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변재섭

덤프버전 :

변재섭의 역임 직책
||
[ 펼치기 · 접기 ]

초대2대3대4대5대
이강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2~1985)
김용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6~1988)
정종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8~1989)
조윤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9~1990)
최윤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1~1992)
6대7대8대9대10대
이광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3~1994)
허기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5~1997)
조정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8)
강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2000)
조성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
11대12대13대14대15대
김기동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2)
윤정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
김정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4)
김한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
변재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2006)
16대17대18대19대20대
김기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
이동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8)
조용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9)
김은중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2011)
최원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
21대22대23대24대25대
오승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
김호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
오반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2017)
권순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
박진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
26대27대28대29대30대
이창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2021)
주민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
김오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정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최영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31대32대33대34대35대
임채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



변재섭의 수상 이력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파일:K리그1 로고.svg
베스트팀

3 김연수 · 4 오반석 (C) · 5 이명주 (VC) 파일:부상 아이콘.svg · 6 문지환 파일:부상 아이콘.svg · 7 김도혁 · 8 신진호 파일:부상 아이콘.svg · 9 무고사 · 10 에르난데스
11 제르소 · 13 강윤구 · 14 정동윤 · 15 임형진 · 17 김준엽 · 20 델브리지 파일:부상 아이콘.svg · 21 이태희 · 23 민성준 · 25 김민석
26 박현빈 · 27 김보섭 · 28 민경현 · 29 김유성 · 30 최우진 · 33 김현서 · 35 하동선 · 37 홍시후 · 38 박진홍
40 음포쿠 파일:부상 아이콘.svg · 44 김건희 · 47 김동민 · 50 김대중 · 55 권한진 · 66 김세훈 · 77 박승호 · 99 천성훈 · # 김준범 · # 이준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조성환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변재섭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용호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재성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광석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이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달수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임중용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임대 선수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파일:F5FBA8DE-DFDD-4B97-90D4-C12AB33622E5.png
인천 유나이티드 FC 수석 코치
변재섭
Byun Jae-Sub
출생 1975년 9월 17일 (48세)
경상남도 창녕군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체 170cm, 63kg
직업 축구선수(공격수[1], 수비수[2] / 은퇴)
축구 감독
학력 영산초 - 마산중앙중 - 마산공고 - 전주대
등번호 11, 99, 9[3], 19[4]
소속 선수 전북 현대 다이노스-모터스 (1997~2003)
부천 SK/제주 유나이티드 FC (2004~2006)
전북 현대 모터스 (2007)
지도자 전주대학교 (2008~2011 / 코치)
광양제철고등학교 (2012~2014)
제주 유나이티드 FC (2015~2016 / 코치)
울산 현대 (2017~2020 / 코치)
신태인 FC U-18 (2022)
인천 유나이티드 FC (2023 / 코치)
인천 유나이티드 FC (2023~ / 수석 코치)[5]
국가대표4경기 1골 (대한민국 U-20 / 1995)[6]


1. 개요
2. 선수 경력
3. 지도자 경력
4. 플레이 스타일
5. 여담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축구 코치이다.


2. 선수 경력[편집]


프로 데뷔 이전부터 청소년 대표팀에 많이 출전하여 좋은 활약을 펼쳤다.

1997년 전북 현대 다이노스에서 데뷔하여 빼어난 활약과 빠른 스피드로 FA컵 우승에 기여했다. 1999년에는 8개의 도움으로 K리그 도움왕에 오르는 등 주축으로 도약하였으며 당시 하위권을 맴돌던 전북의 위안거리가 되었다.

2000년 FA컵 우승팀 자격으로 출전한 2001-02 아시안 컵 위너스컵에서 8강, 4강 충칭 리판전에 출전하여 전북의 준우승에 크게 기여하였다.[7]

2004년에 부천 SK로 이적한 뒤 주장을[8] 맡아 풀백으로 변신하며 2006년까지 팀을 이끌어 FA컵 준우승을 해 팀의 에이스로 발돋움했다.[9]

이후 최철우와 함께 3대2 트레이드를 통해 친정팀으로 돌아왔고, 2007년 말 전북 현대 모터스에서 은퇴하였다.


3. 지도자 경력[편집]


은퇴 후 모교 전주대학교 코치를 거쳐 광양제철고등학교 감독 시절에는 백운기 우승, 준우승을 기록했다.

친정팀 제주 유나이티드 FC에선 전북 시절 함께 선수로 뛰었던 조성환 감독을 보좌하며 AFC 챔피언스 리그 진출과 리그 3위에 기여했다.

2017년부터는 전북 시절 연이 있던 김도훈 감독과 함께 울산 현대 코칭스탭으로 넘어가 2020년까지 울산 현대 축구단 코치를 맡았다. 2017 FA컵 우승과 2020 ACL 우승을 함께 했다.

2022년부터는 전북 정읍 신태인 축구센터 U-18 팀 감독을 맡아 창단 최초 백록기 8강 진출을 이끌었다.

2023년을 앞두고 인천 유나이티드 코치로 합류한다. 이로써 조성환 감독과 선수 시절 전북에서, 지도자로서 제주에서 한솥밥을 먹은 이후 7년 만에 재회하게 됐다.

4. 플레이 스타일[편집]


빠른 발과 드리블로 상대방 진영을 휘졌고 다니는데 매우 능했으며, 선수 시절 막바지에는 오른쪽 풀백으로 전환해 뛰었다.


5. 여담[편집]


  • 전북 현대 소속이던 2001년 울산과의 경기에서 하프타임에 결혼식을 올렸다. 이 날 출전 명단에는 없었지만, 공을 차서 대형 풍선을 맞혀 터뜨리면 그 뒤에 있던 신부가 입장하는 등 구단에서 꽤나 준비를 많이 한 이벤트였던 듯.

  • 피파 온라인 3에 K리그 더 클래식 레전드에 추가된다는 소식이 들려 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15:26:26에 나무위키 변재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윙어[2] 윙백[3] 1999 시즌에 이 등번호를 달고 뛰었고 그 해 K리그 도움왕을 수상했다.[4] 자신의 현역 마지막 시즌이었던 2007 시즌 친정팀인 전북 현대로 복귀하여 이 등번호를 달고 뛰었다. [5] 인사 개편을 통해 수석코치로 승진했다.[6] 주장을 역임했다.[7] 통산 94경기 출전 9골[8] 부천 SK의 마지막 주장이자 제주 유나이티드의 첫번째 주장이다.[9] 통산 49경기 출전 4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