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손상득

덤프버전 :

손상득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
파일:Eagles_Champion_v1.pn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 코치
1999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2번
팀 창단손상득
(1982~1983)
허규옥
(1985~1988)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32번
정성용
(1985)
손상득
(1986~1988)
권봉석
(1989)
{{{#fff [[SK 와이번스|SK 와이번스]] 등번호 86번}}}
결번손상득
(2003~2004)
김상진
(2005~2016)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84번
김태한
(2007~2008)
손상득
(2010~2014)
성준
(2015~2019)
LG 트윈스 등번호 84번
김영관
(2012~2014)
손상득
(2016~2017)
박용근
(2019~)
한화 이글스 등번호 84번
권영호
(2015~2017)
손상득
(2018~2019)
김기남
(2020)

파일:손상득 코치.png
손상득
孫祥得 | Sang-deuk Son
출생1956년 4월 3일 (68세)
경상북도 영덕군
학력영덕초 - 대구중 - 경북고 - 고려대
포지션포수
투타우투우타
프로입단1982년 삼성 라이온즈 창단멤버
소속팀포항제철 야구단 (1980~1981)
삼성 라이온즈 (1982~1988)
지도자삼성 라이온즈 2군 배터리코치 (1991~1993)
한화 이글스 1군 배터리코치 (1996~1997)[1]
한화 이글스 잔류군 코치 (1997~2000)[2]
한화 이글스 1군 배터리코치 (2002)[3]
SK 와이번스 2군 배터리코치 (2003~2004)
LG 트윈스 2군 불펜코치 (2005)
신일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06~2008)
삼성 라이온즈 2군 배터리코치 (2010~2012)
삼성 라이온즈 잔류군 배터리코치 (2013~2014)
LG 트윈스 2군 배터리코치 (2016~2017)
한화 이글스 2군 배터리코치 (2018)
한화 이글스 재활군 코치 (2019)
프런트삼성 라이온즈
한화 이글스 원정 기록원 (2001~2002)[4]
1. 개요
2. 선수 경력
3. 지도자 경력
4. 여담
5. 연도별 주요 성적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삼성 라이온즈 소속 포수, 2군 배터리코치.


2. 선수 경력[편집]


고려대학교 졸업 후 1980년 실업팀 포철에 입단했다. 1982년 프로야구 출범 후 삼성 창단멤버로 입단했다. 막 대학을 졸업하고 온 2살 어린 이만수가 주전을 차지하며 백업으로 밀렸고, 백업 자리마저 다량의 국가대표 경험이 있던 박정환에게 밀렸다. 때문에 그리 많은 경기에 나가지 못했고 1988년 은퇴했다.

포수지만 키 172cm에 왜소한 체구로 요즘 선수에 비교하면 현재윤과 비슷했던 선수였다.


3. 지도자 경력[편집]


은퇴 후 삼성 구단 직원으로 있다가 1991년 삼성 배터리코치로 부임해 1993년까지 있었고, 1996년부터 한화 배터리코치, SK 배터리코치, 2005년에는 LG 코치로 있었다.

2006년 신일고 감독으로 부임해 2008년 중순까지 팀을 이끌었다. 2008년 7월 11일 대붕기 경북고와 8강전에서 심판 판정에 대한 불만으로 선수들에게 고의로 경기에서 지도록 지시해 3개월 자격정지의 징계를 받았다. 고의 경기 포기는 아마추어 감독이라도 하면 안 되는 일이지만, 이는 당시 신일고 야구부장의 지시 때문이었다고. 아마추어 감독도 계약직이기에 부당한 일을 할 수 없이 따른 것. 그리고 고의 경기 포기를 지시한 야구부장은 자격정지 1년의 중징계를 받았다. 어쨌든 경기 포기 지시 사건로 신일고 감독직에서 해고되었다.

이듬해 2009년 삼성 2군 배터리코치로 부임하며 4년 만에 프로팀 코치로 복귀함과 동시에 오래간만에 삼성 유니폼을 입게 되었다. 2014년 시즌이 끝나고 구단에서 재계약을 포기했다.

2015 시즌 후 LG 트윈스 2군 배터리코치로 영입됐다. 2018 시즌부터 한화 이글스 2군 배터리코치로 활동하게 되었다.


4. 여담[편집]


  • 1980년대에 선수 생활 도중 현역병으로 복무한, 몇 안 되는 선수 중 하나.[5] 프로 초창기에는 대다수 선수들이 이미 실업야구 시절 성무(공군 소속 야구팀)나 경리단(육군 소속 야구팀) 등의 군 소속 야구 팀에서 군 복무를 마친 상태에서 프로에 입단했고, 꼭 그런 경우가 아니더라도 당시에는 스포츠 선수에 대한 병역특례 범위가 넓었다.[6]

  • 같은 삼성 창단 멤버인 손상대와 같은 고교 출신인 데다가, 포지션도 포수로 같고 이름이 비슷해 형제로 오인받곤 했다. 그러나 손상득은 '祥得', 손상대는 '相大'로 다른 한자를 쓴다.


5. 연도별 주요 성적[편집]


역대기록
연도소속팀경기타수타율안타2루타3루타홈런타점득점도루4사구장타율출루율
1982삼성 라이온즈53143.23834322162188.329.276
19831819.26350102411.368.300
1984군복무(현역)
1985
19865987.230201106939.264.302
19873761.295182006401.328.302
19886471.1691200041322.169.192
KBO 통산
(5시즌)
231381.2348964234511421.286.272


6.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06:17:00에 나무위키 손상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5월 29일[2] 5월 30일~[3] 6월 19일~[4] ~6월 18일[5] 최계훈, 양세종도 그랬다.[6] 태권도선수 출신 연기자 이동준도 세계선수권 제패로 특례를 받은 것을 보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