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수카르노 하타 국제공항

덤프버전 :

수카르노 하타 국제공항
Soekarno–Hatta International Airport
Bandar Udara Internasional Soekarno–Hatta
파일:Logo_soekarnohatta_airport.jpg
파일:airport_jakarta.jpg
IATA: CGK / ICAO: WIII
개요
국가ta-hash-start=w-28982b8d271b99d6eff552b01331c6f8[[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위치반튼주 탕그랑
종류민간
소유Injourney
운영PT Angkasa Pura II (Persero)
운영시간24시간
개항1985년 5월 1일
활주로07R/25L (3,660m x 60m)
07L/25R (3,600m x 60m)
06/24 (3,000m x 60m)
고도10 m (32 ft)
좌표북위 6 도 7 분 32 초
동경 106 도 39 분 21 초
웹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지도


1. 개요
2. 공항 정보
3. 운항 노선
3.1. 터미널 1
3.1.1. 국내선
3.2. 터미널 2
3.2.1. 국내선
3.2.2. 국제선
3.3. 터미널 3
3.3.1. 국내선
3.3.2. 국제선
4. 터미널 4
5. 대중교통



1. 개요[편집]


인도네시아의 수도 자카르타 의 바로 옆인 탕그랑(Tangerang)에 위치하고 있다.[1] 런던 히드로 국제공항과 유사한 위치이다.[2]

1986년 자카르타 시내에 있던 크마요란(Kemayoran) 국제공항(국내선 전용, 폐쇄.)과 할림 프르단쿠스마 국제공항(국제선 전용, 현재 국내선으로 운영 중.)을 대체할 목적으로 자카르타 교외지역인 땅그랑(Tangerang)에 신공항 건설계획을 수립, 1991년에 개항하였다.[3] 현재 가루다 인도네시아, 라이온 에어, 에어아시아 인도네시아의 주요 허브 공항이다.

공항명은 인도네시아의 초대 대통령 수카르노와 초대 부통령 모하맛 하타의 이름을 합쳐 명명하였다.

파리샤를 드 골 국제공항을 디자인한 건축가 폴 앙드뢰가 디자인했는데, 비록 터미널 3를 제외하고는 현대적이고 세련된 디자인은 아니지만 나름 파격적이다. 현대적인 모양을 갖추면서도 자바 고유 양식으로 건축되었고 주변에 녹지를 확보한 친환경적인 공항.


2. 공항 정보[편집]


터미널은 총 3개이며 국내선이 취항 중인 1터미널(A,B,C)과 국제선과 국내선 일부(D,E,F[4])가 취항 중인 2터미널이, 그리고 현재 에어아시아 계열과 라이온 에어 계열 항공사가 취항 중인 3터미널이 있다. 2023년 현재 3터미널의 경우 국제선 및 국내선을 각 절반씩 나누어 운용하고 있고 출국장은 국제선과 국내선이 공유하나 입국장은 구분되어있다. 공항 터미널 사이를 잇는 스카이트레인이 운행 중이며 객차를 사람이 수동 조종하는 형태로 트랙 구간에 따라 차량의 속도가 일정하지 않다.[5]

활주로는 3,600m 3본이 있으며, 아스팔트 포장이 되어있다.

4대 인구 대국인 인도네시아의 수도공항인 만큼, 공항 시설은 나쁘지는 않다. 공항버스를 통해 자카르타 시내로 나갈 수 있고, 2017년 말에는 공항철도가 개통되어 전철을 타고 자카르타 도심으로 나갈 수도 있다.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과 인도네시아 국적기인 가루다 인도네시아가 매일 인천-자카르타 구간 직항 편을 운항 중이다.[6]

한편 인천-자카르타 노선의 가루다 인도네시아 항공 탑승 시 기내에서 입국 수속을 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했으나, 국제선 터미널 개선공사와 동시에 이민국 수속도 개선화 작업이 이뤄져 2015년으로 기내 입국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도착비자 및 관광비자 면제 제도 재도입 및 외국인 심사대기열 확충으로 타국 수준으로 대기시간이 줄어들었다.


3. 운항 노선[편집]



3.1. 터미널 1[편집]



3.1.1. 국내선[편집]


항공사국가편명목적지
라이온 에어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JT고론탈로, 메단, 덴파사르/발리, 바탐, 반다르람풍, 반다아체, 발릭파판, 스마랑, 수라카타/솔로, 욕야카르타(인터내셔널), 자야푸라, 잠비, 켄다리, 쿠팡, 타라칸, 트르나테, 파루, 팔랑카라야, 팔렘방, 팡칼피낭, 폰티아낙
바틱 에어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ID고론탈로, 라부안바조, 루부클링가우, 루욱, 마나도, 마노콰리, 마라탐(롬복), 마카사르, 메단, 바탐, 반다르람풍, 반다아체, 발릭파판, 반자르마신, 사마린다, 스마랑, 실랑깃, 소롱, 수라바야, 암본, 욕야카르타(아디스킵토), 욕야카르타(인터내셔널), 자야푸라, 잠비, 켄다리, 쿠팡, 타라간, 탄중판단, 트르나테, 티미카, 파당, 파루, 팔랑카라야, 팔렘방, 페칸바루, 폰티아낙
시티링크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QG덴파사르/발리, 라부안바조, 마나도, 마랑, 마카사르, 바뉴왕기, 바탐, 발릭파판, 반다르람풍, 사마란다, 수라카타/솔로, 스마랑, 실랑깃, 자야푸라, 수라바야, 욕야카르타(아디스킵토), 잠비, 탄중판단, 파당, 팔랑카라야, 팔렘방, 팡칼피낭, 페낭, 페칸바루, 폰티아낙


3.2. 터미널 2[편집]



3.2.1. 국내선[편집]


항공사국가편명목적지
인도네시아 에어아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QZ덴파사르/발리, 마라탐(롬복), 스마랑, 욕야카르타(아디스킵토), 탄중판단
NAM 항공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무아라번고, 루부클링가우, 반다아체, 삼피트, 소롱, 수라바야, 수라카타/솔로, 스마랑, 팡카란번, 팡카이피낭, 폰티아낙
스리위자야 항공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SJ덴파사르/발리, 마나도, 마랑, 마카사르, 메단, 바탐, 반다르람풍, 스마랑, 실랑깃, 욕야카르타(아디스킵토), 잠비, 탄중판단, 파당, 팔렘방, 팡카이피낭, 폰티아낙


3.2.2. 국제선[편집]


항공사국가편명목적지
라이온 에어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JT방콕(수완나품), 싱가포르, 쿠알라룸푸르
타이 라이온 에어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JT방콕(돈므앙)
에어아시아 인도네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QZ방콕(돈므앙), 쿠알라룸푸르, 싱가포르
바틱에어 말레이시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OD구이린, 쿠알라룸푸르, 코타키나발루, 싱가포르(창이)
싱가포르항공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SQ싱가포르(창이)
에어아시아 필리핀
파일:필리핀 국기.svg

Z2마닐라
세부 퍼시픽
파일:필리핀 국기.svg

5J마닐라
베트남항공
파일:베트남 국기.svg

VN호찌민
말레이시아 항공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MH쿠알라룸푸르
말린도 에어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OD쿠알라룸푸르
에어아시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AK쿠알라룸푸르, 조호르바루
에티오피아 항공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ET아디스아바바
로열 브루나이 항공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BI반다르스리브가완
콴타스QF시드니
에바항공BR타이베이(타오위안)
캐세이퍼시픽항공CX홍콩
타이항공TG방콕(수완나품)
터키 항공TK이스탄불
에미레이트 항공EK두바이
에티하드 항공[7]EY아부다비
카타르 항공QR도하
이집트 항공MS카이로, 방콕(수완나품)
스리랑카 항공UL콜롬보



3.3. 터미널 3[편집]



3.3.1. 국내선[편집]


항공사국가편명목적지
가루다 인도네시아GA구눙시똘리, 덴파사르/발리, 라부안바조, 마나도, 마랑, 마카사르, 메라우케, 반다르람풍, 반다아체, 반자르마신, 뱅쿠루, 바탐, 스마랑, 시볼가, 실랑깃, 암본, 욕야카르타(아디스킵토), 욕야카르타(인터내셔널), 자야푸라, 잠비, 쿠팡, 탄중판단, 테르나테, 파루, 팡칼피낭, 페칸바루, 폰티아낙


3.3.2. 국제선[편집]


항공사국가편명목적지
가루다 인도네시아GA서울(인천)
도쿄(나리타), 도쿄(하네다), 오사카(간사이), 나고야(중부)
베이징(서우두), 상하이(푸둥), 광저우
홍콩
방콕(수완나품)
싱가포르
쿠알라룸푸르
시드니, 멜버른, 퍼스
제다
프랑크푸르트(암 마인)
암스테르담
런던(개트윅), 런던(히드로)
뭄바이
대한항공KE서울(인천)
아시아나항공OZ서울(인천)
중국국제항공CA베이징(서우두)
중국남방항공CZ광저우, 선전
중국동방항공BL상하이(푸둥)
샤먼항공MF샤먼, 푸저우
선전항공ZH선전
일본항공JL도쿄(나리타)
전일본공수NH도쿄(나리타), 도쿄(하네다)
중화항공CI타이베이(타오위안)
사우디아 항공SV제다, 메디나, 리야드
우즈베키스탄 항공HY타슈켄트
오만 항공WY무스카트
스쿠트 항공TR싱가포르(창이)
에어 프랑스AF싱가포르(창이), 파리(샤를 드골)
KLMKL암스테르담, 쿠알라룸푸르
중화항공CI홍콩[8], 가오슝, 타이베이(타오위안)
루프트한자LH뮌헨, 프랑크푸르트(암 마인)
제트 아시아 항공JF방콕(수완나품)
제트스타 아시아3K싱가포르
필리핀 항공PR마닐라


4. 터미널 4[편집]






5. 대중교통[편집]



5.1. 버스[편집]




5.2. 철도[편집]



5.2.1. 수카르노 하타 공항 스카이트레인[편집]


공항 터미널 사이를 연결하는 셔틀 노선이다.


5.2.2. 수카르노-하타 공항철도[편집]


공항역과 자카르타 시내 망가라이(Manggarai)역까지 운행하는 공항철도 노선이다.



[1] 차 타고 공항에서 3분만 이동하면 자카르타이다.[2] 히드로와 수타 둘 다 한국으로 치면 김포국제공항과도 비교가 될 수도 있겠으나, 오히려 장기적인 확장을 목표로 했다는 점이 김포와는 다르다.[3] 크마요란-할림-수타의 관계는 마치 목포공항-광주공항-무안국제공항간의 관계와 많이 비슷하다.[4] F동은 가루다 인도네시아만 이용하고 있으며 여기서 국내선과 국제선을 취항하고 있다.[5] 여담으로 이 공항의 스카이트레인 차량은 대한민국의 우진산전이 수주해 제작했다.[6] 현재는 코로나로 인해 감편[7] EY471과 EY472는 와모스 항공의 항공기로 운항함[8] 자카르타-홍콩-가오슝 경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