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벨기에-북프랑스 국가판무관부

덤프버전 :

벨기에-북프랑스 국가판무관부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6><tablewidth=100%><colbgcolor=#FFF,#000><colcolor=#000,#FFF><tablebgcolor=#ffffff,#1F2023><width=80> ~ 843년 ||<-12><bgcolor=#002395> 갈리아 켈트족 ||
||<-12><bgcolor=#9f0807> 로마 공화국 ||
||<-12><bgcolor=#9f0807> 로마 제국
갈리아 제국 ||
||<-12><bgcolor=#943939> 서로마 제국
수아송 왕국 ||
||<-8><rowbgcolor=#8b8970> 프랑크 왕국
(메로비우스 왕조) ||<-4><width=30%><bgcolor=#8b2323> 부르군트 왕국 ||
||<-8><bgcolor=#8b8970> 프랑크 왕국
(카롤루스 왕조) ||<-4><bgcolor=#ffa24f> 서고트 왕국 ||
||<|11> 843년 ~ 1940년 ||<-8><bgcolor=#4169e1> 프랑스 왕국
(카페 왕조) ||<|2><-4> 아키텐 공국 · 노르망디 공국 · 브르타뉴 공국 ||
||<-8><bgcolor=#4169e1> 프랑스 왕국
(발루아 왕조) ||
||<|3><width=10%><bgcolor=#4169e1> 제1식민
제국
||<|2><-5><bgcolor=#4169e1> 프랑스 왕국
(부르봉 왕조) ||<-4><bgcolor=#0701a0> 부르고뉴 백국 ||
||<-4><bgcolor=#da1013> 부르고뉴 공국
부르고뉴국 ||
||<-11><bgcolor=#002153> 제1공화국 ||
||<-12><bgcolor=#002153> 제1제국
(보나파르트 왕조) ||
||<-12><bgcolor=#002153> 프랑스 왕국
(부르봉 왕조) ||
||<-12><bgcolor=#002153> 프랑스 왕국
(부르봉-오를레앙 왕조) ||
||<-12><bgcolor=#00327d> 제2공화국 ||
||<|5><bgcolor=#00327d> 제2식민
제국
||<-12><bgcolor=#00327d> 제2제국
(보나파르트 왕조) ||
||<-11><bgcolor=#002395> 제3공화국 ||
||<|4> 1940년 ~ ||<-3><bgcolor=#002395> 자유 프랑스 ||<-4><bgcolor=#002395> 비시 프랑스 ||<-4><bgcolor=#000> 나치 독일
이탈리아 왕국 ||
||<-11><bgcolor=#002395> 프랑스 임시정부 ||
||<-11><bgcolor=#002395> 제4공화국 ||
||<-12><bgcolor=#001489> 제5공화국 ||










벨기에-북프랑스 국가판무관부
Reichskommissariat Belgien-Nordfrankreich[1]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파일:나치 독일 국장.svg
국기국장
파일:벨기에 북프랑스 국가판무관부.svg
1944년
성립 이전해체 이후
벨기에-북프랑스 군정청벨기에 왕국
프랑스 공화국 임시정부
위치벨기에, 북프랑스
수도브뤼셀
정치 체제일당제
국가 원수총통
공용어네덜란드어, 프랑스어

1. 개요
2.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나치 독일벨기에와 북프랑스에 세운 국가판무관부였다. 나치 독일은 벨기에프랑스를 점령하고 벨기에와 북프랑스 일부를[A] 벨기에-북프랑스 군정청으로 합쳐 지배하기 시작했다. 1944년 7월 12일 군정청에서 국가판무관부로 이름을 바꾸고 쾰른-아헨 대관구지휘관 요제프 그로헤를 국가판무관으로 임명했다. 이후 대부분의 영토를 연합국에게 빼앗겼고 1944년 12월 15일 없어진다.


2.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14:19:32에 나무위키 벨기에-북프랑스 국가판무관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라이히스코미사리아트 벨기엔-노르트프랑크라이히[A] 솜강 이북 지대. 1차대전 때 솜 전투가 발생한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