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부산 버스 해운대9

덤프버전 :

이 문서는 현재 운행이 중단된 노선을 다룹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도로, 철도, 버스, 항공, 선박 등의 노선은 현재 무기한 또는 특정 기간에 한하여 운행이 중단되었습니다.


||
급행
좌석
일반
마을
심야
기장
[ 펼치기 · 접기 ]



파일:부일해운대9번_뉴비미디.pn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3.1. 구.해운대9번, 해운대9-1번
4. 특징
4.1. 전구간 주행영상
4.2. 노선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마을버스 해운대9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해운대9 노선도.svg
기점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시랑리(힐튼호텔입구.동암마을후문)종점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해운대도시철도역)
종점
첫차06:00기점
첫차06:35
막차21:20막차21:45
평일배차70분주말배차70분
운수사명부일여객인가대수1대
노선힐튼호텔입구.동암마을후문 - 해동용궁사 - 동부산프리미엄아울렛 - 송정해수욕장 - 송정터널 - 부흥고·해운대백병원 - 장산역 - 이마트·중동역 - 해운대도시철도역


2. 개요[편집]


부일여객에서 운행했던 마을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17.5km였다.


3. 역사[편집]


  • 2014년 12월 27일에 동부산관광단지 관광객 수요를 분담하기 위해 해운대7번에서 분리신설되었다. 차량은 해운대7번과 8번에서 1대씩 감차되었다.


  • 2021년 2월 6일 해운대7번의 노선이 대폭 변경 되면서 이 노선의 정규차 1대가 해운대7번으로 넘어가 1대로 운행하게 되었다.

  • 2023년 7월 20일부터 부일여객이 이 노선에서 철수하면서 운행이 중단되었다. 유일한 운행 차량 1대는 태성여객에 양도된 후 현대 그린시티로 대차되어 금정3번에서 운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실상 폐선된 것과 다름없는 상태가 되었다. 대신 동남여객이 운행 하는 타바라가 오시리아 구간을 대신 운행한다.

3.1. 구.해운대9번, 해운대9-1번[편집]


  • 해운대7번과 해운대8번 신시가지 순환버스 노선처럼 해운대9번과 해운대9-1번 순환버스가 존재했었다. 부일여객에서 운행을 했으나 수요저조로 한동안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다시 운행이 재개되었다. 마지막 운행했던 노선은 이마트 - 중동역 - 장산역 - 북좌동 - 대천공원 구간을 운행했으나 수요가 없어 결국 폐선되었다.


4. 특징[편집]


  • 해운대구마을버스 중 유일하게 송정동 및 기장군까지 가는 노선이었다.[1]

  • 40번이 단독으로 경유하는 우1동 안동네를 공동으로 분담하기 위해서 신설된 노선이었으나, 2017년에 이 구간은 폐지되었다.

  • 인가대수가 한 대 뿐이라 배차간격이 상당히 길었고 '동부산관광단지~장산역' 구간은 185번이 있어 수요가 매우 적었다. 당연한 것이 이 노선은 배차간격이 1시간이 넘는 반면에 185번은 못해도 배차간격이 25분이라 이 노선 보다 더 자주 오기 때문이다. 그래서 신도시시장 쪽에서도 한 두명만 태운 채 지나가는 일이 허다하다. 승무원 증언으로 신설된지 3년이 지났는데도 수요증가가 거의 없었다고 한다. 승무원이 정류장에 일일이 서서 다른 노선을 기다리고 있는 승객들한테 혹시 장산역에 안 가냐며 호객행위를 하는 경우가 실제로 있었다.

  • 2대로 운행했을 당시, 배차간격을 최대한 좁히려는지 1시간 2회(30분) 간격으로 최대한 시간표를 채웠었다.

  • 그래도 장점은 있었는데 특히 송정해수욕장을 경유하는 다른 노선들이 해운대신시가지 모서리를 빙 둘러다니는데 비해 2호선 해운대-중동-장산 구간에서 곧바로 송정터널로 연계된다는 점은 큰 장점이었다. 해운대에서 송정으로 이동한다면, 타이밍만 잘 맞으면 오히려 이쪽을 이용하는게 더 쾌적하고 빨랐었다.

  • 해동용궁사 쪽이 종점이라 주말이나 피서철에는 관광객들이 많이 몰리는 편이었다.

  • 용궁사까지 제일 빠르게 이어줬지만 배차간격이 70분인 관계로 이 노선을 기다리는 것보다 다른 노선들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해운대역에서 출발한다면 1001번이 제일 빠르며, 그 다음으로 100번과 181번이 있다.(181번은 북좌동, 100번은 남좌동을 경유한다) 장산역에서 출발하는 경우 185번을 이용하는 것도 좋다.

  • 현재 지도 앱에서 노선 정보가 삭제된 상태이다.

4.1. 전구간 주행영상[편집]




운행중단 1개월 전에 촬영된 영상이다.

4.2. 노선[편집]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마을버스 해운대9번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해운대로
부흥고등학교 해운대백병원 ▼▲ 화목아파트
좌동순환로
▲ 부흥고.해운대백병원
좌동로
송정1단지주공 ▼
해운대로
송정 ▼▲ 송정1단지주공
송정중앙로
공수 ▼▲ 송정해수욕장
기장해안로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5:18:21에 나무위키 부산 버스 해운대9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해운대구 乙지역과 기장군마을버스를 포함하면 부산 버스 기장11이 있으며 한때 해운대11번이었던 노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