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수도권 전철 서해선/역 목록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수도권 전철 서해선







1. 일러두기
2. 역 목록


1. 일러두기[편집]


일러두기(역 등급)
관리역보통역
배치간이역무배치간이역
임시승강장을종승차권발매소
신호장신호소
파란 칸은 지상역임을 표시한다.


2. 역 목록[편집]


역번역명승강장환승노선소재지
형태횡단
S070.0일 산一 山│■ ││■││■│(지상1층)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공유구간[1]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S081.9풍 산[2]楓 山■││■ (지하1층)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S093.6백 마白 馬│■││■│(지상1층)
S105.2곡 산谷 山■││■ (지상1층)
S116.9대 곡大 谷│■││■│(지상1층)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GTX A선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S128.7능 곡陵 谷││■││■││■││■││(지상1층)
S1316.1김포공항金浦空港■││■ (지하5층)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파일:Seoulmetro9_icon.svg 9호선
파일:AREX_icon.svg 공항철도
파일:GoldLine_icon.svg 김포 골드라인
서울특별시
강서구
S1420.4원 종遠 宗│■││■│(지하4층)대장홍대선경기도 부천시
S1522.5부 천
종합운동장
富川綜合運動場■││■ (지하5층)파일:Seoulmetro7_icon.svg 7호선
GTX-B
서부권 광역급행철도
S1625.2소 사
(서울신대)
素 砂■││■ (지하2층)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S1726.9소새울
(부천대소사캠퍼스)
■││■ (지하3층)
S1829.0시흥대야始興大也■││■ (지하3층)경기도 시흥시
S1930.4신 천新 川■││■ (지하3층)×
S2033.7신 현新 峴■││■ (지하2층)
S2135.4하 중[3]下 中미정 
S2237.3시흥시청始興市廳■││■ (지하2층)파일:GyeonggangLine_icon.svg 경강선
파일:SinansanLine_icon.svg 신안산선
파일:SinansanLine_icon.svg 신안산선 공유구간[4]
S2338.6시흥능곡始興陵谷■││■ (지하3층)
S2441.0달 미■││■ (지하2층)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S2542.6선 부
(한도병원)
仙 府■││■ [5](지하3층)×
S2644.3초 지草 芝■││■ (지하3층)파일:Seoulmetro4_icon.svg 4호선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S2745.7시 우[6]時 雨■││■ [7](지하3층)
S2847.2원 시元 時■││■ (지하2층)×
S29국제테마파크[A]國際테마파크│■││■│ (지상2층)








경기도 화성시
S30서화성남양[A]西華城南陽│││■││■│ (지상2층)

[1] 능곡역부터 대곡역까지는 복복선으로 외선이 경의선, 내선이 서해선이다.[2] 반지하[3] 2018년에 소사~원시 구간이 개통될 때에는 개통하지 않았으며, 개통 시기는 미정이다.[4] 신안산선은 시흥시청역부터 합류, 서화성남양역까지 직통운행을 할 계획이다.[5] 대피선 설치가 예정되어 있기는 하다.[6] 구 원곡역[7] 이 역에 안산선/수인선 인천 방향 선로(삼각선)가 설치될 예정이다.[A] A B 신안산선 구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