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쓰르라미 울 적에(2006년 애니메이션)

덤프버전 :




쓰르라미 적에 (2006)
ひぐらしの{{{#red な}}}く頃に[br]When They Cry
파일:Higurashi_keyvisual.jpg
작품 정보 ▼

장르미스터리, 호러, 서스펜스, 스릴러
원작용기사07 / 07th Expansion
감독콘 치아키
시리즈 구성카와세 토시후미
캐릭터 디자인사카이 큐타
총 작화감독
프롭 디자인코사카 토모치(小坂 知)
미술 감독시바타 치카코(柴田千佳子)
색채 설계마츠모토 신지(松本真司)
촬영 감독모리시타 세이이치(森下成一)
후시미 신이치(伏見真一)
편집마츠무라 마사히로(松村正宏)
음향 감독고다 호즈미
음악카와이 켄지
음악 제작프론티어 웍스
프로듀서노무라 미카(野村美加)
오오모리 히로유키(大森啓幸)
히나타 야스타카(日向泰隆)
애니메이션 프로듀서우라사키 노부미츠(浦崎宣光)
애니메이션 제작스튜디오 딘
제작쓰르라미 울 적에 제작위원회
방영 기간2006. 04. 05. ~ 2006. 09. 27.
방송국파일:일본 국기.svg 간사이 테레비 / (수) 02:00
편당 러닝타임24분
화수26화
시청 등급정보 없음
관련 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4. 주제가
4.1. OP
4.2. ED
5. 회차 목록
6. 평가



1. 개요[편집]


용기사07의 동인 게임 쓰르라미 울 적에를 원작으로 하는 스튜디오 딘판 애니메이션 시리즈 1기. 감독은 콘 치아키. 2006년 4월에 방영되었다.

2007년 8월 2일, OVA가 하나 나왔다. 1기 DVD 전권 구입 특전으로 단편소설 원작 《네코고로시 편》이 1화 분량의 OVA로 제작되었다. 작화는 2기 작화로 제작되어 퀄리티가 전체적으로 안정적이다. 시간대는 츠미호로보시 편의 며칠 전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방영 초기부터 한국에서도 주목을 받았던 작품이라 2007년 하반기 신작으로 애니맥스 코리아투니버스에서 방영할 것이라는 루머가 떠돌았지만 끝끝내 신작 목록에 포함되지 않으면서 한국 방영은 불발되었다.[1]


2.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쓰르라미 울 적에/등장인물#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설정[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쓰르라미 울 적에#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설정@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주제가[편집]



4.1. OP[편집]


OP
ひぐらしのなく頃に
쓰르라미 울 적에
TV ver.
MV ver.
Full ver.
노래시마미야 에이코
작사
작곡나카자와 토모유키
편곡나카자와 토모유키
타카세 카즈야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콘 치아키
연출
작화감독사카이 큐타

가사 ▼
振り向いた その後ろの (正面だぁれ?)
暗闇に 爪を立てて(夜を引き裂いた)
雨だれは血のしずくとなって頬を
つない落ちる
もうどこにも帰る場所が無いなら
この指止まれ 私の指に
その指ごと 連れてってあげる
ひぐらしが鳴く 開かずの森へ
後戻りは もう出来ない
ひとりずつ 消されてゆく (蒼い炎)
暗闇の その向うに (朝はもう来ない)
鏡の中で 蠢き伸ばしてくる無数の手で
さぁ 誰かをここへ誘いなさい
鬼さんこちら 手の鳴るほうへ
どんなに逃げても 捕まえてあげる
ひぐらしが鳴く けもの道から
聞こえていた声はもう無い
この指止まれ 私の指に
その指ごと 連れてってあげる
ひぐらしが鳴く 開かずの森へ
後戻りは もう出来ない
鬼さんこちら 手の鳴るほうへ
どんなに逃げても 捕まえてあげる
ひぐらしが鳴く けもの道から
聞こえていた声はもう無い
이 곡의 시작부분에 나오는 정체불명의 가사는 백마스킹하면 제대로 들린다. 14년 뒤 방영하는 쓰르라미 울 적에 업의 1화 엔딩 곡으로도 사용되었다.


4.2. ED[편집]


ED
why, or why not
TV ver.
Full ver.
노래카타키리 렛카
작사interface
작곡오오시마 히로유키(大嶋啓之)
편곡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애니메이션와타나베 히로시

가사 ▼
To get my happiness I had done everything,
but had done nothing to be blamed and accused of,
The sound of footsteps became louder every day,
Then I noticed the fact there was no time.
I was believer in life to be myself always,
and was asking whether I would be alive.
Give me a reason why not to adopt in this way,
or judge me to be guilty of so many incurable sins.
Tell me why, or why not. Complaining way too much,
maybe I overlooked something fatal for me.
The whole world was at a complete standstill,
and I was in fetters at the mercy of the mob.
The silent warning became louder every day.
Then I kept pretending not to hear.
Its meaning had been in the eyes of beholder all along,
It had grown dark before I found a sign.
"Among the nonsense tragedies, what on earth you are looking for?
You only have to be honest to yourself and your own fate."
Tell me why, or why not. Complaining way too much,
maybe I overlooked something fatal for me.
There is nobody who knows there will be nobody.
Except for me, all the world has gone mad.
So what is forgiveness you are willing to withhold?
What is the well-being you are willing to make?
Now what? So what? Don't you come interrupt me, oh please,
while I am interrupting myself.


5. 회차 목록[편집]


회차부제각본콘티연출작화감독방영일
1鬼隠し編
오니카쿠시
其の壱 ハジマリ
시작
카와세 토시후미콘 치아키모토무라 코이치
(本村晃一)
2006.04.05.
2其の弐 隠しごと
비밀
쿠즈야 나오유키
(葛谷直行)
히라키 유지
(開 祐二)
소우자키 노부요시
(宗崎暢芳)
2006.04.12.
3其の参 疑心
의심
콘 치아키요시모토 타케시
(吉本 毅)
코야마 마사히사
(こやたまさひさ)
ECHO
2006.04.19.
4其の四 歪
일그러짐
히라키 유지이시카와 히사카즈
(石川久一)
하라다 미네후미
(原田峰文)
2006.04.26.
5綿流し編
와타나가시
其の壱 嫉妬
질투
나카세 리카
(中瀬理香)
나무라 히데토시
(名村英敏)
손승희
(孫承希)
타카하시 아츠코
(高橋敦子)
2006.05.03.
6其の弐 タカノ
타카노
이이지마 마사카츠
(飯島正勝)
세키타 오사무안도 미키히코
(安藤幹彦)
노죠 미치유키
(能條理行)
2006.05.10.
7其の参 嘘
거짓
와타나베 히로시타카야마 이사오
(高山 功)
누마타 세이야
ECHO
2006.05.17.
8其の四 願い
소원
쿠즈야 나오유키
(葛谷直行)
히라키 유지소우자키 노부요시2006.05.24.
9祟殺し編
타타리고로시
其の壱 兄
오빠
카와세 토시후미나무라 히데토시요시모토 타케시아오키 마리코
(青木真理子)
누마타 세이야
ECHO
2006.05.31.
10其の弐 キズナ
이이지마 마사카츠이시카와 히사카즈하라다 미네후미2006.06.07.
11其の参 境界
경계
반 야마토
(伴 山人)
콘 치아키타카하시 아츠코2006.06.14.
12其の四 失しモノ
잃어버린 것
쿠즈야 나오유키아사미 마츠오
(浅見松雄)
안도 미키히코
노죠 미치유키
2006.06.21.
13其の伍 謝罪
사죄
와타나베 히로시우에다 시게루
(うえだしげる)
누마타 세이야2006.06.28.
14暇潰し編
히마츠부시
其の壱 ヒナミザワ
히나미자와
하라다 미네후미히라키 유지소우자키 노부요시2006.07.05.
15其の弐 兆し
조짐
콘 치아키요시모토 타케시아오키 마리코
누마타 세이야
2006.07.12.
16目明し編
메아카시
其の壱 初恋
첫사랑
나카세 리카코고 토모카즈
(向後知一)
이시카와 히사카즈하라다 미네후미2006.07.19.
17其の弐 ケジメ
결판
테라히가시 타츠미
(寺東克己)
요시다 슌지
(吉田俊司)
타카하시 아츠코2006.07.26.
18其の参 鬼の血脈
오니의 혈통
쿠즈야 나오유키아사미 마츠오노죠 미치유키2006.08.02.
19其の四 仕返し
보복
나무라 히데토시츠쿠시 다이스케
(筑紫大介)
누마타 세이야2006.08.09.
20其の伍 冷たい手
차가운 손
이이지마 마사카츠히라키 유지소우자키 노부요시2006.08.16.
21其の六 断罪
단죄
반 야마토捨居無人누마타 세이야2006.08.23.
22罪滅し編
츠미호로보시
其の壱 幸せ
행복
카와세 토시후미코고 토모카즈츠지 타이스케
(辻 太輔)
하라다 미네후미2006.08.30.
23其の弐 還る処
돌아갈 곳
오오가미 소마
(大上相馬)
히라무키 토모코
(平向智子)
후지이 마스미
(藤井真澄)
타카하시 아츠코
누마타 세이야
2006.09.06.
24其の参 34号文書
34호 문서
이이지마 마사카츠아사미 마츠오노죠 미치유키2006.09.13.
25其の四 地球侵略
지구침략
히라키 유지
콘 치아키
히라키 유지소우자키 노부요시2006.09.20.
26其の伍 リテイク
리테이크
콘 치아키누마타 세이야2006.09.27.


6. 평가[편집]







당시 원작팬들에게 원작파괴 수준의 애니메이션화라고 평가받았다. 특히 원작의 강점이라 할 수 있는 '심리 묘사'가 애니메이션에서는 제대로 표현되지 않았다.

원작처럼 '심리적 공포'로 분위기를 만들지 않고 애니는 단순히 '고어성'만으로 분위기를 연출해냈다. 쓰르라미 울 적에의 원작은 군상극으로 다채로운 입체적 캐릭터심리 묘사가 호평받은 게임으로 애니메이션처럼 그로테스크한 묘사에 치중한 스토리가 절대로 아니다. 하지만 애니메이션 1기는 오니카쿠시 편을 제외한 에피소드부터 본격적으로 원작을 왜곡시켰다.

원작 와타나가시 편은 인형에 대해 고민하는 케이이치의 심리가 정말 중요하게 다뤄지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인형이 제대로 나오지도 않는다.[2] 타타리고로시 편은 케이이치 심리 변화의 가장 큰 분기점이 되는 "우리가 무력하니까!" 대사가 생략되고 에피소드 내 최고의 하이라이트였던 충공깽한 에필로그까지 완전히 잘렸으며 히마츠부시 편은 원작에서 오열하던 아카사카의 심리를 애니에서는 무덤덤한 식으로 보여준다. 메아카시 편은 원작에서는 죄책감으로 후회하면서 자살하는 모 인물을 단순 사고사로 죽는 장면으로 왜곡시켰다. 도미회 사건 등의 스토리상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장면도 삭제되었고 범인의 심리 묘사도 자세히 나오지 않아 다소 뜬금없는 행동이 늘어났다.[3] 캐릭터에게 공감과 설득을 주는 심리 묘사와 부연 설명들이 전부 잘려나간 애니화가 바로 쓰르라미 울 적에 문제편 애니화였다.

작화 퀄리티는 좋지 않다.[4] 이는 원작의 특수성과 스튜디오 딘의 다작 환경에서 비롯되는데, 당시 방영되던 Fate/stay night처럼 제작사에서 상대적으로 신경을 덜 썼기 때문이다.[5] 비록 원작의 인기에 힘입어 2쿨 분량은 성사됐으나 결국 상업용 에로게도 아니고 동인 게임이라는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제작진과 스폰서가 투자할 메리트가 적었던 것이 컸다. 그렇기에 작화가 매화마다 불안정해서 캐릭터 디자인이 무색해지기도 했다. 하지만 그런 불안정한 작화가 작품의 기괴하고 음산한 분위기를 잘 살렸다는 평가도 존재한다.

일부 잘못된 연출로 원작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던 상황이 애니 스토리에 들어가기도 했다. 대표적으로 메아카시 편에서만 발생한 사건이 애니메이션 와타나가시 편 도입부로 들어가 버렸다. (자세한 사항은 후루데 리카 항목 참고)

음향 면에서는 먼저 성우 캐스팅은 당대 기준으로도 호화로운 캐스팅이었고 모든 출연진들이 좋은 연기를 보여줘 호평받는다. 그러나 BGM은 원작 BGM 보다 못하다는 평가가 많다. 원작은 좋은 BGM들로 호평받았지만 애니메이션은 시종일관 어두운 BGM만 반복되고 있다. 하지만 오프닝과 엔딩곡은 명곡이 많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원작팬들에겐 매우 충격적인 애니화이지만 한국에서는 오히려 이 구작 1기 덕분에 쓰르라미 울 적에라는 작품의 입지도가 높아졌다.

TVA 1기가 종영하고 속편에 해당하는 TVA 2기 제작 계획을 발표하면서 애니메이션 제작진이 "이번에는 원작을 해보고 만들겠다."라는 발언을 한다. 따라서 원작팬들 사이에서는 "1기 애니메이션은 제작진이 정말 아무것도 모르고 만들었던 게 아닐까?"하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애니메이션 제작사 스튜디오 딘은 원작팬의 엄청난 원성을 사버린다.

다만 처음 접하는 사람은 볼만한 애니였다는 반응도 꽤 많다. 원작팬들의 애니는 용납하지 않는 반응과 대조적이다. 방영 당시에도 원작의 인기도 있었고 미스테리하고 충격적인 전개 등으로 화제작이 되면서 흥행에 성공하였으며, 시간이 지나 애니 1 ~ 2기가 니코니코 동화에서 일거방송되었는데 모두 아주 좋았다가 90% 이상 나오고 있다. 사람들이 괜찮게 봤다는 의미다. 결국 처음 입문하는 사람, 라이트 팬층 혹은 애니도 존중하는 사람에게는 괜찮을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원작의 스토리가 워낙 좋았던 탓에 불과한지라 저퀄리티 및 원작파괴로 실망하여 애니에 반감을 표하는 팬층이 존재하게 되었다고 보면 된다.

본작 방영 후 14년이 지나 제작진이 변경된 애니메이션 시리즈쓰르라미 울 적에 업쓰르라미 울 적에 졸이 혹평을 넘어서 존재의 부정까지 받는 신세로 전락하면서 본작의 긍정적인 재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1] 당시 방송 규정 상 수위문제로 불발되었을 가능성이 크다.[2] 케이이치가 레나에게 인형을 주자 미온이 실망하는 장면은 나온다. 그러나 미온을 제외한 모든 부원들이 인형을 받았다는 것은 나오지 않았다. 때문에 원작과 분위기가 다르게 해석될 여지가 높다. 또한 이 장면과 마지막에 이 장면을 언급할 때를 제외하고는 인형이 전혀 나오지 않는다.[3] 제구전에 데려온 케이이치를 살려 보내준 것. 미온을 죽인 뒤 케이이치에게 달려간 것. 모두 세밀한 심리적 이유가 있었으나 애니에선 그런 묘사가 없었다.[4] 다만 종종 감독인 콘 치아키가 의도한 얼굴을 일그러뜨리면서 공포감을 유발하는 연출을 작화 붕괴로 몰아가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건 한국이 유독 캐릭터가 얼마나 예쁘게 표현되었는지만 중요시하기 때문이다. 대부분 이런 의도된 연출은 퀄리티 붕괴 등으로 치지 않는다. 애니메이터이긴 하나 이 분야로 한국에서 욕을 먹는 사람은 대표적으로 마츠모토 노리오, 감독으로는 스기시마 쿠니히사, 호소다 나오토가 있다.[5] Fate/stay night의 경우 원화가들의 실력이 떨어져 퀄리티가 떨어졌다면, 본작은 연출 스태프들의 경력과 실력이 떨어진다. 특히 감독인 콘 치아키는 본작이 첫 감독 데뷔작이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2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2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11:40:52에 나무위키 쓰르라미 울 적에(2006년 애니메이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