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성밖숲

덤프버전 :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403호
성주 경산리 성밖숲
星州 京山里 城밖숲
Seongbaksup Forest in Gyeongsan-ri, Seongju

[ 펼치기 · 접기 ]

소재지경북 성주군 성주읍 경산리 446-1번지
분류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문화역사기념물 / 민속
수량59주
지정일1999년 4월 6일
시대1380년대(추정)
위치

파일:26F897CBC2264540A5DCAE310CAF8FB4.jpg

1. 개요
2. 역사
3. 가치
4. 기타
5. 외부 링크
6. 천연기념물 제403호


성밖숲(城밖숲)


1. 개요[편집]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경산리에 위치한 성주읍성 서문 밖에 만들어진 숲. 1999년 4월 6일 천연기념물 제403호 '성주 경산리 성밖숲'으로 지정되었다. 현재 나이가 300∼500년 정도로 추정되는 왕버들 59그루가 있다.

성주의 중심지인 성주읍에서도 중심부에 있기 때문에 관광객 뿐만 아니라 인근 주민들에게 휴식처를 제공하고 있으며[1] 2017년 올해의 가장 아름다운 숲에 선정되기도 했다. 또한 성주를 대표하는 랜드마크이기 때문에 성주생명문화축제를 비롯한 성주의 각종 행사들이 대부분 성밖숲에서 열린다.


2. 역사[편집]


조선 중기에 성주의 지세를 흥하게 한다는 풍수지리 사상에 따라 조성되었다.

경산지(京山誌) 및 성산지(星山誌)에는 조선 중기에 성주성 서문 밖 마을의 소년들이 아무 이유 없이 죽는 등 흉사가 이어졌는데, 그 이유가 마을의 족두리바위와 탕건바위가 서로 마주보고 있기 때문이라 하여 중간 지점에 숲을 조성하면 재앙을 막을 수 있다는 지관(地官)의 말에 따라 성주성의 서문 밖 이천변에 밤나무숲을 조성했다고 한다.

그러다가 임진왜란 후 마을의 기강이 해이해지고 민심이 흉흉해지자 밤나무를 베어내고 왕버들로 다시 조성하였다.


3. 가치[편집]


성주 성밖숲은 왕버들 나무로만 이루어진 숲으로 생물학적 자료로서의 가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마을의 풍수지리, 역사, 문화, 신앙에 따라 만들어진 전통적인 마을 숲으로 향토성, 민속성, 역사성 등의 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4. 기타[편집]





5. 외부 링크[편집]




6. 천연기념물 제403호[편집]



성주 경산리 성밖숲은 성주 읍성(邑城) 서문 밖에 만들어진 숲으로 조선 중기 서문 밖의 어린 아이들이 이유없이 죽자 풍수지리설을 따라서 만들어진 것이라고 전해지고 있다. 현재 성밖 숲에는 나이가 300∼500년 정도로 추정되는 왕버들 59그루가 자라고 있다.

성주 경산리 성밖숲은 왕버들나무로만 이루어진 숲으로 생물학적 자료로서의 가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마을의 풍수지리, 역사, 문화, 신앙에 따라 만들어진 전통적인 마을 숲으로 향토성, 민속성, 역사성 등의 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10:18:50에 나무위키 성밖숲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특히 맥문동이 피는 7월말~8월달에 가장 인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