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변연하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코칭 스태프
감독
박정은
코치
변연하 · 김영화
지원 스태프
트레이너
이정하 · 장원석 · 정지연
매니저
장지은 · 이혜림 · 조세영
가드0 박인아 · 2 최서연 · 3 김민아 · 5 안혜지 ·
6 이소희 · 7 박경림 · 8 심수현 · 13 김정은
포워드1 박다정 · 4 김지은 · 9 박다원 ·
30 고세림 · 33 한엄지 · 35 김한별
C
센터11 문지영 · 15 박성진 · 17 최민주 · 31 진안




변연하의 수상 및 영예
[ 펼치기 · 접기 ]
WKBL 챔피언 결정전 우승 반지
1998 여름1999 여름2000 겨울2001 겨울2006 여름




[ 펼치기 · 접기 ]

2002 여름 시즌2003 겨울 시즌2003 여름 시즌2004 겨울 시즌2005 겨울 시즌
김영옥
현대건설 / 가드
타미카 캐칭
우리은행 / 포워드
타미카 캐칭
우리은행 / 포워드
김지윤
금호생명 / 가드
김영옥
우리은행 / 가드
2005 여름 시즌2006 겨울 시즌2006 여름 시즌2007 겨울 시즌2007-08 시즌
전주원
신한은행 / 가드
타미카 캐칭
우리은행 / 포워드
변연하
삼성생명 / 포워드
테즈 맥윌리엄스
신한은행 / 센터
정선민
신한은행 / 포워드
2008-09 시즌2009-10 시즌2010-11 시즌2011-12 시즌2012-13 시즌
하은주
신한은행 / 센터
전주원
신한은행 / 가드
하은주
신한은행 / 센터
하은주
신한은행 / 센터
임영희
우리은행 / 포워드
2013-14 시즌2014-15 시즌2015-16 시즌2016-17 시즌2017-18 시즌
임영희
우리은행 / 포워드
박혜진
우리은행 / 가드
박혜진
우리은행 / 가드
박혜진
우리은행 / 가드
김정은
우리은행 / 포워드
2018-19 시즌2020-21 시즌2021-22 시즌2022-23 시즌2023-24 시즌
박지수
KB / 센터
김한별
삼성생명 / 포워드
박지수
KB / 센터
김단비
우리은행 / 포워드




파일:한국여자농구연맹 로고.svg
역대 신인왕
[ 펼치기 · 접기 ]

1999 시즌2000 시즌2002 시즌2003 시즌2004 시즌
변연하
삼성생명 / 포워드
강윤미
금호생명 / 센터
박은진
금호생명 / 포워드
곽주영
금호생명 / 포워드
정미란
금호생명 / 포워드
2005 시즌2006 시즌2007 시즌2007-08 시즌2008-09 시즌
정진경
신세계 / 센터
김정은
신세계 / 포워드
하은주
신한은행 / 센터
배혜윤
신세계 / 센터
박혜진
우리은행 / 가드
2009-10 시즌2010-11 시즌2011-12 시즌2012-13 시즌2013-14 시즌
킴빌리 로벌슨
삼성생명 / 가드
윤미지
신한은행 / 가드
이승아
우리은행 / 가드
양지영
삼성생명 / 포워드
김이슬
하나외환 / 가드
2014-15 시즌2016-17 시즌2017-18 시즌2018-19 시즌2019-20 시즌
신지현
KEB하나은행 / 가드
박지수
KB / 센터
이주연
삼성생명 / 가드
박지현
우리은행 / 가드
허예은
KB / 가드
2020-21 시즌2021-22 시즌2022-23 시즌2023-24 시즌2024-25 시즌
강유림
하나원큐 / 포워드
이해란
삼성생명 / 포워드
박소희
하나원큐 / 가드




[ 펼치기 · 접기 ]

1998 여름1999 겨울1999 여름2000 겨울2000 여름
이미선
삼성생명 / 가드
정윤숙
현대 / 가드
강지숙
현대 / 센터
강지숙
현대 / 센터
변연하
삼성생명 / 포워드
2001 겨울2001 여름2002 겨울2002 여름2003 겨울
신정자
국민은행 / 센터
강지숙
현대 / 포워드
신정자
국민은행 / 센터
신정자
국민은행 / 센터
박선영
삼성생명 / 가드
2003 여름2004 겨울2005 겨울2005 여름2006 겨울
김영화
삼성생명 / 가드
김은혜
우리은행 / 포워드
최윤아
신한은행 / 가드
박선영
신한은행 / 가드
홍현희
우리은행 / 센터
2006 여름 *2007 겨울2007-082008-092009-10
이연화
신한은행 / 가드
김수연
KB / 센터
김보미
금호생명 / 포워드
하은주
신한은행 / 센터
김보미
금호생명 / 포워드
2010-112011-122012-132013-142014-15
허윤자
신세계 / 센터
김연주
신한은행 / 포워드
김연주
신한은행 / 포워드
김연주
신한은행 / 포워드
김규희
신한은행 / 가드
2015-162016-172017-182018-192019-20
곽주영
신한은행 / 포워드
최은실
우리은행 / 포워드
김연주
신한은행 / 포워드
김소니아
우리은행 / 포워드
김민정
KB / 포워드
2020-212021-222022-232023-242024-25
구슬
BNK / 포워드
이경은
신한은행 / 가드
김애나
하나원큐 / 가드
* 2006 여름 시즌부터 기존의 '우수후보 선수상' 대신 '식스우먼상'으로 시상.




[ 펼치기 · 접기 ]

1998 여름1999 겨울1999 여름2000 겨울2000 여름
유영주
삼성생명 / 94.12%
정은순
삼성생명 / 88.24%
이언주
신세계 / 95.83%
전주원
현대 / 93.33%
이언주
신세계 / 91.29%
2001 겨울2001 여름2002 겨울2002 여름2003 겨울
정선민
신세계 / 90.32%
밀라 니콜리치
금호생명 / 91.01%
정선민
신세계 / 92.55%
장선형
신세계 / 95.00%
정선민
신세계 / 90.51%
2003 여름2004 겨울2005 겨울2005 여름2006 겨울
변연하
삼성생명 / 91.3%
김지윤
금호생명 / 90.00%
정선민
KB / 89.5%
홍현희
우리은행 / 85.71%
변연하
삼성생명 / 90.14%
2006 여름2007 겨울2007-082008-092009-10
변연하
삼성생명 / 88.89%
타미카 캐칭
우리은행 / 88.00%
최윤아
신한은행 / 88.57%
최윤아
신한은행 / 89.58%
김은혜
우리은행 / 91.3%
2010-112011-122012-132013-142014-15
박혜진
우리은행 / 90.8%
최윤아
신한은행 / 87.29%
박혜진
우리은행 / 85.19%
박혜진
우리은행 / 94.94%
홍아란
KB / 90.41%
2015-162016-172017-182018-192019-20
이경은
KDB생명 / 85.9%
한채진
KDB생명 / 90.7%
박혜진
우리은행 / 90.32%
박하나
삼성생명 / 86.32%
박혜진
우리은행 / 89.23%
2020-212021-222022-232023-242024-25
강아정
KB / 90.38%
박혜진
우리은행 / 90.38%
강이슬
KB / 88.42%




[ 펼치기 · 접기 ]

2002 여름2003 겨울2003 여름2004 겨울2005 겨울
김영옥
현대 / 41개
김영옥
현대 / 56개
김영옥
현대 / 65개
변연하
삼성생명 / 63개
니키 티즐리
KB / 63개
2005 여름2006 겨울2006 여름2007 겨울2007-08
김경희
금호생명 / 49개
엘레나 비어드
신세계 / 37개
김영옥
우리은행 / 38개
김은혜
우리은행 / 47개
박정은
삼성생명 / 79개
2008-092009-102010-112011-122012-13
박정은
삼성생명 / 95개
박정은
삼성생명 / 107개
김영옥
KB / 84개
한채진
KDB생명 / 81개
한채진
KDB생명 / 74개
2013-142014-152015-162016-172017-18
박혜진
우리은행 / 73개
강이슬
KEB하나은행 / 93개
강아정
KB / 72개
박혜진
우리은행 / 69개
강이슬
KEB하나은행 / 101개
2018-192019-202020-212021-222022-23
강이슬
KEB하나은행 / 77개
강이슬
하나은행 / 66개
강이슬
하나원큐 / 64개
강이슬
KB / 90개
이소희
BNK / 77개




[ 펼치기 · 접기 ]

1998 여름1999 겨울1999 여름2000 겨울2000 여름
김지윤
국민은행 / 5.38개
김지윤/신원화
국민은행/신세계 / 4.40개
전주원
현대 / 7.93개
전주원
현대 / 6.38개
김지윤
국민은행 / 7.90개
2001 겨울2001 여름2002 겨울2002 여름2003 겨울
정선민
신세계 / 6.67개
김지윤
국민은행 / 8.52개
김지윤
국민은행 / 6.80개
김지윤
국민은행 / 6.33개
김지윤
국민은행 / 6.50개
2003 여름2004 겨울2005 겨울2005 여름2006 겨울
전주원
현대 / 7.85개
김지윤
금호생명 / 6.85개
김지윤
금호생명 / 6.50개
전주원
신한은행 / 8.07개
전주원
신한은행 / 7.65개
2006 여름2007 겨울2007-082008-092009-10
전주원
신한은행 / 7.43개
전주원
신한은행 / 6.79개
전주원
신한은행 / 5.79개
전주원
신한은행 / 6.89개
전주원
신한은행 / 7.53개
2010-112011-122012-132013-142014-15
이미선
삼성생명 / 7.07개
김지윤
신세계 / 6.4개
최윤아
신한은행 / 5.97개
이미선
삼성생명 / 5.71개
이미선
삼성생명 / 4.54개
2015-162016-172017-182018-192019-20
변연하
KB / 5.37개
박혜진
우리은행 / 5.11개
박혜진
우리은행 / 5.09개
안혜지
OK저축은행 / 6.37개
안혜지
BNK / 7.70개
2020-212021-222022-232023-242024-25
김진희
우리은행 / 5.47개
안혜지
BNK / 6.27개
안혜지
BNK / 9개




파일:한국여자농구연맹 로고.svg
WKBL 베스트 5 (10회)
2002 여름, 2003 여름, 2004 겨울, 2005 겨울, 2006 겨울, 2006 여름, 2007-08, 2009-10, 2011-12, 2012-13

청주 KB 스타즈 영구 결번
No. 10

부산 BNK 썸 수석 코치
BUSAN BNK SUM
청주 KB 스타즈 No.10
파일:변연하 2021-22.jpg
변연하
邊年河
출생 1980년 3월 7일 (44세)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체 신장 180cm|체중 68kg
직업 농구선수(슈팅 가드, 스몰 포워드 / 은퇴)
농구코치
학력 해운대초등학교 (졸업)
동주여자중학교 (졸업)
동주여자상업고등학교 (졸업)
경기대학교 (학사)
프로 입단 1999년 삼성생명 농구단
소속 선수 용인 삼성생명 비추미 (1999~2008)
청주 KB 스타즈 (2008~2016)
코치 부산 BNK 썸 (2020)
부산 BNK 썸 (2021~ / 수석 코치)
해설 파일:부산MBC 로고.svg (2019~2020)

1. 개요
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2.2. 삼성생명 시절
2.3. 국민은행 시절
2.4. 국가대표
2.5. 지도자 시절
3. 플레이 스타일
4. 시즌별 성적
5. 여담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한국여자프로농구 선수. 現 부산 BNK 썸 코치. 뛰어난 기량으로 국가대표의 에이스 역할을 톡톡히 해냈던 선수다. 별명은 바니공주[1], 변코비.


2. 선수 경력[편집]



2.1. 아마추어 시절[편집]


동주여상 시절 한국 여자농구에 나타난 장신 가드로 주목받았다. 원래 포지션은 센터였지만, 고등학교 진학해서 포지션을 가드로 변경했고, 이게 적중하면서 고교 최고의 가드로 평가받았다. 센터로서 다져진 포스트업과 가드로서의 볼 핸들링과 스텝이 결합하면서 일약 최고의 가드로 평가받은 것.


2.2. 삼성생명 시절[편집]


1999년 삼성생명에 입단한 후, 2년차부터 주전으로 자리 잡아 맹활약하기 시작했다. WKBL을 대표하는 가드로 삼성생명의 여러 차례 우승의 주역으로 활약했다. 박정은, 이미선과 함께 삼성의 백코트 라인을 지배하면서 대활약. 2001년 겨울리그, 2003년 여름리그, 2004년 겨울리그 정규시즌 MVP에 오르면서 리그를 대표하는 가드로 거듭났다. 변연하는 삼성생명에 있으면서 총 4번의 WKBL 우승에 올랐다. 아이러니하게도 정규시즌 MVP 2연패를 달성한 2003년과 2004년에는 PO에서 져서 우승에 실패하지만, 2006년 챔피언결정전에서 맹활약하면서 챔프전 MVP도 차지한다.


2.3. 국민은행 시절[편집]


삼성생명의 프랜차이즈 스타로 남을 줄 알았던 변연하는 2008년 전격적으로 국민은행으로 이적한다. FA로 풀린 상황에서 국민은행이 내건 3년간 6억 9,000만 원이라는 파격적인 제안을 수용한 것. 특별히 삼성과의 불화라기보다는 다른 팀에서도 한 번 뛰어보고 싶었다고 한다. 그리고 국민은행에서도 에이스로 활약하고 있다. 다만, 국민은행 이적 무렵에는 신한은행의 독주 체제가 완성이 된 터라, 우승과는 거리가 멀다. 그래도 여기서는 포워드 자리에서 뛰면서 팀의 공격 제 1옵션으로 활약 중.

2013년 12월 9일 對 신한은행전에서 통산 7000득점을 돌파했다. 역대 3번째이자 최연소 기록이다.

2016년 2월 14일 對 삼성생명전에서 통산 3점슛 1000개를 돌파했다. 역대 2번째이며, 통산 3점슛 최다기록 타이로 올 시즌 내 통산 3점슛 1위 등극이 유력하다.

2016년 2월 17일 對 신한은행 원정경기에서 드디어 그 기록을 넘어서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고, 해당 경기에서는 여자농구에서 웬만큼 나오기 힘들다는 100점대의 스코어가 나왔다.

2016년 4월 21일 현역 은퇴 선언을 하였고 지도자 연수를 계획을 위해서 미국으로 출국하였다.

2016년 WKBL 드래프트에서 KB스타즈가 역대급 신인 박지수를 지명하는 데 성공하면서 변코비가 다시 돌아와 함께 우승을 만들길 바라는 KB팬들이 많다.

2017-18 WKBL 20주년 올스타전을 기념하여 리그의 전설적 선수 12인을 뽑는 GREAT 12인에 선정되었다. 올스타전 행사 당일엔 미국 지도자 연수 중이라 참여하지는 못했지만 각종 포털 및 커뮤니티 반응을 보면 여전한 인기를 확인할수있다. 정은순 해설의 유명한 멘트도 있다. "스타는 많지만 슈퍼스타는 변연하 뿐이다."[2]


2.4. 국가대표[편집]


특히 국제무대에서 상당히 강하다. 대표팀 에이스로 어느 대회에서든지 평균 15득점은 꾸준히 기록한 선수다. 자료 센터 출신이라서 골밑에서의 공격에도 능하고, 특히 뛰어난 스텝을 통해 상대를 제치고 돌파하는 모습은 웬만한 남자 선수들보다도 낫다는 중평. 이 스텝을 무기 삼아 골밑을 돌파하고, 상대가 돌파를 봉쇄하려고 하면 외곽슛을 통해 수비를 제압한다. 다만 턴오버가 좀 많고, 기복이 있다는 단점 때문에 은근히 저평가받지만, 국제 대회에서도 밀리지 않는 스텝과 내외곽을 넘나드는 공격력은 절대 무시할 수 없는 선수다. 그래서 대표팀에서도 항상 부동의 주전이었고, 이 정도의 위상과 능력을 가진 선수는 과거 유영주 정도를 제외하면 전무한 상황. 선수로서는 영광이라고 할 수 있는 제 2의 누구가 나타났다는 평가에 변연하도 들어가고 있다.


2.5. 지도자 시절[편집]


2020년 3월 30일부산 BNK 썸의 코치로 부임한다는 기사가 나왔다. WKBL에서의 첫 지도자 생활인데, 공교롭게도 이미 썸에는 유영주 감독을 비롯해 최윤아, 양지희 코치가 있는 상황이라 변연하까지 부임하면서 BNK 썸은 올스타 코치진을 구성하게 되었다.

2시즌 동안 6개 구단 중 5위[3]-6위라는 저조한 순위를 기록하는 바람에 유영주 감독과 모든 코치진이 동반 사퇴했다. 변연하 코치 역시 다른 코치들과 마찬가지로 팀을 떠나게 될 줄 알았지만, 박정은 감독이 선임되면서 수석 코치로 선임되어 박정은 감독을 보좌하게 되었다.


3. 플레이 스타일[편집]


기본기가 상당히 좋다. 변연하가 돌파를 다른 선수들보다 잘하는것도 어찌보면 가장 기초적인 볼핸들링이나 드리블이 탄탄하기 때문에 가능한것. 여기다 정확한 외곽슛까지 겸비했으니 상대 수비수 입장에선 그야말로 '붙으면 파고, 떨어지면 쏘는' 입농구 실현이라 난감 그 자체.

선수 초년시절에는 외곽슛 위주의 플레이에서 점점 해가 거듭될수록 드라이빙과 스탭을 연마하더니 07년도 이후엔 기량이 절정에 달해서 한 경기에 46득점[4] 씩 퍼붓기도 하는 괴물같은 득점력을 선보인다.

특히 압권인 것은 돌파할 것처럼 모션을 취했다가 순간적으로 뒤로 빼면서 3점을 때리는 이른바 '스탭백 3점슛\'인데, 현 WKBL에서 외곽슛을 만들어서 쏘는 유일한 선수이다. 한때 WKBL 최고의 수비수였던 신한은행의 진미정이 이 모션에 당해서 앵클브레이킹 되는 굴욕도 맞봤다. 변연하의 이 스탭백 슛은 릴리즈도 상당히 빠른 데다가 비거리도 길어서 7m, 8m 에서 백스탭을 밟으면서 3점을 쏴대면 정말 흠좀무.

그리고 클러치 상황에서도 정말 강한데, 국내대회 플레이오프에서뿐만 아니라 국제대회 클러치 상황에서도 결정적인 슛을 터뜨려서 대표팀의 승패를 결정짓는 역할을 많이 했다. 이에 관련한 인터뷰에서 '그냥 슛쏘고 욕먹고 말지 뭐' 라는 말을 하며 팬들에게는 역시 변코비다 라며 찬양했다는 후문이....대표적인 게임은 08 베이징올림픽 예선 브라질전 연장전, 13 아시아 여자농구 선수권 중국전 준결승.

여기에 팀 내에서 때로는 스코어러, 때로는 리딩 가드 역할을 번갈아 가면서 하며 KB 스타즈 이적 후에는 어시스트에까지 눈을 떠 완전체로 거듭났고, 지금은 은퇴했지만 여전히 존재감만큼은 그 누구도 대체가 불가능하다.


4. 시즌별 성적[편집]


역대 기록
시즌소속팀경기수2점슛3점슛자유투득점리바운드어시스트스틸블록슛
1999 겨울삼성생명58/12
(66.67%)
2/7
(28.60%)
1/2
(50.00%)
237100
1999 여름79/16
(56.25%)
2/7
(28.60%)
6/8
(75.00%)
3028691
2000 겨울818/37
(48.65%)
6/21
(28.60%)
3/6
(50.00%)
57321192
2000 여름2035/68
(51.47%)
41/99
(41.41%)
17/26
(65.38%)
21051342410
2001 겨울1024/55
(43.64%)
23/78
(29.49%)
6/8
(75.00%)
1235015154
2001 여름2462/121
(51.24%)
33/129
(25.58%)
39/51
(76.47%)
2628362399
2002 겨울1743/81
(53.09%)
43/107
(40.19%)
14/21
(66.67%)
2294934172
2002 여름1571/158
(49.88%)
35/86
(38.36%)
25/27
(67.46%)
2724326240
2003 겨울2091/195
(46.67%)
26/102
(25.49%)
33/42
(78.57%)
2936559358
2003 여름2089/209
(42.58%)
52/133
(39.10%)
42/46
(91.30%)
37610897335
2004 겨울2086/180
(47.78%)
63/166
(37.95%)
29/42
(69.05%)
3908364466
2005 겨울2086/186
(46.24%)
40/139
(28.78%)
49/73
(67.12%)
34182543112
2005 여름2075/151
(49.67%)
34/97
(35.05%)
56/71
(78.87%)
3088486247
2006 겨울2078/163
(47.85%)
35/93
(37.63%)
64/71
(90.14%)
325110100406
2006 여름1560/121
(49.59%)
26/62
(41.94%)
56/63
(88.89%)
2548178194
2007 겨울1645/100
(45.00%)
25/70
(35.71%)
27/31
(87.10%)
1925070170
2007-0834111/156
(71.15%)
77/235
(32.77%)
102/129
79.07%)
55513596537
시즌소속팀경기수2점슛3점슛자유투득점리바운드어시스트스틸블록슛
2008-09KB 국민은행40143/278
(51.44%)
86/200
(43.00%)
144/175
(82.29%)
6881812487111
2009-1040158/313
(50.48%)
70/201
(34.83%)
153/191
(80.10%)
6792012706615
2010-11727/57
(47.36%)
10/30
(33.33%)
20/29
(68.97%)
104292891
2011-1240161/284
(56.69%)
64/206
(31.07%)
133/177
(75.14%)
6471692206816
2012-1332103/214
(48.13%)
72/215
(33.49%)
116/156
(74.36%)
5381791583710
2013-143595/196
(48.47%)
64/188
(34.04%)
68/89
(76.40%)
450161133553
2014-152531/83
(37.35%)
33/90
(36.67%)
37/44
(84.09%)
19089105385
2015-163563/141
(44.68%)
52/143
(36.36%)
37/55
(67.27%)
319151188593
WKBL 통산
(16시즌)
5451772/3675
(48.22%)
1014/2904
(34.92%)
1277/1633
(78.20%)
7,8632,2822,262843147


5. 여담[편집]



  • 은퇴 이후 3년간의 미국 지도자 연수를 마치고 국내로 들어와, 2019-20 시즌 부산MBC부산 BNK 썸 홈경기 중계방송 해설을 맡게 되었다.

  • 선배인 정선민과 더불어 아직 결혼을 안한 미혼자다.


6.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15:00:12에 나무위키 변연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큰 귀가 토끼같다고 하여[2] 참고로 WKBL great 12에 본의 아니게 뽑혀서 욕을 듣고 있는 욕받이 3인방이 있는데 신정자, 임영희, 박혜진이다. 유력한 후보였던 이종애, 김계령, 하은주의 탈락을 이해하지 못하겠다는 반응이 대부분.[3] 2019-20시즌은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시즌이 조기 종료됐고, 중단 시점의 순위를 최종 순위로 기록했다.[4] 여자농구는 저득점 경기가 간혹 나오면 40점대가 나오는데 그런 걸 보면 한 명이 5명분 득점을 했다고 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