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슈테판 3세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드라고슈사스보그단 1세페트루라슈쿠
페트루 1세로만 1세슈테판 1세이우가알렉산드루 1세
일리아슈슈테판 2세일리아슈슈테판 2세페트루 2세
로만 2세페트루 2세로만 2세페트루 2세치우바르 보다
알렉산드루 2세보그단 2세페트루 3세 아론알렉산드루 2세페트루 3세 아론
알렉산드루 2세페트루 3세 아론슈테판 3세보그단 3세슈테판 4세
페트루 4세 라레슈슈테판 5세알렉산드루 3세 코르네아페트루 4세 라레슈일리에 2세 라레슈
슈테판 6세 라레슈이오안 1세 졸데아알렉산드루 4세 라푸슈네아누이오안 2세 야콥 헤라클리드슈테판 7세 톰샤
알렉산드루 4세 라푸슈네아누보그단 4세이오안 3세 첼 비테아즈페트루 6세 슈체아풀이오안 4세 피드코프
이오안 5세 사술페트루 6세 슈체아풀아론 트리아눌알렉산드루 5세 첼 라우페트루 7세 카자쿨
아론 트리아눌슈테판 8세 라즈반이에레미아 모빌라미하이 1세이에레미아 모빌라
시미온 모빌라미하이 2세 모빌라콘스탄틴 모빌라미하이 2세 모빌라콘스탄틴 모빌라
슈테판 9세 톰샤알렉산드루 6세 모빌라라두 미네아가슈파르 그라치아니알렉산드루 7세 일리아슈
슈테판 9세 톰샤라두 미네아미론 바르노브스키모빌라알렉산드루 8세 코코눌모이세 모빌라
알렉산드루 7세 일리아슈미론 바르노브스키모빌라모이세 모빌라바실레 루푸게오르게 슈테판
바실레 루푸게오르게 슈테판게오르게 기카콘스탄틴 셰르반슈테판 루푸
콘스탄틴 셰르반슈테판 루푸유스트라티에 다비자게오르게 두카일리아슈 알렉산드루
게오르게 두카슈테판 페트리세이쿠두미트라슈쿠 칸타쿠지노슈테판 페트리세이쿠두미트라슈쿠 칸타쿠지노
안토니에 루세트게오르게 두카슈테판 페트리세이쿠두미트라슈쿠 칸타쿠지노콘스탄틴 칸테미르
디미트리에 칸테미르콘스탄틴 두카안티오 칸테미르콘스탄틴 두카미하이 라코비차
안티오 칸테미르미하이 라코비차니콜라에 마브로코르다트디미트리에 칸테미르니콜라에 마브로코르다트
미하이 라코비차그리고레 1세 기카콘스탄틴 마브로코르다트그리고레 1세 기카콘스탄틴 마브로코르다트
이오안 마브로코르다트그리고레 1세 기카콘스탄틴 마브로코르다트요르다케 스타브리치콘스탄틴 라코비차
마테이 기카콘스탄틴 라코비차스카를라트 기카이오안 테오도르 칼리마치그리고레 칼리마치
그리고레 2세 기카그리고레 칼리마치그리고레 2세 기카콘스탄틴 모루지알렉산드루 마브로코르다트 델리베이
알렉산드루 마브로코르다트 피라리스알렉산드루 입실란티마놀레 지아니 루세트알렉산드루 모루지미하이 수추
알렉산드루 칼리마치콘스탄틴 입실란티알렉산드루 수추알렉산드루 모루지스카를라트 칼리마치
알렉산드루 모루지알렉산드루 한제ㅂ를리스카를라트 칼리마치베냐민 코스타체스카를라트 칼리마치
미하이 수추베냐민 코스타체슈테판 보고리디이오안 스투르다미하이 스투르다
그리고레 알렉산드루 기카테오도르 발슈니콜라에 보고리데알렉산드루 이오안 쿠자



[ 펼치기 · 접기 ]

※ 2006년 루마니아 공영방송 TVR이 루마니아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가장 위대한 루마니아인 100명'을 선정
1위2위3위4위5위
슈테판 3세카롤 1세미하이 에미네스쿠미하이 2세리하르트 부름브란트
6위7위8위9위10위
이온 안토네스쿠미르체아 엘리아데알렉산드루 이오안 쿠자콘스탄틴 브랑쿠시나디아 코마네치
11위부터는 영문 위키 참고.
같이 보기: 위대한 인물 시리즈



파일:0130028_stefan-cel-mare-stephen-the-great.jpg

루마니아어: Ștefan cel Mare
생몰년: 1433(?) ~ 1504
통치기: 1457 ~ 1504
1. 개요
2. 상세
3. 대중문화에서의 모습
3.1. 영화
3.2. 만화



1. 개요[편집]


몰다비아 공국보이보드. 별칭은 슈테판 대공(Stefan cel Mare).

오스만 제국의 침공을 두 번 막아냈고, 내정면에서도 많은 업적을 남긴 위대한 군주. 왈라키아 공국블라드 가시공과 마찬가지로 오스만 제국의 침략에 맞서 싸운 영웅. 현대 루마니아몰도바에서 민족 영웅으로 추앙받고 있으며 루마니아 정교회에서 시성성인이기도 하다.

몰도바의 통화 몰도바 레우의 지폐의 전권종 앞면에 그의 초상화가 그려져 있으며, 루마니아의 국가, 루마니아인이여, 깨어나라!에도 등장한다.


2. 상세[편집]


치세중 많은 업적을 이루어 대공(cel Mare)이라고 불리며, 루마니아의 다른 지역으로 크게 세력을 확장했다. 초기에는 헝가리 왕국을 다스리는 명군 마차시 1세와 갈등을 빚어 전쟁을 벌인 끝에 바이아 전투를 통해 패배시켰으며 이후 제노바 공화국몰다비아 북쪽의 크림 타타르족을 사주하는 등 주변 기독교 국가들과도 여러번 마찰을 겪었다. 1475년에는 바스루이 전투에서 오스만 군대를 격퇴시키는 데에 성공하면서, 교황 식스토 4세로부터 "기독교 신앙의 수호자"라는 칭호를 받았다. 하지만 그 후, 1476년에 메흐메트 2세가 직접 지휘한 전투에서 패하였다. 다만 오스만 제국군은 전염병으로 후퇴하였다.

그 후로도 메흐메트 2세의 오스만 군대는 지속적으로 몰다비아, 특히 해안[1]을 노렸다. 메흐메트 2세의 야망은 그가 죽은 후인 1484년 아들 바예지트 2세 대에 가서야 이루어졌고 1494년부터 몰다비아 공국은 오스만 제국에게 조공을 바치게 되었다. 다만 왈라키아 공국보다는 자유로워서 파병의 의무는 없었다.

옆 공국인 왈라키아 공국의 군주, 그 유명한 블라드 가시공의 사촌이기도 해서, 1447년 1차 집권 직후, 헝가리 왕국에게 쫒겨나 몰다비아 공국으로 도망쳤을 때 받아주며 이후 굳건한 동맹을 유지했다. 이후에 집권한 블라드 가시공의 배다른 형인, 블라드 수도공과의 관계도 돈독했으며, 이 영향으로 바람잘날 없던 왈라키아 공국의 역사에 모처럼 13년이나 되는 긴 기간 + 블라드 수도공의 자식의 13년, 도합 26년 동안의 긴 치세를 가능하게 해주었다. 1497년 폴란드 왕국의 국왕 얀 1세 올브라흐트를 격파하여 동생을 몰다비아 공으로 앉히려던 시도를 좌절시켰다.

내적으로는 몰다비아 지역에 세워진 여러 교회당과 수도원을 봉헌했다.

1504년 7월 2일 수체아바에서 사망했으며 그의 시신은 푸트나(Putna) 수도원에 안치되었다.


3. 대중문화에서의 모습[편집]



3.1. 영화[편집]




3.2. 만화[편집]


  • 소녀전쟁 외전 || 불을 잇는 자들 - 블라드 3세와 함께 후녀디를 찾아간다.

[1] 속국인 크림 칸국과의 육로 연결을 꾀하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13:54:29에 나무위키 슈테판 3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