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북삼읍

덤프버전 :

||


칠곡군
북삼읍
北三邑 | Buksam-eup
광역자치단체경상북도
기초자치단체칠곡군
행정표준코드5220045
관할 법정리6리
하위 행정구역35행정리 279반
면적36.73㎢
인구23,967명[1]
인구밀도652.52명/㎢
정치
[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 고령군·성주군·칠곡군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정희용 (초선)
경상북도의원 | 제2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박순범 (재선)
칠곡군의원 | 다 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태희 (초선)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오용만 (초선)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창훈 (재선)

행정복지센터인평1길 6 (인평리 365-1)
북삼읍사무소
1. 개요
2. 주요 시설
2.1. 주거
2.2. 교육
2.2.1. 초등학교
2.2.2. 중학교
2.2.3. 고등학교
3. 교통
3.1. 버스
3.2. 철도


1. 개요[편집]


경상북도 칠곡군.

구미시 오태동과 연담화되어 있어[2], 오래 전부터 석적읍과 더불어 구미시 편입을 주장하고 있다. 오태동의 어느 아파트는 북삼읍과 행정구역이 분할되어 있어 여러 면에서 불편한 점이 많다. 심지어 엘리베이터를 기준으로 나뉘어 왼쪽 집은 구미시, 오른쪽 집은 칠곡군. 동장도 2명, 이장도 2명이며, 한 쪽 아이는 구미시 학교를 다니고 다른 쪽 아이는 칠곡군 학교를 다닌다. 오태초등학교도 구미시칠곡군의 경계라서 둘다 오태초등학교 다닐 수도 있다. 석적읍도 마찬가지인 상황이지만, 적어도 주거지역 내에서 기초자치단체가 갈리진 않는다.

숭오리에 금오산도립공원이 있다. 서쪽으로는 김천시 남면과 접하며, 금오산을 통해 북삼읍에서 김천시경부고속선이 통과하고 4번 국도를 통해서도 북삼읍과 김천시 남면이 만난다. 성주군 초전면, 월항면과도 접하고 있으나 영암산과 선석산에 가로 막혀 도로는 없으며 사람이 다니는 등산로만 있다. 향후 대구권 광역철도북삼역이 신설되기로 결정되었다.


2. 주요 시설[편집]



2.1. 주거[편집]


단지명세대수입주건설사
숭오대동타운2231995년 8월대동
숭오화진금봉타운1차1921995년 12월화진종합건설
동부늘푸른타운3241995년 12월동부건설
금오현대5741996년 3월현대건설
숭오화진금봉타운2차1421996년 6월화진종합건설
인평화성타운2541996년 12월화성산업
인평숭오 시티타운1511997년 11월도시주택건설
오태지구 현진에버빌1511999년 5월현진건설
숭오용우1502000년 8월용우주택건설
칠곡로얄아파트1852000년 8월로얄(주)
미림힐타운1차192002년 5월미정
숭오화성파크5272002년 11월화성산업
백산그랜드182006년 11월백산종합건설
세광에비앙272016년 9월대가건설
칠곡북삼 서희스타힐스9992020년 9월서희건설
칠곡북삼 휴먼시아3262021년 3월한국토지주택공사


2.2. 교육[편집]



2.2.1. 초등학교[편집]


  • 북삼초등학교
  • 북삼초등학교 오평분교
  • 숭산초등학교
  • 인평초등학교

2.2.2. 중학교[편집]


  • 북삼중학교
  • 인평중학교

2.2.3. 고등학교[편집]


  • 북삼고등학교

3. 교통[편집]



3.1. 버스[편집]


석적읍과 마찬가지로 생활권이 사실상 구미 생활권이라 칠곡군 농어촌버스보다 구미시 시내버스가 더 많이 다닌다. 단, 칠곡에서 김천으로 가는 길목에도 위치하고 있는 만큼 김천시내버스도 다니며, 밤 1회는 직지사 까지 간다.

3.2. 철도[편집]


경부선경부고속선이 지나지만 중간 정차역은 없다. 2021년 기준 여객 영업 중인 가장 가까운 역은 약목면약목역구미시구미역. 그러나 율리에 2023년 개통을 목표로 대구권 광역철도 북삼역이 공사 중이기 때문에 향후 교통 여건이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
여담으로, 북삼읍에는 일진이 굉장히 많다. 이는 왜관에서도 자주 보이는 현상인데, 발달이 덜 된 시 혹은 군에서 많이들 보이는 현상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6:25:58에 나무위키 북삼읍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23년 6월 주민등록인구[2] 오태동(1983년 구미 편입)과 공단동 남부(옛 낙계동, 1973년 구미 편입)도 원래 북삼면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