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세종특별자치시의회

덤프버전 :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 제4대 세종특별자치시의회 지역구 의원
[ 펼치기 · 접기 ]

12345
김충식김광운김동빈윤지성김학서
678910
안신일최원석이순열상병헌임채성
1112131415
이현정김재형유인호김현미김영현
161718
김현옥김효숙박란희





[ 펼치기 · 접기 ]
2022.7.1. ~ 2026.6.30.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13석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_가로.svg
7석, 시장 소속 정당
재적
20석




파일:지방의회 휘장_White.svg
세종특별자치시의회
世宗廣域市議會 | Sejong Metroplitan Council
파일:지방의회 휘장.svg
소재지세종특별자치시 한누리대로 2120(보람동)
구성단원제, 다당제
개회2012년 7월 6일
의장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순열 (제8선거구, 도담 어진동)
부의장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박란희 (제18선거구, 다정동)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충식 (제1선거구, 조치원읍)
사무처장김덕중
의원정원 20석 중 재적 20인 (4대 의회)
최근 선거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22년)
차기 선거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26년)
홈페이지세종특별자치시의회 홈페이지
SN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세종특별자치시의회.jpg
1. 개요
2. 의회 구성
2.1. 의회 분포 및 현황
2.2. 의석 현황
4. 의장
5. 부의장
6. 역대 의장단
7. 역대 세종특별자치시의회
7.1. 2대
7.2. 3대
7.3. 4대



1. 개요[편집]


세종특별자치시지방의회. 세종특별자치시 한누리대로 2120 (보람동)에 위치해있다.

2. 의회 구성[편집]


파일:세종시의회 원내 구성.jpg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 제4대 세종특별자치시의회 지역구 의원
[ 펼치기 · 접기 ]

12345
김충식김광운김동빈윤지성김학서
678910
안신일최원석이순열상병헌임채성
1112131415
이현정김재형유인호김현미김영현
161718
김현옥김효숙박란희







2.1. 의회 분포 및 현황[편집]


  • 세종특별자치시의회 상임위원회
    • 의회운영위원장: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유인호 (제13선거구, 보람동)
    • 행정복지위원장: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임채성 (제10선거구, 종촌동)
    • 산업건설위원장: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현정 (제11선거구, 고운동)
    • 교육안전위원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소희 (비례대표)

2.2. 의석 현황[편집]


세종특별자치시의회 의석
(총 재적 20석)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13석7석
세종시의회는 지역구 18석, 비례대표 2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현재 시의회 제1당은 더불어민주당이다. 시장은 국민의힘 소속의 최민호가 당선되었지만, 시의회는 민주당이 다수를 차지하며 8회 지선 결과 유일하게 시장의 소속 정당과 광역의회 다수당이 다른 여소야대 의회가 나왔다.[1]


3. 선거구[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세종특별자치시의회/선거구#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의장[편집]


파일:지방의회 휘장_White.svg
세종특별자치시의회의장
[ 펼치기 · 접기 ]

제1대 의회제2대 의회
제2대 의회
제3대 의회
유환준임상전고준일서금택
제3대 의회
제4대 의회
이태환상병헌이순열
파일:세종시의회 의정 슬로건.png[각주]




의회 대수이름임기선출 당시 정당
1유환준2012년 7월 1일[2] ~ 2014년 6월 30일
ta-hash-start=w-f22af2b5144395a7445b3654e9520f9f[[파일:선진통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임상전2014년 7월 9일 ~ 2016년 6월 30일
ta-hash-start=w-64c46b95a53d6e2272c5d0d567ee0d67[[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고준일2016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3서금택2018년 7월 1일 ~ 2020년 6월 30일
이태환2020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4상병헌2022년 7월 1일 ~ 2023년 5월 22일[3]
이순열2023년 6월 15일 ~ 현재

5. 부의장[편집]




6. 역대 의장단[편집]


  • 제1대 시의회 의장단 (2012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충청남도 연기군의회 승계





  • 제4대 전반기 시의회 의장단 (2022년 7월 4일 ~ )
    • 의장: 상병헌 (더불어민주당,9선거구)[4]이순열 (더불어민주당,8선거구)
    • 부의장
      • 박란희 (더불어민주당,18선거구)
      • 김학서 (국민의힘,5선거구)[5] → 김충식 (국민의힘,1선거구)


7. 역대 세종특별자치시의회[편집]


  •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선출된 충청남도 연기군 의회가 2012년 세종특별자치시 출범과 함께 초대 세종특별자치시의회로 승격되었다.[6] 그리고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선출된 충청남도의회의 연기군 지역구 의원도 세종특별자치시 출범과 함께 세종특별자치시의회로 자리를 옮겼다.

7.1. 2대[편집]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2대 세종특별자치시의회) 결과
(총 재적 15석)
9석5석1석

7.2. 3대[편집]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3대 세종특별자치시의회) 결과
(총 재적 18석)
17석1석

7.3. 4대[편집]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4대 세종특별자치시의회) 결과
(총 재적 20석)
13석7석


[1] 그러나 2023년 6월 28일 경기도의회의 더불어민주당 김미정 의원의 별세로 국민의힘이 일시적으로 다수당이 되면서 세종시의회에 이어 두번째로 여소야대 광역의회가 나오게 되었다.[2] 2012.7.1. 세종특별자치시의회 개원, 충청남도 연기군의회 승계.[3] 불신임안 가결로 인한 의장직 상실.[4] 불신임안 가결로 인한 의장직 상실[5] 불신임안 가결로 인한 부의장직 상실[6] 공주시의회와 청원군의회의 일부 의원들도 새로 출범된 세종특별자치시의회로 이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