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수원 삼성 블루윙즈/2022년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수원 삼성 블루윙즈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수원 삼성 블루윙즈/2022년/문제점
,
,
,
,
,
,




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로고.svg
수원 삼성 블루윙즈 2022시즌
대표이사이준
단장오동석
감독염기훈
수석코치최성용
주장민상기
부주장최성근, 한석종
결과
(10월 22일 기준)
파일:K리그1 로고.svg10위, 승강 플레이오프2 잔류
(38전 11승 11무 16패 44득점 49실점 44승점)
파일:FA컵(대한민국) 심볼.svg8강 탈락
(3전 1승 1무 1패 3득점 4실점)
합산 성적41전 12승 12무 17패 47득점 53실점
최다 득점오현규(14골)[1]
최다 도움이기제(15도움)[2]

1. 시즌 전 전망
2. 선수단
2.1. 코칭스태프 명단
2.2. 선수 명단
2.3. 임대 및 군복무 선수 명단
2.4. 프리 시즌
2.4.1. 겨울 이적 시장
2.4.1.1. 영입
2.4.1.1.1. 스태프 영입
2.4.1.1.2. 선수 영입
2.4.1.2. 방출
2.4.1.2.1. 스태프 방출
2.4.1.2.2. 선수 방출
2.5. 여름 이적 시장
2.5.1. 스태프 영입
2.5.2. 선수 영입
2.5.3. 스태프 방출
2.5.4. 선수 방출
2.6. 유니폼
3. 프리시즌
3.1. 전지 훈련
3.2. 연습 경기
4.1. 정규 리그
4.2. 파이널 라운드
4.3.1. 1차전 (안양종합운동장, 0:0 무)
4.3.2. 2차전 (수원월드컵경기장, 2:1 승)
5.1. 3라운드 VS 김천 상무 (원정, 1:1 무(승부차기 4:3 승))
5.2. 16강 VS 강원 FC (홈, 2:0 승[3])
5.3. 8강 VS 전북 현대 (원정, 0:3 패[4])
6. 수상
6.1. 개인
6.2. 클럽
7. 평가
7.1. 시즌 중반
7.2. 시즌 종료 후
8. 수원삼성의 문제점



1. 시즌 전 전망[편집]


지난 시즌에는 3년만에 스플릿A에 들며 최종순위 6위를 기록 했으나, 23년 k리그


2. 선수단[편집]



2.1. 코칭스태프 명단[편집]


직책이름영문 이름국적생년월일비고
감독이병근Lee Byungkeun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3년 4월 28일
수석 코치최성용Choi Sungyo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5년 3월 12일
1군 코치조재민Cho Jaemin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8년 5월 22일
2군 코치오장은Oh Jangeun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5년 7월 24일
피지컬 코치권보성Kwon Bosu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9년 4월 1일
골키퍼 코치김대환Kim Daehwan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6년 1월 1일
스카우터이종민Lee Jongmin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3년 9월 1일


2.2. 선수 명단[편집]


[ 펼치기 · 접기 ]

수원 삼성 2023 시즌 스쿼드
파일:수원삼성 장호익 23시즌.png
파일:수원삼성 불투이스 23시즌.png
파일:수원삼성 한호강 23시즌.png
파일:수원삼성 한석종 23시즌.png
파일:수원삼성 고승범 23시즌.png
34 (VC)567 (VC)
장호익
JANG Hoik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1993.12.04.
173 cm, 62 kg
불투이스
Dave BULTHUIS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DF
1990.06.28.
192 cm, 78 kg
한호강
HAN Hoka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1993.09.18.
186 cm, 80 kg
한석종
HAN Sukjo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1992.07.19.
184 cm, 72 kg
고승범
KO Seungbeo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1994.04.24.
173 cm, 70 kg
파일:수원삼성 최성근 23시즌.png
파일:수원삼성 안병준 23시즌.png
파일:수원삼성 정승원 23시즌.png
파일:수원삼성 김태환 23시즌.png
891011#
최성근
CHOI Sunggue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1991.07.28.
183 cm, 73 kg
안병준
AN Byongju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1990.05.22.
183 cm, 75 kg
정승원
JEONG Seungw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1997.02.27.
173 cm, 68 kg
김태환
KIM Taehwa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2000.03.25.
174 cm, 74 kg
파일:수원삼성 김보경 23시즌.png
파일:수원삼성 전진우 23시즌.png
파일:수원삼성 고명석 23시즌.png
파일:수원삼성 이종성 23시즌.png
파일:수원삼성 김경중 23시즌.png
13 (C)141516 (VC)17
김보경
KIM Bokyu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1989.10.06.
176 cm, 72 kg
전진우
JEON Jinwoo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1999.09.09.
181 cm, 74 kg
고명석
KO Myeongseok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1995.09.27.
189 cm, 90 kg
이종성
LEE Jongsu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1992.08.05.
187 cm, 72 kg
김경중
KIM Kyungju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1991.04.16.
179 cm, 69 kg
파일:수원삼성 아코스티 23시즌.png
파일:수원삼성 강태원 23시즌.png
파일:수원삼성_박희준_23시즌.png
파일:수원삼성 양형모 23시즌.png
파일:수원삼성 권창훈 23시즌.png
1819202122
아코스티
Maxwell ACOSTY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FW
1991.09.10.
178 cm, 76 kg
강태원
KANG Taew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2000.03.03.
175 cm, 68 kg
박희준
PARK Heeju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2002.01.05.
191 cm, 80 kg
양형모
YANG Hyungmo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GK
1991.07.16.
185 cm, 84 kg
권창훈
KWON Changho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1994.06.30.
174 cm, 66 kg
파일:이기제2023.png
파일:40허동호22.png
파일:수원삼성 장석환 23시즌.png
파일:수원삼성 염기훈 23시즌.png
파일:이규석.png
2324252628
이기제
LEE Kij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1991.07.09.
175 cm, 68 kg
허동호
HEO Dongho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2000.06.24.
181 cm, 75 kg
장석환
JANG Seokhwa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2004.10.11.
178 cm, 70 kg
염기훈
YEOM Kihu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1983.03.30.
182 cm, 80 kg
이규석
LEE Gyuseok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2001.04.23.
182 cm, 77 kg
파일:수원삼성 이상민 23시즌.png
파일:수원삼성 진현태 23시즌.png
파일:수원삼성 이성주 23시즌.png
파일:수원삼성 서동한 23시즌.png
파일:수원삼성 박대원 23시즌.png
2930313233
이상민
LEE Sangmi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2004.06.29.
175 cm, 73 kg
진현태
JIN Hyunta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2001.01.30.
178 cm, 70 kg
이성주
LEE Seongju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GK
1999.04.03.
192 cm, 85 kg
서동한
SEO Dongha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2001.03.23.
172 cm, 66 kg
박대원
PARK Daew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1998.02.05.
178 cm, 76 kg
파일:수원삼성_박지민_23시즌.png
파일:수원삼성 명준재 23시즌.png
파일:수원삼성 김주찬 23시즌.png
파일:수원삼성 뮬리치 23시즌.png
파일:player_20230339.png
3436374445
박지민
PARK Jimi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GK
2000.05.25.
189 cm, 88 kg
명준재
MYEONG Junja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1994.07.02.
178 cm, 68 kg
김주찬
KIM Jucha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2004.03.29.
174 cm, 71 kg
뮬리치
Fejsal MULIĆ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 FW
1994.10.03.
203 cm, 84 kg
웨릭 포포
WERIK PÓPO
파일:브라질 국기.svg | FW
2001.10.17.
190 cm, 88 kg
파일:수원 삼성 김주원.png
파일:21손호준.png
파일:player_20230317.png
파일:수원삼성 유제호 23시즌.png
파일:수원삼성 바사니 23시즌.png
6677818897
김주원
KIM Juw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1991.07.29.
185 cm, 78 kg
손호준
SON Hoju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2002.07.03.
175 cm, 65 kg
카즈키
KOZUKA Kazuki
파일:일본 국기.svg | MF
1994.08.02.
173 cm, 65 kg
유제호
YU Jeho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2000.08.15.
178 cm, 72 kg
바사니
RODRIGO BASSANI
파일:브라질 국기.svg | FW
1998.04.06.
187 cm, 80 kg
파일:수원삼성 안찬기 23시즌.png
파일:고무열수원23.png
파일:윤서호2023.png
파일:38d3a5d25b33913e52f95f88db61e93f.jpg
파일:수원 곽성훈 2023.jpg
992725035
안찬기
AN Changi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GK
1998.04.06.
187 cm, 80 kg
고무열
GO Mooyu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1990.09.05.
187 cm, 75 kg
윤서호
YOON Seoho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1998.02.02.
176 cm, 72 kg
고종현
Ko Jonghyu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2006.04.11.
191 cm, 88 kg
곽성훈
Kwak Sungho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2006.06.18.
190 cm, 84 kg
파일:eab428c3382bc618c46861faac2f3310.jpg
파일:수원 박승수 2023.jpg
파일:6fdc0c1daa77b1f0bb66f8856dd02c1a.jpg
914742
김성주
Kim Seongju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2006.08.02.
168 cm, 63 kg
박승수
Park Seungsoo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2007.03.17.
182 cm, 71 kg
임현섭
Lim Hyunsub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2006.01.16.
184 cm, 73 kg
구단 정보
단장: 오동석 / 감독 대행 겸 플레잉 코치: 염기훈 / 홈구장: 수원월드컵경기장
출처: 수원 삼성 블루윙즈 웹 사이트






2.3. 임대 및 군복무 선수 명단[편집]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rowbgcolor=#fff><rowcolor=#194996> 임대 구단 || 국적 || 포지션 || 이름 || 로마자 이름 || 생년월일 || 신장 || 비고 ||
||<|1><bgcolor=#cc0000> 김천 상무 FC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 강현묵 || Kang Hyunmuk || 2001.03.28 || 173cm 67kg || 2024년 7월 15일 전역 ||
||<bgcolor=#cc0000> 성남 FC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 박상혁 || PARK Sanghyeok || 1998.04.20 || 168cm, 58kg || 2023.12.31 만료 ||
||<bgcolor=#cc0000> 부산 아이파크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 김상준 || KIM SangJun || 2001.10.01 || 185cm, 75kg || 2023.12.31 만료 ||
||<bgcolor=#cc0000> 부산 아이파크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 민상기 || MIN Sanggi || 1991.08.27 || 188cm, 80kg || 2023.12.31 만료 ||
||<bgcolor=#cc0000> 전남 드래곤즈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 황명현 || HWANG Myunghyun || 2001.11.14 || 190cm, 85kg || 2023.12.31 만료 ||
||<bgcolor=#cc0000> 시흥시민축구단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 구민서 || KOO Minseo || 2002.04.07 || 183cm, 68kg || 2023.12.31 만료 ||
||<bgcolor=#cc0000> GD 이스토릴 프라이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 황인택 || HWANG Intaek || 2003.04.01 || 182cm, 76kg || 2024.06.30 만료 ||



[1] K리그1 13골, 승강 플레이오프 1골[2] K리그1 14도움, 승강 플레이오프 1도움[3] 2022년 5월 25일 오후 8시 20분[4] 2022년 6월 29일 오후 7시



2.4. 프리 시즌[편집]



2.4.1. 겨울 이적 시장[편집]


  • 재계약
    • 염기훈이 2022년 12월 31일까지 1년 재계약했다.#
    • 양상민이 2022년 12월 31일까지 플레잉코치로서 1년 재계약했다.#
    • 최성근이 2024년 12월 31일까지 3년 재계약했다. #


  • 영입
    • 덴마크 2부 리그 득점왕 출신 세바스티안 그뢰닝을 영입했다. 계약기간은 2+1년. 이적료 추정치는 트렌스퍼마켓 기준 한화로 약 12억원이다. #
    • 광주 FC의 센터백이었던 이한도를 영입했다. 계약기간은 3년. 이적료 추정치는 바이아웃인 3억원. #
    • FA였던 엘비스 사리치를 재영입했다. 계약기간은 1년. #[5]
    • 울산과 계약 만료된 데이브 뷜트하위스를 영입했다. 계약기간은 2년.#[6]
    • 대구 FC에서 미드필더 정승원을 이적료 3억에 영입했다. 계약기간은 3년.#
    • 제주 유나이티드 FC와 계약이 만료된 류승우를 영입했다. 계약기간은 2년.#

  • 군복무
    • 권창훈이 2021년 12월 7일 발표된 김천 상무 FC 3기 합격자에 들면서 2023년 6월까지 군복무를 한다.


2.4.1.1. 영입[편집]


2.4.1.1.1. 스태프 영입[편집]

이름 직책 이전 구단 이전 구단 직책


2.4.1.1.2. 선수 영입[편집]



2.4.1.2. 방출[편집]


2.4.1.2.1. 스태프 방출[편집]

이름 직책 이적 구단 이적 구단 직책


2.4.1.2.2. 선수 방출[편집]

이름 포지션 이적 구단 방식
권창훈MF김천 상무 FC군복무
이풍연DF부천 FC 1995완전이적
최정원DF전남 드래곤즈완전이적
이강희MF부산 아이파크임대이적
손호준DF전남 드래곤즈임대이적
안찬기GK청주 FC임대이적
이종성MF성남 FC재임대
니콜라오FWUTA 아라드계약만료
제리치FW-계약만료
조성진DF은퇴계약만료
김민우MF청두 룽청완전이적
정상빈FW울버햄튼 원더러스 FC완전이적
헨리DF로스앤젤레스 FC계약만료


2.5. 여름 이적 시장[편집]


  • 재계약



2.5.1. 스태프 영입[편집]


이름 직책 이전 구단 이전 구단 직책
최성용수석코치무직-


2.5.2. 선수 영입[편집]


이름 포지션 이전 구단 방식
사이토 마나부FW나고야 그램퍼스완전이적
신원호DF감바 오사카완전이적[7]
정호진MF전남 드래곤즈임대이적
안병준FW부산 아이파크완전이적
이종성MF성남 FC임대복귀


2.5.3. 스태프 방출[편집]


이름 직책 이적 구단 이적 구단 직책


2.5.4. 선수 방출[편집]


이름 포지션 이적 구단 방식
한석희FW전남 드래곤즈임대이적
이한도DF부산 아이파크완전이적
김상준MF부산 아이파크임대이적
구대영DFFC 안양임대이적
김건희FW콘사돌레 삿포로완전이적
[5] 이 때 사리치가 입은 유니폼은 아직 공개도 되지 않은 수원의 2022 시즌 유니폼이다. 쉽게 말해 유니폼 공식 유출샷인셈.(...)[6] 사실 이쪽은 오피셜이 뜨기 전에 득남 소식을 수원 삼성의 공식 SNS에서 알렸기에, 이미 팬들은 입단소식을 알고 있었다. 일명 애피셜.[7] 6개월 단기계약에 2년 연장 옵션 형태



2.6. 유니폼[편집]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유니폼에 대한 내용은 수원 삼성 블루윙즈/유니폼 문서
수원 삼성 블루윙즈/유니폼번 문단을
수원 삼성 블루윙즈/유니폼#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23 시즌 유니폼
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2023 홈 유니폼.png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2023 원정 유니폼.png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2023 서드 유니폼.png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2023 4th 유니폼.jpg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2023 1st 골키퍼 유니폼.png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2023 2nd 골키퍼 유니폼.png
HOMEAWAYTHIRDFOURTHGK 1stGK 2nd
용품 스폰서메인 스폰서서브 스폰서
파일:Puma Black logo.png파일:삼성 워드마크.svg
파일:도이치 모터스 NEW 로고.jpg
파일:휘게문고 로고.png
||




3. 프리시즌[편집]



3.1. 전지 훈련[편집]


수원 삼성 블루윙즈 2022 시즌 전지훈련
차수지역전지훈련 개시전지훈련 종료
1차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svg 제주특별자치도2022년 1월 3일2022년 1월 21일
2차파일:남해군 CI.svg 경상남도 남해군2022년 1월 24일2022년 2월 12일


3.2. 연습 경기[편집]


날짜 상대팀 장소 결과 비고
1월 20일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2-1 승오현규, 염기훈 득점
1월 29일청주 FC2-0 승오현규, 염기훈 득점
2월 3일아주대학교5-0 승그로닝[해트트릭], 한석희[멀티골] 득점
2월 8일화성 FC3-0 승이기제, 염기훈, 정승원 득점
2월 9일FC 안양0-1 패



4. K리그1[편집]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K리그1 경기 일정 및 결과에 대한 내용은 수원 삼성 블루윙즈/2022년/K리그1 문서
수원 삼성 블루윙즈/2022년/K리그1번 문단을
수원 삼성 블루윙즈/2022년/K리그1#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1. 정규 리그[편집]


파일:K리그1 로고(흰색).svg2022 하나원큐 K리그1
정규리그
||
라운드일시홈/원정상대 팀점수득점자
12월 19일 16:30원정인천 유나이티드 FC 0 - 1-
22월 26일 14:00수원 FC 1 - 0박형진(21')
33월 1일 14:00제주 유나이티드 FC 0 - 1-
43월 5일 14:00원정성남 FC 2 - 2김상준(73'), 오현규(80')
53월 12일 16:30포항 스틸러스 1 - 1김건희(31'(PK))
63월 19일 14:00강원 FC 2 - 2김건희(46'), 김상준(90+4')
74월 2일 16:30원정김천 상무 FC 1 - 1사리치(62')
84월 5일 19:00전북 현대 모터스 0 - 1-
94월 10일 19:00원정FC 서울 0 - 2-
105월 5일 16:30울산 현대 1 - 0사리치(63')
115월 8일 14:00원정대구 FC 0 - 3-
125월 14일 19:00성남 FC 1 - 0전진우(91')
135월 17일 19:00김천 상무 FC 2 - 1이기제(30'), 전진우(70')
145월 22일 16:30원정제주 유나이티드 FC 0 - 0-
155월 29일 19:00원정강원 FC 1 - 1오현규(65')
166월 19일 19:30FC 서울 0 - 1-
176월 22일 19:00원정전북 현대 모터스 1 - 2사리치(55')
186월 25일 19:00원정수원 FC 0 - 3-
197월 3일 19:30인천 유나이티드 0 - 0-
207월 6일 19:00대구 FC 1 - 1오현규(67')
217월 10일 19:00원정포항 스틸러스 0 - 1
227월 16일 18:00원정울산 현대 1 - 2안병준(67')
238월 27일 18:00강원 FC 2 - 3안병준(50') 오현규(87')
248월 20일 20:00원정제주 유나이티드 FC 2 - 1오현규(21') 류승우(30')
257월 30일 19:00김천 상무 FC 0 - 0
268월 3일 19:30원정대구 FC 2 - 1전진우(11') 오현규(52')
278월 6일 19:30원정수원 FC 2 - 4안병준(26') 류승우(85')
288월 14일 19:30성남 FC 4 - 1고명석(27') 오현규(56') 전진우(64') 전진우(80')
299월 4일 16:30원정FC 서울 3 - 1오현규(27') 안병준(31') 오현규(63')
309월 7일 19:30원정울산 현대 0 - 1
319월 11일 19:00인천 유나이티드 FC 3 - 3고명석(56') 고명석(60') 오현규(74')
329월 14일 19:30포항 스틸러스 0 - 2
339월 18일 15:00전북 현대 모터스 2 - 3오현규(15') 마나부(90')


4.2. 파이널 라운드[편집]


파일:K리그1 로고(흰색).svg하나원큐 K리그1 2022
파이널 라운드 B
||
라운드날짜홈/원정상대 팀점수득점자
3410월 3일 14:00원정성남 FC 2 - 0오현규(30'), 곽광선(55' 자책골)
3510월 9일 14:00FC 서울 0 - 0-
3610월 12일 19:30대구 FC 1 - 2안병준(50')
3710월 16일 14:00수원 FC 3 - 0이종성(25') 오현규(49') 안병준(90')
3810월 22일 15:00원정김천 상무 FC 3 - 1안병준(32') 전진우(79') 이종성(90')

4.3. K리그/2022년/승강 플레이오프[편집]


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로고.svg
파일:FC 안양 로고.svg
수원 삼성FC 안양

4.3.1. 1차전 (안양종합운동장, 0:0 무)[편집]


파일:K리그 로고(흰색/가로형).svg
하나원큐 K리그 2022 승강 플레이오프2 1차전
2022년 10월 26일 (수요일) 19:30
안양종합운동장 (안양)
주심: 김종혁
관중: 5020명
중계방송: 파일:logo_jtbc3.png | 캐스터 임경진 | 해설 김형일
파일:FC 안양 로고.svg
0 : 0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로고.svg
FC 안양수원 삼성
-파일:득점 아이콘.svg-
경기 보고서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
Man of the Match: 미정

4.3.2. 2차전 (수원월드컵경기장, 2:1 승)[편집]


파일:K리그 로고(흰색/가로형).svg
하나원큐 K리그 2022 승강 플레이오프2 2차전
2022년 10월 29일 (토요일) 14:00
수원월드컵경기장 (수원)
주심: 이동준
관중: 12,842명
중계방송: 파일:logo_jtbc3.png | 캐스터 임경진 | 해설 김형범
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로고.svg2 : 1
합산 스코어
2 : 1
파일:FC 안양 로고.svg
수원 삼성FC 안양
17' 안병준
120' 오현규
파일:득점 아이콘.svg55' 아코스티
경기 보고서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
Man of the Match: 미정



5. FA컵[편집]



5.1. 3라운드 VS 김천 상무 (원정, 1:1 무(승부차기 4:3 승))[편집]


파일:FA컵(대한민국) 로고.svg
2022 하나원큐 FA컵 3라운드
2022년 4월 27일 (수요일) 15:00
김천종합운동장 (김천)
주심 :
관중 : 명
파일:김천 상무 FC 로고.svg
1 : 1
P.S.O
3 : 4
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로고.svg
김천 상무수원 삼성 블루윙즈
파일:득점 아이콘.svg
매치 리포트 | 경기 하이라이트
Man of the Match: 미정

박건하 감독이 리그 9라운드 슈퍼매치를 끝으로 사임하면서 이 경기는 이병근 감독의 데뷔전이 되었다.

이병근 감독은 이기제, 민상기, 이한도, 장호익의 4백을 선보이며 변화를 시도했고, 전반전에 이러한 시도가 어느 정도 효과를 보였다. 전반 9분 유제호가 단독 드리블 돌파로 공간을 만든 후 그로닝에게 공을 연결했고, 그로닝이 흘려준 볼을 정승원이 밀어넣으며 수원이 선제골을 기록했다.

허나 후반에 불투이스를 투입해 3백으로 전환하자 예전처럼 답답한 모습이 나오기 시작했고, 결국 종료 직전 김지현에게 동점골을 내주며 승부차기까지 가고 말았다. 하지만 승부차기에서는 1번 키커로 나온 염기훈이 실축하는 좀처럼 보기 힘든 상황이 나오며 위기에 몰렸지만, 이번 시즌 좋은 폼을 보이고 있는 양형모가 조규성의 파넨카와 권창훈의 슈팅을 선방하는 미친 활약으로 팀을 위기에서 구하며 4-3으로 수원이 승리했다.


5.2. 16강 VS 강원 FC (홈, 2:0 승[8])[편집]


파일:FA컵(대한민국) 로고.svg
2022 하나원큐 FA컵 16강
2022년 5월 25일 (수요일) 19:00
수원월드컵경기장 (수원)
주심 : 송민석
관중 : 983명
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로고.svg2 : 0
파일:강원 FC 엠블럼.svg
수원 삼성 블루윙즈강원 FC
파일:득점 아이콘.svg
매치 리포트 | 경기 하이라이트
Man of the Match: 미정

이적 후 한 골도 못 넣고 있던 그로닝이 드디어 골을 넣었다.


5.3. 8강 VS 전북 현대 (원정, 0:3 패[9])[편집]


파일:FA컵(대한민국) 로고.svg
2022 하나원큐 FA컵 8강
2022년 6월 29일 (수요일) 19:00
전주월드컵경기장 (전주)
주심: 정동식
관중: 2,286명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3 : 0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로고.svg
전북 현대 모터스수원 삼성 블루윙즈
40' 구스타보
45+1' 김진규
90+3' 한교원
파일:득점 아이콘.svg
경기 하이라이트
Man of the Match: 선수명


6. 수상[편집]



6.1. 개인[편집]


이기제: K리그1 도움왕

6.2. 클럽[편집]




7. 평가[편집]



7.1. 시즌 중반[편집]


박건하 감독의 성적 부진으로 이병근 감독으로 교체되면서 2022시즌 리그의 첫 감독교체를 경험했다. 이러한 극약처방이 초반에는 어느 정도 통했지만 결국 전과 같은 경기력으로 돌아와 강등권에 머물고 있다.

수원의 이러한 문제는 사실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몇 년 전부터 수많은 우려가 나왔지만, 여전히 개선하지 못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가장 큰 원인은 모기업 제일기획의 투자 축소이지만, 더 큰 문제는 최근 몇 년간, 선수 영입과 감독 선임에서 재미를 본 사례가 거의 없다는 점이다. 이번 시즌에도 이 점이 그대로 적용되어, 새로 영입된 외인 그로닝은 여전히 리그에서 득점이 없으며, 이병근 감독 역시 초반의 감독 교체 버프로 잠시 반짝했을 뿐 전임자인 박건하 시절과 크게 차이가 없는 경기력을 보여주고 있다.

그나마 여름 이적시장에서 영입한 안병준이 3경기 만에 데뷔골을 성공시켰고, 새로운 외인인 사이토 마나부 역시 우려했던 것에 비해서는 괜찮은 경기력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 위안거리다.


7.2. 시즌 종료 후[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수원 삼성 블루윙즈/2022년/문제점#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2022년 5월 25일 오후 8시 20분[9] 2022년 6월 29일 오후 7시


8. 수원삼성의 문제점[편집]


일단 U15 ~ U18 공개테스트를 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여기서 공개테스트로 바꾸면 어렸을때의 오현규처럼 좋은 선수를 찾을수 있다. 스카우터방식과 공존하면 된다. 하지만 그리고 지금전형이 불안정 상태이다 3-4-3전형이다가 또 4-3-3전형으로 불안하며 오프사이드트랩이 안되며 협력수비도 안되며, 전방압박이 되지 않는 점이다. 이부분들만 고치면 다시 상위권을 차지할수 있을것 같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10:44:18에 나무위키 수원 삼성 블루윙즈/2022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