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볼트(애니메이션)

덤프버전 :



볼트 (2008)
Bolt
파일:bolt.jpg
디즈니 장편 애니메이션
로빈슨 가족볼트공주와 개구리
장르애니메이션, 코미디, 어드벤처, 가족
감독크리스 윌리엄스, 바이런 하워드
제작클라크 스펜서
각본댄 포겔만, 크리스 윌리엄스
음악존 파웰
출연존 트라볼타, 마일리 사이러스
제작사파일:미국 국기.svg 월트 디즈니 픽처스
파일:미국 국기.svg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배급사파일:미국 국기.svg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스 모션 픽처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소니 픽쳐스 릴리징 브에나 비스타 영화
수입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소니 픽쳐스 릴리징 브에나 비스타 영화
스트리밍파일:Disney+ 로고.svg[[파일:Disney+ 로고 화이트.svg
개봉일파일:미국 국기.svg 2008년 11월 21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8년 12월 31일
상영 시간96분
제작비$150,000,000
북미 박스오피스$114,053,579
월드 박스오피스$309,979,994
대한민국 총 관객수757,337명
상영 등급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초기.svg 전체 관람가

1. 개요
2. 예고편
3. 시놉시스
4. 등장인물
5. 평가
6. 사운드트랙
7. 게임
8. 기타



1. 개요[편집]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의 48번째 애니메이션. 헐리우드 촬영장의 영웅 배우견 '볼트'가 우연한 이유로 촬영장을 떠나 실제 모험을 하게 된다는 이야기로, 수익은 3억 달러를 조금 넘겼다.

본격적인 디즈니 3D 애니메이션의 시작을 알리는 기념비적인 작품이다. 이전에도 다이너소어, 치킨 리틀, 로빈슨 가족 등 세 편의 3D 애니메이션을 제작했지만 당시는 전반적으로 3D 애니메이션의 과도기였다. 다이너소어의 경우 시범적으로 제작한 탓에 다이너소어 이후에도 여러 편의 2D 애니메이션들을 제작했고 치킨 리틀과 로빈슨 가족은 다이너소어 이후 5년 만에 다시 제작하는 3D 애니메이션이라 사실상 3D 애니메이션 제작의 첫 걸음어서인지 평가도 그저 그랬고 두 작품 모두 개봉 시기도 좋지 않아 흥행이 안 좋았다. 더불어 2006년 1월 디즈니의 픽사 인수 직후인 이 작품부터 픽사의 총괄 제작을 담당하는 존 라세터가 디즈니 애니메이션 제작에도 참여하기 시작했다. 이때 볼트의 원래 감독이자 각본가 크리스 샌더스가 다른 사람으로 교체되었는데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크리스 샌더스 문서 참고.


2. 예고편[편집]





3. 시놉시스[편집]


슈퍼독 ‘볼트’는 온갖 모험과 위험으로 가득 찬 흥미 진진한 하루 하루를 보낸다. 단, 그가 카메라 앞에 있는 순간까지만!

최고의 TV스타 볼트가 어느 날 우연히 헐리우드 촬영장을 떠나 머나먼 뉴욕까지 오게 되면서 견생(犬生) 최대의 도전이 시작된다.

그의 주인이자 연기 파트너인 ‘페니’에게 돌아가려면, 미국 대륙을 가로질러야만 하니까!

믿을 거라곤 TV 속 멋진 전투 기술과 초능력밖에 없는데 그마저도 볼트의 착각일 뿐, 그가 뛰어든 현실 세상에선 무용지물이다.

그래도 다행인지 불행인지, 볼트는 심상치 않은 동지들을 만나게 된다. 왕년에 사랑 받던 고양이였지만 지금은 버림받고 좀 까칠해진 ‘미튼스’,

엄청난 TV 매니아이자 볼트의 열혈 팬인 햄스터 ‘라이노’ 가 바로 그들.

그리고 이 어설픈 두 친구와 함께하는 우리의 액션 영웅 볼트의 완전 ‘리얼 액션 어드벤처'가 시작된다!



4. 등장인물[편집]


흰색 저먼 셰퍼드로, 주인 페니와 함께 TV 시리즈에 출연해 인기가 많다. 감독이 몰입감을 위해 볼트를 세트장에서만 키워 본인이 연기하는 프로그램을 현실과 구분하지 못한다. 같이 촬영하는 고양이들과는 원수 지간이라 현실의 고양이도 싫어한다.

1995년생으로 볼트의 주인이다. 아역 배우로 활동해 볼트와 함께 TV 시리즈에 출연한다.

  • 미튼스 역 - 수지 에스먼 / 정미숙
턱시도 무늬 고양이로 주인이 있는 볼트와 달리 길고양이이다.[1] 초면에 뜬금없이 자신을 끌고 온 볼트를 미친 개 취급했지만 나중엔 정이 들어 함께 살 집까지 준비한다.

  • 라이노 역 - 마크 월튼 / 장광
햄스터로 햄스터볼 안에 담긴 채로 다닌다. TV 시청이 취미로 볼트의 광팬이다.

볼트가 촬영하는 TV 시리즈 속의 악당이다. 볼트와 고양이들에겐 초록눈 인간이라고 불린다.


  • 에이전트 역 - 그렉 저먼 / 설영범

  • 민디 파커 역 - 카리 왈그렌 / 안경진


세 마리의 비둘기(솔, 테드, 루이) 중 하나이다. 항상 미튼스에게 먹을 것을 바치는 신세이다.

TV 시리즈 속 볼트에게 차가 뒤집혀 버린 선글라스를 낀 남성이다.

  • 칼리코 박사의 고양이 1 역 - 김준
칼리코 박사의 애완묘 역할인 날씬한 검은 고양이다. 볼트와는 다르게 촬영임을 알아 항상 볼트를 놀려먹는다.

  • 칼리코 박사의 고양이 2 역 - 서문석
칼리코 박사의 애완묘 역할인 뚱뚱하고 하얀 고양이로 다소 허당인 면이 있다.



5. 평가[편집]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
20XX-XX-XX 기준
)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47411|
기자·평론가
6.78 / 10
관람객
없음 / 10
네티즌
9.04 / 10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

기자·평론가
6.78 / 10
관람객
없음 / 10
네티즌
9.04 / 10
]]
평점 없음 / 10







파일:다음 로고.svg
평점 9.0 / 10





파일:CGV 로고 화이트.svg
지수 없음%





파일:라프텔 로고 화이트.svg
별점 3.5 / 5.0





타잔 이후 오래도록 고배만 마신 디즈니의 암흑기를 끝낸 작품이다. 순수 디즈니 제작 애니메이션으로는 정말 오랜만에 평론가들의 호의적인 평가를 받는데 성공했다.[2] 흥행은 그저 그랬지만, 괜찮은 유머와 신선한 스토리는[3] 꾸준히 재평가를 받았다. 디즈니 리바이벌의 시작이 이 작품인지, 아니면 공주와 개구리 또는 라푼젤인지는 지금도 꽤 논란이 있다.


6. 사운드트랙[편집]


I Thought I Lost You

존 트라볼타마일리 사이러스가 부른 I Thought I Lost You가 영화 홍보차 프로모셔널 싱글로 발매했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볼트를 잃어버린 페니가 볼트와 재회한 뒤 부르는 노래다.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골든글로브 시상식에서 사운드트랙상 후보로 올랐지만, 수상하지는 못했다.

이외 'Barking at the moon'(달을 보고 짖네)은 가수 제니 루이스(Jenny Lewis)가 불렀으며, 한국어 더빙에서는 가수 박새별이 불렀다.[4]


7. 게임[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olt_VG_Boxart.jpg

영화 기반 게임으로 PC, Wii, PS2, PS3, Xbox 360, 닌텐도 DS로 출시했다. 납치된 페니의 아빠를 구출하기 위한 볼트와 페니의 모험이 주가 된다. 정확히는, 이러한 모험을 다룬 DVD를 라이노가 본다는 설정. 이 탓인지, 엔딩도 진행 중간에 자른 것처럼 깔끔하게 끝나지 않는다. 한글화 및 정발 모두 이루어지지 않았다.

PC판의 경우 시대에 뒤떨어지는 최악의 발이식으로 유명한데, 콘솔판에서 수정을 거의 하지 않은 채 단축키 변경/해상도 변경[5] 같은 극히 일부 설정만을 추가한 채 출시했다. 거기에 콘솔의 아날로그 스틱과 키보드의 방향키 조작의 차이점을 전혀 고려하지 않아 일부 구간의 난이도가 지나치게 높아진 단점이 있다.


8. 기타[편집]










[1] 원래는 집고양이였으나, 어느 날 주인이 이사를 가면서 미튼스를 버리고 떠나 이때의 기억이 큰 트라우마가 되었다.[2] 우스갯소리가 아니라 2000년부터 2007년까지 개봉한 디즈니 애니메이션 중 흥행과 비평 양쪽에서 모두 성공을 거둔 작품은 릴로 & 스티치 단 한 편 밖에 없을 정도로 매우 암울한 시기였다.[3] 일반적인 동물 주인공 액션 애니메이션을 비틀어 메타픽션적인 재해석과 익숙한 가족주의적 테마를 대안가족으로 재해석해 결합한 게 참신하다는 평이 많다. 다만 미국적인 정서와 소재에 기댄게 있어 외국 관객은 온전히 즐기기 어렵다는 얘기도 있다.[4] 박새별은 이후 라푼젤에서 라푼젤의 노래를 담당하게 된다.[5] 800x600, 1024x768 두 해상도만 지원한다.[6] 볼트부터 작품성이 올라가기 시작하면서 암흑기를 탈출했다고는 할 수 있지만 디즈니 르네상스와 비견될 정도로 폭발적인 반응을 불러오지는 못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르네상스와 리바이벌을 비교할 때는 라푼젤 혹은 공주와 개구리를 시작점으로 보는 시각도 많다. 1980년대의 명탐정 바실, 올리버와 친구들과 비슷한 위치라고 볼 수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볼트
볼트
문서의 r108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1:41:05에 나무위키 볼트(애니메이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