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뽀로로 극장판 보물섬 대모험

덤프버전 :



뽀로로 극장판 보물섬 대모험 (2019)
Pororo: Treasure Island Adventure
파일:pororo 5 movie.jpg
장르애니메이션, 모험
감독김현호, 윤창섭
각본이원식
원작뽀롱뽀롱 뽀로로
제작김일호
주연이선, 이미자, 김현지, 홍소영, 정미숙, 김환진, 김서영
음악김정아
주제곡우리의 꿈을 찾아서
제작사파일:오콘 로고.svg
배급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
개봉일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년 4월 25일
파일:러시아 국기.svg 2020년 10월 8일
상영 시간79분 22초[1]
제작비36~40억 원 추정
월드 박스오피스$4,691,794 (최종 기준)
대한민국 총 관객 수772,865명 (2023년 9월 27일 기준)
국내 스트리밍파일:TVING 아이콘.svg
공식 홈페이지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상영등급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초기.svg 전체 관람가

1. 개요
2. 예고편
3. 시놉시스
4. 등장인물
5. 줄거리
6. 평가
7. 흥행
7.2. 기타 국가
8. 기타



1. 개요[편집]


2019년 제작된 한국 영화. 애니메이션 영화로, 뽀롱뽀롱 뽀로로극장판이다.
같은날에 개봉했던 마블 어밴져스 엔드게임과 붙은 화제작.
뽀로로 극장판 시리즈 중에 작품성과 재미에 있어서 가장 높은 평점을 받은 작품이다.

2. 예고편[편집]





3. 시놉시스[편집]



떠나자, 보물섬으로~!
뽀로로와 친구들의 스펙터클 보물찾기 어드벤처!

전설 속 보물을 찾아 떠난 뽀로로와 친구들은
우연히 손에 넣은 지도를 따라 신비의 보물섬에 도착한다.

그곳에서 사라진 실버 선장을 만나
비밀을 간직한 보물섬의 수수께끼를 풀어내지만,
악당 블랙 선장과 보물섬의 괴물로 인해 위기에 빠지는데...

과연 뽀로로와 친구들은 전설의 보물을 찾을 수 있을까?


4. 등장인물[편집]


  • 이선 : 뽀로로 역
  • 이미자 : 크롱 역
  • 김현지 : 에디/제니 역
  • 홍소영 : 루피 역
  • 정미숙 : 패티 역
  • 김서영 : 해리/햄스터 역
  • 김환진 : 포비 역
  • 남도형 : 실버/불독 역
  • 정승욱 : 블랙 역
  • 이장원[2] : 오리상인 역




5. 줄거리[편집]


실버 해적단의 선장인 실버는 보물지도를 노리는 블랙 해적단에게서 보물지도를 지켜내는데 성공하나, 폭풍우에 휘말려 행방불명되고만다. 이 이야기를 책을 통해 읽게된 뽀로로와 친구들은 보물을 찾으러 실버 해적단의 남은 단원들이 실버가 행방불명이 되어버린 사이 블랙에게 직원으로 착취당하고있던 해적 식당을 찾아가고, 그 과정에서 오리상인에게서 보물지도와 해적 장신구를 사고서 들어간다.[3] 해적 식당에 들어간 뽀로로와 친구들은 주문을 받는 실버 해적단의 제니 앞에서 오리상인에게서 산 보물지도를 보여주며 보물을 찾으러 갈것이라고 자신만만해하지만, 제니와 해적 식당의 손님들은 수많은 가짜 보물지도들을 화장실 휴지 대신 쓰고있을 정도였기때문에 뽀로로가 가진 보물지도 역시 가짜라고 여긴다. 그런데 이 지도에 실버의 발자국이 찍혀있었기에 가짜가 아닌 실버의 진짜 보물지도임이 밝혀지며 뽀로로 일행과 블랙 해적단의 추격전이 시작되고, 추격전을 벌이던 와중에 폭풍우를 만나 어느 무인도에 난파된다.

섬에서도 추격전은 계속되고, 이 섬에서 행방불명이었던 실버도 생존이 확인됨과 동시에[4] 뽀로로와 친구들이 보물 지도 속 보물섬에 난파되었단 것도 밝혀진다. 그렇게 보물지도를 둔 블랙 해적단과의 쟁탈전도 심화되는 한편 보물지도 속 퍼즐을 풀어가며 보물이 숨겨진 피라미드를 찾아내는 것까지 성공한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블랙에 의해 실버가 절벽에서 떨어지며 다시 행방불명되고말고, 설상가상으로 보물지도를 지키다가 에디가 위치 추적기를 떨어뜨리는 바람에 그것을 주운 블랙이 피라미드까지 따라오는데 성공하고만다. 결국 뽀로로와 친구들은 블랙 일당에게 붙잡혀 포박당하고 보물들도 블랙 일당에게 넘어갈 위기에 처하게된다.

블랙이 보물을 챙기고 떠나려던 찰나, 보물을 지키기위해 크라켄이 나타나 블랙 해적단은 물론이고 뽀로로 일행까지 공격하는데, 실버가 기적적으로 돌아와[5] 소라검을 들고서 크라켄을 상대한다. 하지만 실버는 크라켄과 대결을 벌이다 손바닥에 상처가 나 소라검을 쓸수없게되고, 이에 작전을 하나 생각해낸다. 그 작전은 천장에 있던 샹들리에를 소라검으로 끊어내 크라켄의 머리 위에 떨어뜨리는 것. 이를 위해 뽀로로에게 소라검을 맡긴다. 뽀로로는 처음에는 주저했으나 진정한 해적은 결코 물러서지 않는 법이라는 실버의 격려에 마음을 다지고 수락하여 작전을 성공시키고, 크라켄도 물리치는데 성공한다.[6] 크라켄이 사라지자 피라미드가 무너지기 시작하는데, 탈출에 성공한 다른 인원들과 달리 블랙은 그 와중에도 절벽에 매달려 보물을 갖는데에 집착하다 결국 구멍 속으로 빠지며 탈출하지 못한다. 뽀로로와 친구들, 실버, 남은 블랙의 부하들은 폭풍우를 뚫고 섬을 탈출하는데 성공하고 실버는 해적 식당에서 해어졌던 자신의 단원들과 재회한다. 뽀로로와 친구들은 보물을 가지지못해 아쉬워하나, 실버는 진정한 해적이 노려야 할 것은 보물 뿐만이 아니며 뽀로로 일행이 이미 보물을 찾은 것 같다며 그들을 격려하고 뽀로로를 해적으로 인정한다는 의미로 뽀로로에게 자신의 모자를 씌워준다. 그리고 뽀로로와 친구들은 실버 해적단과 함께 다시 항해를 떠나게되고, 섬에 혼자 남게되어 가장 좋은 보물을 가졌는데도 행복하지않다고 푸념하는 블랙의 모습을 보여주며 영화가 끝난다.[7]

6. 평가[편집]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
20XX-XX-XX 기준
)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83136|
기자·평론가
7.00 / 10
관람객
9.39 / 10
네티즌
9.30 / 10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

기자·평론가
7.00 / 10
관람객
9.39 / 10
네티즌
9.30 / 10
]]
평점 9.39 / 10







파일:다음 로고.svg
평점 7.3 / 10





파일:CGV 로고 화이트.svg
지수 98%





파일:라프텔 로고 화이트.svg
별점 없음 / 5.0






6.1. 영화 평론가[편집]


육아의 신 ‘뽀통령’의 귀환

- 김성훈 (씨네21) (★★★★)


진정한 한국 애니메이션의 보물

지금까지 개봉한 네 편의 <뽀로로 극장판>은 겨울방학 성수기를 공략했다. 다섯 번째 시리즈는 처음으로 5월 어린이날/가정의 달을 목표로 한다. 넘실거리는 바다와 해적선이 등장하니 시기적절한 선택이다. 기존의 ‘대모험’들과 형식은 비슷하다. 아이들이 좋아할 수밖에 없는 소재를 맛보기로 소개하고, 뽀로로와 친구들이 새로운 캐릭터를 만나 모험에 뛰어들고, 힘을 합쳐 미션을 완료한다. 신나는 음악과 군무가 어김없이 등장해 흥을 돋운다. 익숙한 얼개를 알차게 채워 재미를 주는 시리즈인 만큼, 해적 옷을 입고 귀여움이 더 강력해진 뽀로로와 친구들이 보람찬 모험을 약속한다.

- 정유미 (맥스무비) (★★★☆)


눈치 보지 않고 할 일 하는 (아동 애니계) 왕자의 위엄

경쟁자들의 끊임없는 도전에도 여전히 장기집권 중엔 뽀통령, <뽀롱뽀롱 뽀로로>의 다섯 번째 극장판. 시장 상황이나 유행에 눈치 보지 않고 왕자의 길을 간다. 시리즈 중에서도 덩치가 꽤 큰 편이라 볼거리가 충분하다. 특히 각 캐릭터의 매력 골고루 살려주는 방식이 영리하다. 다섯 번의 극장판을 통해 쌓아온 노하우가 충분히 발휘되는 느낌. 교훈부터 자잘한 재미까지 안정감 있는, 잘 기획된 상품. 이렇게 특정 관객에 확실히 타깃팅 된 영화들에 별점은 의미 없다.

- 송경원 (씨네21) (★★★)



7. 흥행[편집]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국가개봉일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기준일
전 세계2019년 4월 25일$4,854,4182019년 5월 19일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러시아2020년 10월 8일$32,720
대한민국2019년 4월 25일$4,854,4182019년 5월 19일


7.1. 대한민국[편집]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주차날짜일일 관람 인원주간 합계 인원순위일일 매출액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2,320명2,320명미집계19,644,000원19,644,000원
1주차2019-04-25. 1일차(목)16,260명-명2위113,249,440원-원
2019-04-26. 2일차(금)15,951명2위127,026,520원
2019-04-27. 3일차(토)117,772명2위921,076,650원
2019-04-28. 4일차(일)122,713명2위963,244,570원
2019-04-29. 5일차(월)9,647명2위70,392,930원
2019-04-30. 6일차(화)10,717명2위76,622,990원
2019-05-01. 7일차(수)102,381명3위730,599,150원
2주차2019-05-02. 8일차(목)10,470명-명3위71,685,560원-원
2019-05-03. 9일차(금)15,950명3위110,202,320원
2019-05-04. 10일차(토)75,621명3위597,767,930원
2019-05-05. 11일차(일)80,488명3위645,095,310원
2019-05-06. 12일차(월)79,305명3위623,569,740원
2019-05-07. 13일차(화)6,021명4위42,602,160원
2019-05-08. 14일차(수)3,466명5위24,867,080원
3주차2019-05-09. 15일차(목)3,007명-명8위20,069,000원-원
2019-05-10. 16일차(금)3,397명6위24,128,520원
2019-05-11. 17일차(토)23,282명5위182,937,110원
2019-05-12. 18일차(일)22,655명5위178,619,920원
2019-05-13. 19일차(월)1,579명7위11,191,980원
2019-05-14. 20일차(화)1,972명7위13,665,300원
2019-05-15. 21일차(수)1,391명8위9,509,400원
4주차2019-05-16. 22일차(목)913명-명12위6,015,560원-원
2019-05-17. 23일차(금)1,342명11위9,312,610원
2019-05-18. 24일차(토)11,053명7위87,808,400원
2019-05-19. 25일차(일)12,835명7위103,134,900원
2019-05-20. 26일차(월)702명12위4,830,480원
2019-05-21. 27일차(화)520명16위3,700,800원
2019-05-22. 28일차(수)672명13위4,421,700원
5주차2019-05-23. 29일차(목)218명-명27위1,474,500원-원
2019-05-24. 30일차(금)484명20위3,243,300원
2019-05-25. 31일차(토)2,770명11위22,208,910원
2019-05-26. 32일차(일)2,703명13위22,064,540원
2019-05-27. 33일차(월)185명27위1,368,200원
2019-05-28. 34일차(화)274명29위1,793,080원
2019-05-29. 35일차(수)294명27위1,646,500원
6주차2019-05-30. 36일차(목)227명-명31위1,401,100원-원
2019-05-31. 37일차(금)151명31위964,480원
2019-06-01. 38일차(토)611명18위4,828,200원
2019-06-02. 39일차(일)-명-위-원
2019-06-03. 40일차(월)-명-위-원
2019-06-04. 41일차(화)-명-위-원
2019-06-05. 42일차(수)-명-위-원
7주차2019-06-06. 43일차(목)-명-명-위-원-원
2019-06-07. 44일차(금)-명-위-원
2019-06-08. 45일차(토)-명-위-원
2019-06-09. 46일차(일)-명-위-원
2019-06-10. 47일차(월)-명-위-원
2019-06-11. 48일차(화)-명-위-원
2019-06-12. 49일차(수)-명-위-원
합계 누적관객수 762,319명, 누적매출액 5,857,984,840원[8]

한국 애니메이션 영화 역대 한국 박스오피스 순위
(2023년 12월 28일 기준)
단위: 명, 전국단위 박스오피스 집계 순위
(전국단위 관객 수 없는 작품 제외), 20만 명 이상.
순위작품명제작년도배급사전국 관객 수비고
1위마당을 나온 암탉2011년롯데엔터테인먼트2,204,870명
2위점박이: 한반도의 공룡 3D2012년CJ ENM MOVIE1,051,710명
3위뽀로로 극장판 슈퍼썰매 대모험2013년CJ ENM MOVIE931,953명한국/중국 합작
4위신비아파트 극장판 하늘도깨비 대 요르문간드2019년CJ ENM MOVIE894,826명
5위극장판 헬로카봇: 백악기 시대2018년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880,776명
6위뽀로로 극장판 공룡섬 대모험2017년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827,338명
7위레드슈즈2019년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817,729명
8위뽀로로 극장판 보물섬 대모험2019년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768,412명
9위신비아파트: 금빛 도깨비와 비밀의 동굴2018년CJ ENM MOVIE678,264명
10위극장판 헬로카봇: 달나라를 구해줘!2019년롯데엔터테인먼트591,106명
11위극장판 헬로카봇: 옴파로스 섬의 비밀2018년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575,362명
12위점박이 한반도의 공룡 2: 새로운 낙원2018년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550,145명
13위넛잡: 땅콩 도둑들2013년싸이더스479,280명한국/캐나다/미국/중국 합작
14위천년여우 여우비2007년CJ ENM MOVIE460,925명
15위뽀로로 극장판 드래곤캐슬 대모험2022년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447,777명
16위뽀로로 극장판 컴퓨터 왕국 대모험2014년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446,054명
17위신비아파트 극장판 차원도깨비와 7개의 세계2022년CJ ENM MOVIE431,855명
18위터닝메카드 W: 블랙미러의 부활2017년키다리이엔티430,013명
19위넛잡 22017년롯데엔터테인먼트411,787명한국/캐나다/미국/중국 합작
20위극장판 공룡메카드: 타이니소어의 섬2018년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410,274명
21위뽀로로 극장판 슈퍼스타 대모험2023년CGV292,579명
21위다이노 타임2012년CJ ENM MOVIE285,084명
22위극장판 안녕 자두야2016년CJ ENM MOVIE280,539명
24위파이스토리2006년CJ ENM MOVIE267,588명한국/미국 합작
25위파이스토리 : 악당상어 소탕작전2012년SBS 콘텐츠허브267,440명한국/미국 합작
26위뽀로로 극장판 눈요정 마을 대모험2014년윌리코키258,909명
27위극장판 헬로카봇: 수상한 마술단의 비밀2022년롯데엔터테인먼트228,380명
28위극장판 뽀로로와 친구들: 바이러스를 없애줘!2022년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216,127명
29위코알라 키드: 영웅의 탄생2012년롯데엔터테인먼트206,528명한국/미국 합작
30위안녕, 티라노: 영원히, 함께2018년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203,679명한국/일본/중국 합작



같은 주에 개봉하는 작품은 아메리카 뮤직&와일드, 어벤져스: 엔드게임(이상 2019년 4월 24일), 8년 전쟁: 이란 vs 이라크, 그 아이의 포로, 더 캡틴, 도우터 오브 마인, 메모리즈, 메이데이, 베카신!, 보딩 스쿨: 기숙학교, 뽀로로 극장판 보물섬 대모험, 숨바꼭질, 스카이 라인: 더 비욘드, 스피닝 맨, 안도 타다오, 오버로드: 11구역, 천하대전, 크리스마스 호러 스토리, 프로스펙트, 하트스톤(이상 2019년 4월 25일), 암드(이상 2019년 4월 26일)까지 총 21편이다.

어벤져스: 엔드게임스크린 독점을 벌리는 바람에 뽀로로 극장판은 뽀로로 극장판 공룡섬 대모험(2017년 작)에 밀리는 흥행 추이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4~6일 어린이날 버프를 받으며 2주차 관객수가 다시 증가했고, 전작 관객 추이를 앞서기 시작했다. 마지막으로 관객을 끌어모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이는 11~12일(개봉 17~18일차) 주말 버프를 받아 70만 관객을 돌파했다. 그러나 저연령층을 타겟으로 한 경쟁작 명탐정 피카츄의 개봉 등에 맞물려 전작의 최종관객수를 넘기는 힘들 것이다.

이 영화의 손익분기점은 비공개지만, 뽀로로 극장판 슈퍼썰매 대모험의 손익분기점이 110만 명이었다. 제작비가 36~40억 원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뽀로로 극장판 공룡섬 대모험 역시 제작비가 35억 내외로 손익분기점은 100만 명 정도로 추정되었다. 뽀로로 극장판과 비슷한 돈을 쓰는 애니메이션 영화가 바로 극장판 헬로카봇: 백악기 시대인데 이게 딱 36억 원 제작비를 써서 손익분기점이 105만 명이었다.

뽀로로 극장판 보물섬 대모험도 극장판 헬로카봇: 백악기 시대, 뽀로로 극장판 슈퍼썰매 대모험과 제작비 및 손익분기점이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추정된다. 결국 70만 명 선에 멈춰버리며 실패한 영화가 되어버렸다.

7.2. 기타 국가[편집]


러시아 및 중앙아시아 국가에 2020년 수출되었다. 흥행은 약 3만 달러를 벌어들였다.

8. 기타[편집]



4월 22일 당시, 0.8%(14,375)의 예매율로 2위를 달리고 있다. 1위인 어벤져스: 엔드게임이 97%의 예매율로 다른 모든 영화들을 양민학살하고 있는 상황이라 이런 일이 일어난 것. 사실 뽀로로 입장에서는 다른 오락 영화들과 달리 엔드게임 같은 메가톤급 이벤트에도 딱히 영향을 받을 만한 요소가 없다. 뽀로로의 주 관객층은 로다주가 2008년작인 아이언맨 1에서 "I am Iron Man"을 외치고 있을 때에는 태어나지도 않았을 저연령층이 대부분이다. 물론 마블 히어로들이 어린이들에게 인기 있는 캐릭터이긴 하지만 애초에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영화들은 자막이나 액션 수위 등의 문제 때문에 어린아이들을 데리고서 마음놓고 극장에서 볼 수 있을만한 영화가 아니다. 특히나 엔드게임은 상영 시간만 3시간이 넘는 대작 영화인데 이러면 저연령층이 볼 수 있는 여건 자체가 안 된다. 즉, 처음부터 수요층 자체가 다른 영화이다. 오히려 엔드게임 때문에 다른 오락 영화들이 개봉을 피하거나 관객 수요를 빼앗길 때 개봉하는 게 상영관을 잡기도 쉽다.
네이버 영화에서는 본 영화의 명대사 항목에 엔드게임의 명대사를 패러디해서 올려 놓는 트롤링이 가해지고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01:01:53에 나무위키 뽀로로 극장판 보물섬 대모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뽀로로 극장판 중 상영시간이 가장 길다.[2] 이전 슈퍼썰매 편에서 나오리 역을 맡았다.[3] 뽀로로와 친구들은 돈이 없어 이를 못살뻔했는데, 루피가 만든 과자로 대신 값을 지불했다. 과자가 얼마나 맛있었던지 오리상인이 과자 더 없냐고 애원할 정도였다.[4] 섬에서 나가기위해 여러번 시도를 해보았지만, 그때마다 폭풍우 때문에 번번히 실패하였다고한다.[5] 절벽에서 떨어지며 구름 속으로 사라질때 새 한마리가 날아들었는데, 이것이 실버의 생존에 대한 복선이었다. 이 새는 뽀로로와 크롱이 다른 친구들과 합류하기 전, 실버와 만났을때 실버를 도와주기도했는데, 이때 실버가 새와 대화한다고 새의 울음소리와 행동을 흉내내는게 압권.[6] 크라켄이 떨어진 샹들리에에 머리를 맞아 쓰고있던 헬맷이 부서지는데, 대머리라는 것이 밝혀져(…) 안절부절못하다 다리를 헛디뎌 처음 나왔던 구멍 속으로 떨어지고만다.[7] 얼마나 외로웠는지 구멍으로 떨어지며 쟁취했던 크리스탈 수정 보물 위에 이목구비를 그려놓고 머리카락처럼 해초를 씌워놓아 가상의 친구인것처럼 꾸며놓았다.[8] ~ 2019/06/01 기준[9] 사실 이 목소리는 뽀로로의 2번째 목소리(대체 성우)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