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서구·강화군 을

덤프버전 :

||
선거인 수204,306명 (2012)
상위 행정구역인천광역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서구 일부
검단1동, 검단2동, 검단3동,
검단4동, 검단5동

강화군 전역
강화읍, 길상면, 내가면, 불은면, 서도면, 선원면, 송해면, 양도면, 양사면, 하점면, 화도면, 교동면, 삼산면
신설년도2000년
이전 선거구서구, 계양구·강화군 을
이후 선거구서구 을, 중구·동구·강화군·옹진군
국회의원
무소속

안상수



1. 개요[편집]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계양구·강화군 을게리맨더링 논란으로 큰 비판을 받게 되자, 강화군과 해수면으로 인접한 서구의 검단 지역에 강화군을 덧붙여 만든 선거구였다.

선거마다 민주당계 정당에게는 아쉬움을 남긴 선거구였다. 30-40대가 많이 사는 서구 검단 지역에서 민주당계 후보의 표가 많이 나옴에도 노년층 인구가 많고 북한과 가까운 전방 지역인 강화군이 그 열세를 다 메꾸고 보수정당에 표를 더 주는 바람에, 언제나 보수정당:민주당계 정당 = 55:45의 결과를 만들었다. 이 때문에 검단에서 지역 기반을 닦았던 신동근이 4번 출마해서 4전 전패를 당했다. 하지만 20대 총선에서 서구 검단지역이 서구 을로 독립함으로써 이 선거구는 해체되었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 및 선거 결과[편집]


총선당선자당적임기
16대박용호
ta-hash-start=w-effea49943daf7bed5912287f2ee5a43[[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0년 5월 30일 ~ 2002년 6월 14일
이경재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2년 8월 8일 ~ 2004년 5월 29일
17대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18대
무소속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19대안덕수
ta-hash-start=w-a4965216e237306510bc0e0f2dc67a79[[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2년 5월 30일 ~ 2015년 3월 12일
안상수2015년 4월 29일 ~ 2016년 5월 29일


2.1. 제16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서구·강화군 을
서구 검단동 + 강화군 일원[강화]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경재(李敬在)25,934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48.17%낙선
2박용호(朴容琥)27,9021위

ta-hash-start=w-d7903c4f5ae6da9780bc88cbb048d417[[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51.82%당선
선거인 수85,559투표율
52.55%
투표 수55,127
무효표 수1,291

민주당계 정당서구·강화군 을에서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당선된 선거다.

2.2. 2002년 재보궐선거[편집]


서구·강화군 을
서구 검단1동, 검단2동 + 강화군 일원[강화]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경재(李敬在)22,670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73.57%당선
2신동근(申東根)8,1442위

ta-hash-start=w-9f5506939986201d55a4353ff8b4028e[[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6.43%낙선
선거인 수92,019투표율
33.96%
투표 수31,251
무효표 수437

신동근 VS 이경재 Round 1


2.3. 제17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서구·강화군 을
서구 검단1동, 검단2동 + 강화군 일원[강화]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경재(李敬在)26,253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47.47%당선
2김철하(金鐵河)2,2843위

ta-hash-start=w-1e056d2b0ebd5c878c550da6ac5d3724[[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4.12%낙선
3신동근(申東根)21,5632위

ta-hash-start=w-6648cb0e60b6ebcb33f638831097eb8b[[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38.98%낙선
4최미란(崔美蘭)3,1674위

ta-hash-start=w-ddf22c927d3f99e95403afefc4501a8d[[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3.68%낙선
5강필희(姜必熙)2,0375위
[include(틀:무소속)]3.68%낙선
선거인 수91,690투표율
57.74%
투표 수55,954
무효표 수650

신동근 VS 이경재 Round 2

열린우리당 후보로 경인방송 사장이 도전장을 던졌으나 탈락.


2.4. 제18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서구·강화군 을
서구 검단1동, 검단2동, 검단3동, 검단4동 + 강화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서원선(徐元善)21,7233위

ta-hash-start=w-25a9ebe975bbaedeae873decb4cd01a9[[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16.36%낙선
2이규민(李圭敏)18,582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9.03%낙선
6정혁순(鄭赫順)7435위

ta-hash-start=w-3760ffd8b6f38f4492d0b67400ea0b10[[파일:평화통일가정당 흰색 로고타입.svg
1.16%낙선
7김윤영(金允英)6886위
[include(틀:무소속)]1.06%낙선
8박용호(朴容琥)11,7914위
[include(틀:무소속)]15.42%낙선
9이경재(李敬在)21,7231위
[include(틀:무소속)]33.94%당선
선거인 수134,583투표율
47.58%
투표 수64,549
무효표 수545

한나라당 공천에서 탈락해 친박 무소속 연대로 출마한 이경재 후보가 당선되었다. 이후 한나라당으로 복당하였다.

2.5. 제19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서구·강화군 을
서구 검단1동, 검단2동, 검단3동, 검단4동 + 강화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안덕수(安德壽)43,9701위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51.49%당선
2신동근(申東根)35,1392위
[include(틀:민주통합당)]41.15%낙선
3민우홍(閔禹泓)3,3413위
[include(틀:자유선진당)]3.91%낙선
6장석종(張錫鍾)2,9294위
[include(틀:무소속)]3.43%낙선
선거인 수154,994투표율
55.64%
투표 수86,239
무효표 수860


2.6. 2015년 상반기 재보궐선거[편집]


서구·강화군 을
서구 검단1동, 검단2동, 검단3동,
검단4동, 검단5동 + 강화군 일원[강화]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안상수(安相洙)33,2561위

ta-hash-start=w-496ad1139911eeb014d31dce575faa61[[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54.11%당선
2신동근(申東根)26,3402위

ta-hash-start=w-6b8f07de11c0e35342e3b77bfea692ed[[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42.85%낙선
3박종현(朴종현)1,8633위
3.03%낙선
선거인 수169,442투표율
36.53%
투표 수61,891
무효표 수432

안덕수 전 의원이 선거법 위반으로 인한 의원직 상실인해 재보궐선거가 치러졌다. 새정치민주연합 신동근 후보가 검단에서 지지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이번에도 새누리당 안상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7. 제20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서구 을 문서와 중구·동구·강화군·옹진군 문서 참고.

3. 부활 논의[편집]



3.1. 제2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중구·강화군·옹진군 내부 중구의 인구 증가로 이 선거구의 부활 가능성이 생기게 되었다. 다만 선거구는 서구·강화군 갑/을/병(갑(구도심+루원), 을(청라+검암), 병(검단+강화)으로 갈 가능성이 높다.

다만 해당 선거구가 존치된 당시엔 서구 을 지역에 아직도 검단신도시가 개발되지 않았지만, 2021년 현재는 개발중이여서 민주당세가 6:4 이상으로 강하고, 강화군 인구는 줄어들고 있기에 이 선거구가 생기더라도 이길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이렇게 하지 않아도 기존의 중·강화·옹진 선거구가 획정 하한/상한에 걸리지는 않으므로 그대로 유지될 가능성이 더 높다.


[강화] A B C D 강화읍, 길상면, 내가면, 불은면, 서도면, 선원면, 송해면, 양도면, 양사면, 하점면, 화도면, 교동면, 삼산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