년, 콩고인의 월평균 소득은 25$이다. 같은 기간, 주지사의 월 평균 급여는 8,228$로, 소득 격차는 329:1에 달해 식민지 시대보다 상황이 훨씬 악화되었다.

식민지 시대를 곱씹어보자. 1958년 당시 110,000명의 백인(인구 1%)이 임금의 45%를 차지했는데, 오늘날 콩고의 약 2,605명의 정치인(0.003%)이 임금의 95%를 차지하고 있다.

[1] 출처: The Belgian Congo as a Developmental State[2] -Freund 1998, pp. 198–9[3] -Freund 1998, p. 198[4] -Kim, Kwang-Su (2015). The Historical Contextualization of the Identity of the Kongo Kingdom in Pre-Independence DR Congo History. 한국아프리카학회지, 45, p7[5] -Lye & The Diagram Group 2002: 145, Reader 2013: 653-686, 819, The Diagram Group 2000: 119)[6] 출처: The Belgian Congo as a Developmental State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14:20:10에 나무위키 벨기에령 콩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