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시미즈 S펄스

덤프버전 :

파일:J2리그 로고(가로형).svg
2024 시즌 참가 클럽
[ 펼치기 · 접기 ]

#555555,#aaaaaa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height=80><width=25%> [[가고시마 유나이티드 FC|[[파일:가고시마 유나이티드 로고.svg|height=50]]]][br]
[[가고시마 유나이티드 FC|{{{#f5fffa '''가고시마'''}}}]]
||<width=25%> [[반포레 고후|[[파일:방포레 고후 로고.svg|height=50]]]][br]
[[방포레 고후|{{{#ffffff '''고후'''}}}]]
||<width=25%> [[로아소 구마모토|[[파일:로아소 구마모토 로고.svg|height=50]]]][br]
[[로아소 구마모토|{{{#ffffff '''구마모토'''}}}]]
||<width=25%> [[더스파구사쓰 군마|[[파일:더스파구사쓰 군마 로고.svg|height=50]]]][br]
[[더스파구사쓰 군마|{{{#ffff00,#feff00 '''군마'''}}}]]
|| ||<height=80> [[V-파렌 나가사키|[[파일:V-파렌 나가사키 로고.svg|height=50]]]][br]
[[V-파렌 나가사키|{{{#0066ad,#52b7fe '''나가사키'''}}}]]
||<width=25%> [[도치기 SC|[[파일:도치기 SC 로고.svg|height=50]]]][br]
[[도치기 SC|{{{#00008b,#7474ff '''도치기'''}}}]]
||<width=25%> [[도쿠시마 보르티스|[[파일:도쿠시마 보르티스 엠블럼.svg|height=50]]]][br]
[[도쿠시마 보르티스|{{{#ffffff '''도쿠시마'''}}}]]
||<height=80> [[미토 홀리호크|[[파일:미토 홀리호크 로고.svg|height=50]]]][br]
[[미토 홀리호크|{{{#ffffff '''미토'''}}}]]
|| ||<width=25%> [[베갈타 센다이|[[파일:베갈타 센다이 엠블럼.svg|height=50]]]][br]
[[베갈타 센다이|{{{#262370 '''센다이'''}}}]]
||<width=25%> [[시미즈 S펄스|[[파일:시미즈 S펄스 로고.svg|height=50]]]][br]
[[시미즈 S펄스|{{{#2a385f '''시미즈'''}}}]]
||<height=80> [[블라우블리츠 아키타|[[파일:블라우블리츠 아키타 로고.svg|height=50]]]][br]
[[블라우블리츠 아키타|{{{#ffffff '''아키타'''}}}]]
|| [[몬테디오 야마가타|[[파일:몬테디오 야마가타 로고.svg|height=50]]]][br]
[[몬테디오 야마가타|{{{#fdf15b '''야마가타'''}}}]]
|| || [[레노파 야마구치|[[파일:레노파 야마구치 로고.svg|height=50]]]][br]
[[레노파 야마구치|{{{#ffffff '''야마구치'''}}}]]
|| [[에히메 FC|[[파일:에히메 FC 로고.svg|height=50]]]][br]
[[에히메 FC|{{{#ffffff '''에히메'''}}}]]
|| [[오이타 트리니타|[[파일:오이타 트리니타 엠블럼.svg|height=50]]]][br]
[[오이타 트리니타|{{{#ffffff,#8cc8fe '''오이타'''}}}]]
||<height=80> [[파지아노 오카야마|[[파일:파지아노 오카야마 로고.svg|height=50]]]][br]
[[파지아노 오카야마|{{{#ffffff '''오카야마'''}}}]]
|| || [[요코하마 FC|[[파일:요코하마 FC 엠블럼.svg|height=50]]]][br]
[[요코하마 FC|{{{#0f2350 '''요코하마 FC'''}}}]]
|| [[이와키 FC|[[파일:이와키 FC 로고.svg|height=50]]]][br]
[[이와키 FC|{{{#ffffff '''이와키'''}}}]]
||<width=25%>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지바|[[파일: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지바 로고.svg|height=50]]]][br]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지바|{{{#17952c,#6ae77f '''지바'''}}}]]
||<height=80> [[후지에다 MYFC|[[파일:후지에다 MYFC 로고.svg|height=50]]]][br]
[[후지에다 MYFC|{{{#ffffff '''후지에다'''}}}]]
|| ||<-2><bgcolor=#d8232a> [[틀:J1리그|{{{#ffffff ◀ [[파일:J1리그 로고(가로형).svg|height=30]]}}}]] ||<-2><bgcolor=#006bc8> [[틀:J3리그|{{{#ffffff [[파일:J3리그 엠블럼 가로형(2023~).svg|height=30]] ▶}}}]] ||



파일:시미즈 S펄스 로고.svg
시미즈 S펄스
Shimizu S-Pulse
정식 명칭清水エスパルス
별칭S-Pa
라이센스J1
창단1991년 2월 4일 (33주년)
구단 형태시민구단
소속 리그파일:J2리그 로고(가로형).svg
연고지시즈오카현 시즈오카시
홈구장IAI 스타디움 니혼다이라, 20,339명 수용
라이벌 - 시즈오카 더비
구단주야마무로 신야 (山室晋也)
감독아키바 다다이로 (秋葉忠宏)
키트 스폰서푸마
공식 웹사이트파일:시미즈 S펄스 로고.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
2. 역사
2.1. 시즌별 리그 순위
3. 유니폼
4. 라이벌
5. 우승
6. 선수 명단
7. 주요 선수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시미즈 S펄스는 시즈오카현 시즈오카시를 연고로 하는 J리그 축구팀이다. 1991년에 J리그에 가입하였다. 당시에는 현재 시즈오카 시의 시미즈 구가 시미즈 시였다. 시즈오카 시와 별개의 행정구역이었던 것. 두 지역은 2003년 현재의 시즈오카 시로 합병을 했다.

등번호 12번은 서포터 번호로서 영구결번이다.
시미즈 S펄스 영구결번
No.12 서포터

홈 경기장은 IAI 스타디움 니혼다이라이며, 시즈오카 스타디움 에코파에서도 홈경기를 일부 하고 있다.

팀 이름 '에스(S)'는 축구, 시미즈, 시즈오카의 머리 글자에서 '펄스(PULSE)'는 영어로 심장 박동을 의미한다. 마스코트는 "파르 짱(이름의 유래는 S 펄스와 서포터를 연결하는 친구)"이며, 파르 짱의 연인으로 2012년 7월에 탄생 한 피카르 짱 (이름의 유래는 승점 및 타이틀 획득을 나타내는 별) 이 있다.


2. 역사[편집]


파일:시미즈 S펄스 로고(~2019).svg
2019년까지 사용하던 엠블럼
지역 축구 소년단인 시미즈 축구 클럽 OB가 중심이 되어 결성된 시즈오카 사회인 리그 소속의 시미즈 FC가 모체이며, 1991년 J 리그 가입시 시미즈 FC S펄스라는 명칭을 정하였다. 1996년 시미즈 S 펄스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1992년 7월 4일 J리그컵 오사카 나가이 육상경기장에서 감바 오사카와 첫 경기를 가졌다는데 시미즈의 공식 사이트에서 이 날을 S펄스의 생일이라고 하고 있다. 1999년 J1리그에서 준우승을 차지한 것이 최고의 성적이며, 천황배 우승, 나비스코컵 등을 우승한 경력이 있다.

그러나 그 뒤로 중하위권을 맴돌고 있으며 2015시즌은 31라운드(후기 14라운드)에서 베갈타 센다이에게 0대1로 패하면서 강등이 확정됐다. 최종 성적은 5승 10무 19패. 축구왕국 시즈오카의 잇다른 몰락

그래도 J2리그에서는 2016년 준우승을 차지하면서, 단 1시즌만에 J1리그 복귀에 성공했다.

2017시즌 복귀하자마자 강등의 위기를 겪지만 마지막 경기에서 비셀 고베를 꺾고 잔류에 성공한다. 팀 최다득점자는 정대세.

2018시즌에는 전시즌의 부진을 만회하며 탄탄하게 중위권 팀으로 입지를 다지고 있다. 시즌 개막전 강등권으로 예상되었으나 8위라는 호성적을 거뒀다. 반면 라이벌인 이와타는 승강 플레이오프를 거쳐서 겨우 잔류를 했다.

2019시즌 초반 성적은 참담하다. 6경기동안 유일한 무승팀. 이후에 승리를 거두긴 하지만 부진은 계속 이어져서 결국 2018시즌 좋은 성적을 냈던 얀 욘슨 감독이 경질되기 이른다. 결국 33라운드에서 강등을 확정지은 주빌로 이와타와는 달리, 어찌어찌 잔류권에서 버티면서 15위로 간신히 잔류했다.

2020시즌 리그 17위를 기록하여서 기존 감독과 계약을 해지했다.

2021시즌 세레소를 상위권으로 이끌었던 미겔 앙헬 로티나 감독이 부임했다. 그리고 니가타로 임대를 떠났던 정대세와의 계약이 만료됐다. 하지만 새로운 감독을 선임한 것이 무색하게 계속 강등권에 머물면서 결국 미겔 감독 또한 1년만에 경질됐다.[1] # 그래도 마지막 세레소 경기를 2-1로 승리하면서 14위로 잔류를 확정했지만 이듬해에는 감독을 바꾼 보람도 없이 J리그 득점왕을 차지한 브라질 공격수 티아고 산타나를 보유하고도 강등되면서 5년만에 다시 J2리그로 내려가고 만다. 그리고 시즈오카 라이벌 주빌로 이와타도 함께 다이렉트 동반 강등했다

2023시즌은 4위를 기록하였다. 이후 5위 몬테디오 야마가타와의 승격 플레이오프에서 무승부를 거두고 3위 도쿄 베르디와 최종전을 벌였으나 후반 극장 동점골을 먹으며 승격이 좌절, 라이벌 주빌로 이와타가 2위로 한시즌만에 J1에 복귀하는 모습을 그저 바라볼 수밖에 없게 되었다.


2.1. 시즌별 리그 순위[편집]


파일:시미즈 S펄스 로고.svg
시즌별 리그 순위
[ 펼치기 · 접기 ]

시즌 리그 순위
19931J리그3
19941J리그4
19951J리그9
19961J리그10
19971J리그5
19981J리그3
19991J리그 디비전 12
20001J리그 디비전 18
20011J리그 디비전 14
20021J리그 디비전 18
20031J리그 디비전 111
20041J리그 디비전 114
20051J리그 디비전 115
20061J리그 디비전 14
20071J리그 디비전 14
20081J리그 디비전 15
20091J리그 디비전 17
20101J리그 디비전 16
20111J리그 디비전 110
20121J리그 디비전 19
20131J리그 디비전 19
20141J리그 디비전 115
20151J1리그17
20162J2리그2
20171J1리그14
20181J1리그8
20191J1리그12
20201J1리그16
20211J1리그14
20221J1리그17


3. 유니폼[편집]


푸마의 유니폼을 착용한다.
메인 컬러는 주황색.

파일:2019uniform.jpg
2019시즌 푸마 유니폼

파일:spulse20.jpg
2020시즌 푸마 유니폼. 새롭게 바뀐 엠블럼이 처음 적용되는 유니폼이다.


4. 라이벌[편집]


주빌로 이와타와의 시즈오카 더비로 유명하다. 시즈오카현은 의외로 정령지정도시가 두 곳이나 있는데 바로 시즈오카시하마마츠시다. 지금은 같은 도도부현으로 묶여있지만 역사적으로 두 도시는 별개의 생활권이었다. 지금도 마찬가지다.

주빌로 이와타의 연고인 이와타시는 하마마츠시 바로 옆에 붙어있고 시미즈는 시즈오카시를 연고로 하기 때문에 두 지역의 자존심을 건 더비 매치라 할 수 있다.

2022시즌은 시미즈가 17위로 J2리그로 강등, 라이벌인 주빌로 이와타도 최하위 18위로 자동 강등되면서 시즈오카현 라이벌 두 팀이 동반 강등이라는 보기 드문 광경이 펼쳐졌으며, 2023시즌에는 처음으로 하부 리그인 J2리그에서 시즈오카 더비를 볼 수 있게 되었다.[2]

5. 우승[편집]




6. 선수 명단[편집]


시미즈 S펄스 2019 시즌 선수 명단
등번호국적포지션한글 성명일문/로마자 성명생년월일체격
1파일:일본 국기.svgGK니시베 요헤이西部 洋平1980.12.01187cm/79kg
2파일:일본 국기.svgDF타츠타 유고立田 悠悟1998.06.21191cm/81kg
3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황석호Hwang Seok Ho1989.06.27183cm/80kg
5파일:일본 국기.svgDF카마타 쇼마鎌田 翔雅1989.06.15172cm/68kg
6파일:일본 국기.svgMF타케우치 료竹内 涼1991.03.08173cm/67kg
7파일:일본 국기.svgMF무사카 미츠나리六平 光成1991.01.16176cm/66kg
8파일:일본 국기.svgMF이시게 히데키石毛 秀樹1994.09.21170cm/69kg
9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파일:북한 국기.svgFW정대세Chong Te Se1984.03.02181cm/80kg
13파일:일본 국기.svgGK로쿠탄 유지六反 勇治1987.04.10188cm/80kg
14파일:일본 국기.svgMF쿠스카미 준페이楠神 順平1987.08.27171cm/63kg
15파일:일본 국기.svgMF미즈타니 타쿠마水谷 拓磨1996.04.24162cm/62kg
16파일:일본 국기.svgMF니시자와 켄타西澤 健太1996.09.06171cm/67kg
17파일:일본 국기.svgMF카와이 요스케河井 陽介1989.08.04166cm/59kg
18파일:브라질 국기.svgDF에르시뉴Elson Ferreira De Souza1989.11.30180cm/78kg
19파일:일본 국기.svgFW히라츠카 진平墳 迅1999.05.19181cm/78kg
20파일:일본 국기.svgMF나카무라 케이타中村 慶太1993.06.30180cm/73kg
21파일:일본 국기.svgGK타카기와 토오루髙木和 徹1995.04.15185cm/81kg
22파일:브라질 국기.svgMF헤나투 아우구스투Renato Augusto Santos Junior1992.01.29185cm/77kg
23파일:일본 국기.svgFW키타가와 코야北川 航也1996.07.26180cm/77kg
25파일:일본 국기.svgDF마츠바라 고松原 后1996.08.30182cm/72kg
26파일:일본 국기.svgDF후타미 히로시二見 宏志1992.03.20179cm/75kg
27파일:일본 국기.svgDF이다 타카히로飯田 貴敬1994.08.31179cm/74kg
30파일:일본 국기.svgFW카네코 쇼타金子 翔太1995.05.02163㎝/58kg
31파일:일본 국기.svgGK우메다 토고梅田 透吾2000.07.23184cm/79kg
33파일:브라질 국기.svgDF완데르송Wanderson Santos Pereira1991.02.07188cm/85kg
34파일:일본 국기.svgMF타키 유타滝 裕太1999.08.29168cm/61kg
35파일:일본 국기.svgDF이토 켄타伊藤 研太1999.05.12177cm/62kg
36파일:일본 국기.svgMF니시무라 야스후미西村 恭史1999.11.04185cm/73kg
37파일:일본 국기.svgFW타카하시 다이고髙橋 大悟1999.04.17163cm/55kg
49파일:브라질 국기.svgFW도글라스Dyanfres Douglas Chagas Matos1987.12.30184cm/80kg
구단 정보
구단주: 하야카와 이와오 / 감독: 시노다 요시유키 / 구장: IAI 스타디움 니혼다이라
출처: 시미즈 S펄스 / 최종 수정 : 2019년 5월 19일




7. 주요 선수[편집]


  • 일본
    • 곤다 슈이치 : 2021-[3]
    • 이토 테루요시 : 1993-2010
    • 다카하라 나오히로 : 2011-2012
    • 마스다 치카시 : 2017-2019[4]
    • 오노 신지 : 2010-2012
    • 오카자키 신지 : 2005-2010
    • 오타 코스케 : 2009-2011
    • 이누이 타카시 : 2022-

  • AFC
    • 김동섭 : 2007-2010
    • 김범용 : 2017[5]
    • 김현성 : 2012[6]
    • 미첼 듀크 : 2015-2018
    • 변준범 : 2016-2017[7]
    • 안정환 : 2002-2003
    • 에디 보스나 : 2010-2011
    • 오세훈 : 2022-
    • 이기제 : 2012-2014
    • 이민수 : 2012-2015
    • 정대세 : 2015-2020
    • 조재진 : 2004-2007
    • 최태욱 : 2005
    • 황석호 : 2018-2020


  • CONMEBOL
    • 티아고 알베스 살레스 : 2017
    • 크리슬란 엔히키 다시우바 지소우자 : 2018[8]


8. 둘러보기[편집]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14%><rowbgcolor=#90c048> 순서 ||<-2><width=40%> 구단 ||<width=14%> 국가 ||<width=16%> 첫 우승 ||<width=16%> 횟수 ||
|| 1 || 파일:페르세폴리스 FC 엠블럼.svg || 페르세폴리스 || 파일:이란 국기.svg || 1990-91 ||
1회 ||
|| 2 || 파일:요코하마 F. 마리노스 로고.svg || 요코하마 F. 마리노스 || 파일:일본 국기.svg || 1991-92 || ★★
2회 ||
|| 3 || 파일:알 카디시야 FC 로고.png || 알 카디시야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 1993-94 ||
1회 ||
|| 4 || 파일:요코하마 플뤼겔스 로고.svg || 요코하마 플뤼겔스 || 파일:일본 국기.svg || 1994-95 ||
1회 ||
|| 5 || 파일:쇼난 벨마레 엠블럼.svg || 쇼난 벨마레 || 파일:일본 국기.svg || 1995 ||
1회 ||
|| 6 || 파일:알 힐랄 SFC 엠블럼.svg || 알 힐랄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 1996-97 || ★★
2회 ||
|| 7 || 파일:알 나스르 FC 엠블럼.svg || 알 나스르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 1997-98 ||
1회 ||
|| 8 || 파일:알 이티하드 FC 엠블럼.svg || 알 이티하드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 1998-99 ||
1회 ||
|| 9 || 파일:시미즈 S펄스 로고.svg || 시미즈 S펄스 || 파일:일본 국기.svg || 1999-00 ||
1회 ||
|| 10 || 파일:알 샤바브 FC 엠블럼.svg || 알 샤바브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 2000-01 ||
1회 ||
||<-6><bgcolor=#eeeeef,#212121> AFC 챔피언스 리그 우승 구단 → ||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5 11:19:35에 나무위키 시미즈 S펄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공교롭게도 미겔 감독이 경질된 날 K리그에서는 강원 FC김병수 감독이 같이 경질되었다.[2] 유일하게 시미즈가 2부리그에 있었던 2016시즌에는 라이벌 주빌로 이와타가 1부에서 활약하고 있었다.[3] 2021년에 포르티모넨스 SC에서 임대 후 2022년에 완전 이적.[4] 2019년에는 서울 이랜드 FC로 임대 이적했고, 임대 복귀 후 현역에서 은퇴했다.[5] 2016년에 산프레체 히로시마에서 임대 후 2017년에 완전 이적. 이후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지바로 재임대.[6] FC 서울에서 임대.[7] 2016년에 산프레체 히로시마에서 임대 후 2017년에 완전 이적.[8] SC 브라가에서 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